||<-5> [[중의원|[[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000000 '''[[일본|{{{#000000 일본}}}]] [[중의원|{{{#000000 중의원}}}]] ([[도쿄도 제3구|{{{#000000 도쿄 3구}}}]])'''}}} || || '''제41대'''[br]구리모토 신이치로 || → || '''제42~43대[br]마쓰바라 진''' || → || '''제44대'''[br][[이시하라 히로타카]] || || '''제44대'''[br][[이시하라 히로타카]] || → || '''제45대[br]마쓰바라 진''' || → || '''제46~48대'''[br][[이시하라 히로타카]] || || '''제46~48대'''[br][[이시하라 히로타카]] || → || '''제49대[br]마쓰바라 진''' || → || ''현직'' || ---- ||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민주당(일본) 국회대책위원장)] ---- [include(틀:역대 일본 국가공안위원장)] ---- [include(틀:노다 내각의 국무대신)] ---- }}} || ---- ||<-2> '''{{{#fff 일본국 제85대 국가공안위원장}}}''' || ||<-2> '''{{{#fff 일본국 제42-49대 중의원 의원[br]{{{+1 마쓰바라 진}}}[br]松原仁 | Matsubara J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쓰바라진.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56년]] [[7월 31일]] ([age(1956-07-31)]세) || ||[[도쿄도]] [[이타바시구]] || || '''{{{#ffffff 학력}}}''' ||도쿄도립 도시마고등학교 {{{-2 (졸업)}}}[br][[와세다대학]] {{{-2 (상학 / 학사)}}} || || '''{{{#ffffff 가족}}}''' ||아내, 아들[* [[오타구]]의회 의원이다.] || || '''{{{#ffffff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ffffff 의원 선수}}}''' ||'''8''' (중) || || '''{{{#ffffff 의원 대수}}}''' ||42, 43,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4]][*A 석패율 비례대표],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5]],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6]][*A 석패율 비례대표],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7]][*A 석패율 비례대표],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8]][*A 석패율 비례대표],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9]] || || '''{{{#ffffff 지역구}}}''' ||[[도쿄도 제3구|도쿄 3구]] || || '''{{{#ffffff 약력}}}''' ||도쿄도의회 의원 ([[오타구]] 선거구)[br][[도쿄도 제3구]] [[중의원]] 의원[br]국토교통 부대신[br]국가공안위원장[br]납치문제담당대신[br]내각부 특명담당대신[br][[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br]민주당 도쿄도련 회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정치인. == 상세 == 1956년 도쿄에서 출생했다. 도쿄도립 도시마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 [[와세다대학]] 상학부를 졸업했다. 와세다대학 졸업 후 마쓰시타 정경숙에 2기생으로 입숙했다. 이후 1985년 도쿄도의회 의원 선거에서 [[신자유클럽]] 소속으로 [[오타구]]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한다. 그러다가 4년 뒤인 1989년 도쿄도의회 선거에 무소속으로 오타구 선거구에 다시 출마해 당선되었으며, 당선 후 자민당에 입당했다. 1993년 도쿄도의회 선거에서는 자민당 소속으로 출마해 재선에 성공했다. 재선 직후 자민당을 탈당해 [[신생당]]에 입당했으며, 이후 [[신진당]]에 합류했다. 도쿄도의회 의원직을 사퇴하고, 1996년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신진당 소속으로 [[도쿄도 제3구]]에 출마하나 낙선한다. 이후 1998년 [[아라이 쇼케이]]의 사망으로 열린 [[도쿄도 제4구]] 중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하나 또 낙선한다. 이후 2000년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다시 한번 [[도쿄도 제3구]]에 출마해 당선되면서, 국회에 처음으로 입성했다. 2003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때도 도쿄도 제3구에서 자민당 [[이시하라 히로타카]]를 꺾고 당선되어 재선 의원이 되었다. 그리고 이 때부터 지역구 [[도쿄도 제3구]]에서 이시하라 히로타카와의 매치를 이어나가게 되었다. 2005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때는 자민당 [[이시하라 히로타카]]에게 패배해, 석패율 구제로 당선되었다. 이 때 이시하라와의 매치에서 첫 1패를 기록했다. 이후 2009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때는 전국적인 민주당 바람에 힘입어 이시하라 히로타카를 꺾고 지역구에서 당선되어 4선을 기록한다. 당선 후 민주당 도쿄도련 부회장을 맡다가, [[노다 요시히코]] 내각에서 국토교통 부대신을 맡게 된다. 그 뒤 노다 내각에서 국가공안위원장으로 임명되어 내각에 입각한다. 더불어 납치문제담당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소비자 및 식품안전 담당) 등을 겸직했다.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때는 민주당 정권의 역풍으로 자민당 이시하라 히로타카에게 다시 패배, 석패율 구제로 당선된다. 이후 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 대행을 거쳐, 국회대책위원장을 맡게 되었다. 더불어 민주당 도쿄도련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2년 뒤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이시하라에게 패배해 석패율 구제로 당선되었다. 어쨌든 그렇게 6선을 기록한 뒤 [[민진당(일본)|민진당]] 도쿄도련 회장에 선출 되었으나, [[2017년 도쿄 도의회 선거]]에서 민진당이 참패해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민진당을 탈당해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 창당에 합류한다. 그리고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희망의 당 소속으로 지역구에 출마했으나 또다시 자민당 [[이시하라 히로타카]]에게 패배하고, 석패율 구제로 당선된다. 다만 당시 희망의 당이 [[입헌민주당(2017년)]]에게도 밀리며 참패해 석패율 구제도 받지 못한 의원들이 많았던 걸 감안하면, 그나마 선거 운이 좋은 편이다. 어쨌든 그렇게 7선을 기록한 뒤에는 본인이 몸담고 있던 희망의 당이 해산하면서 한동안 무소속으로 활동했다. 그러다가 2020년, [[입헌민주당(2020년)]]에 합류해 입헌민주당 소속이 되었다. 이후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입헌민주당 소속으로 다시 지역구에 출마해, 이번에는 자민당 [[이시하라 히로타카]]를 꺾고 지역구 당선에 성공한다. 마쓰바라 본인에게는 2009년 이후 '''12년 만에 지역구 당선'''이니 감회가 새로울 듯 하다. 특히나 야당공투 열풍이 불던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속에서 [[일본공산당]]과의 단일화가 무산되고, 지역구에서 공산당 고자이 가쓰스케 후보가 11%가 넘는 득표율로 야당표를 분산시킨 와중에, 3%차로 신승하며 경쟁력을 보여줬다. 그러나 [[2023년]] [[6월 9일]], 입헌민주당을 탈당했다.[[https://news.yahoo.co.jp/articles/cd7e78fca9ce4c3c1d7d8e8ed9a1e572673f532c|#]] 다만, 입헌민주당 회파는 그대로 유지한다고 한다. == 정치 성향 == 입헌민주당 내 대표적인 보수파 의원이다. 특히 역사 문제나 대외관에 있어서는 [[고이케 유리코]]와 상당히 유사한 면이 있으며 여타 자민당의 [[보수방류]] 계열 인사들과 별 차이가 없을 정도다. * 국가공안위원장 재직 시절인 2012년 8월 15일, 민주당 정권 당시 각료들 중 최초로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05758687|했으며]], 9월에는 [[고노 담화]]를 조속히 수정해야한다고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05794442|주장했다.]] * 1년 뒤인 2013년 8월 15일에도 다른 의원들과 함께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0586721|#]] 이 당시 민주당 의원들 중에서는 마쓰바라 이외에 오구시 히로시, [[와시오 에이이치로]]까지 3명의 의원이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했다.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출마 당시 [[마이니치 신문]]의 후보자 질문에서도 고노 담화의 수정을 찬성했으며, [[평화 헌법]] 개정 찬성,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찬성[* 여담으로 노다 정권 시절 각료에 있을 때, 당시 노다 총리에게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할 것을 진언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노다 요시히코|노다 총리]]는 각료의 참배는 용인하고 이를 문제시하지 않을 것을 시사했지만 자신은 참배하지 않았다. ], [[특정비밀보호법]] 제정 찬성 등의 답변을 [[https://sp.senkyo.mainichi.jp/47shu/meikan.html?mid=A13003001001&st=tk|했다.]] * 한국 경찰청장이 독도에 방문하자 "결단코 용인할 수 없다. 정부는 미지근한 항의로 적당히 얼버무리지 말고 한국에 엄격한 외교적 메시지를 던져야 한다."라며 트위터 글을 올렸다. [[https://twitter.com/matsubarajin731/status/1460847943980765184|#]] * 2023년도 일본 중의원 외무위원회에서 2차대전 당시 조선인의 일본군 지원자 수가 해마다 크게 증가했다며 한국이 주장하는 조선인 강제연행은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의회에 출석한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이 “당시 내무성이 파악한 숫자의 정확한 확인이 어렵다”며 신중한 태도를 취하자, 마쓰바라 의원은 일본 정부의 “공식 기록을 인정하라”는 답변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일본 정부의 초등학교 교과서 검정 결과에 대해 한국 정부가 주한일본대사관 관계자를 초치해 항의한 것을 언급하며 해당 자료와 문서를 토대로 한국 정부에 항의해야 한다는 주장을 이어가는 등 강제징용을 부정하는 망언을 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465137?|#]]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신자유클럽)] || 1985 - 1986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1986 - 1989 || 탈당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1989 - 1993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3 || 신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신생당)] || 1993 - 1994 || 창당 || || [include(틀:신진당)] || 1994 - 1997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7 - 1998 || 탈당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1998 - 2016 || 창당 || || [include(틀:민진당(일본))] || 2016 - 2017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7 || 희망의 당 합류를 위한 탈당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2017 - 2020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0 || 신 입헌민주당 합류를 위한 탈당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2020 - 2023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3 - || 공천 문제로 인한 탈당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85 || 1985년 도쿄도 의회선거 ||<|3> 오타구 선거구 || [include(틀:신자유클럽)] || - || 낙선 || || || 1989 || 1989년 도쿄도 의회선거 || [include(틀:무소속)] || - || '''당선 (3위)''' || '''초선''' || || 1993 || 1993년 도쿄도 의회선거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 '''당선 (2위)''' || '''재선'''[* 1993.7 자유민주당 탈당, 신생당 입당] || || 1996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도쿄도 제3구|도쿄 3구]] || [include(틀:신진당)] || 67,653 (29.81%) || 낙선 (2위) || || || 1998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 || [[도쿄도 제4구|도쿄 4구]] || [include(틀:무소속)] || 35,521 (24.31%) || 낙선 (2위) || [* 야권 단일 후보 (민주우애태양국민연합)] || || 2000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8> [[도쿄도 제3구|도쿄 3구]] ||<|6> [include(틀:민주당(일본))] || '''84,372 (33.70%)''' || '''당선 (1위)''' || '''초선''' || || 2003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22,181 (47.30%)''' || '''당선 (1위)''' || '''재선''' || || 2005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23,999 (41.39%)''' || --낙선 (2위)--[br]'''당선 (석패율제)''' || '''3선''' || || 2009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63,791 (52.21%)''' || '''당선 (1위)''' || '''4선''' || || 2012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20,298 (41.26%)''' ||<|3> --낙선 (2위)--[br]'''당선 (석패율제)''' || '''5선''' || || 2014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11,353 (42.62%)''' || '''6선''' || || 2017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94,380 (38.18%)''' || '''7선''' || || 2021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124,961 (45.88%)''' || '''당선 (1위)''' || '''8선''' || == 기타 == * 작곡가인 [[스기야마 코이치]]가 마쓰바라의 선거송인 [[https://www.youtube.com/watch?v=tLFy6BGW9JU&t=17s|진·진·진·마쓰바라 진]]을 작곡해준 적이 있다. 이 인연으로 스기야마가 2021년 패혈증으로 인해 향년 90세의 나이로 사망하자 본인의 트위터에 그를 추모하는 글을 올렸다. [[https://twitter.com/matsubarajin731/status/1445999576440184834|#]] == 둘러보기 == [include(틀:일본 제49대 중의원 의원/무소속)] [include(틀:일본 제48대 중의원 의원/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민주당(일본)의 계파 분류)] [include(틀:민진당(일본)의 계파 분류)] [include(틀:입헌민주당의 계파 분류)] [include(틀:도쿄도의 국회의원)] [각주] [[분류:일본의 남성 정치인]][[분류:노다 내각 국무대신]][[분류:일본 국가공안위원장]][[분류:일본 내각부 특명담당대신]][[분류:제42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3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4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5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6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7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8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9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민진당(일본) 국회의원]][[분류:희망의 당(2017년) 국회의원]][[분류:입헌민주당(2020년) 국회의원]][[분류:일본의 도도부현의회의원]][[분류:1956년 출생]][[분류:이타바시구 출신 인물]][[분류:와세다대학 출신]][[분류:마쓰시타 정경숙 출신]][[분류:일본회의/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