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3]]]] [[넷플릭스/오리지널 콘텐츠 목록/영화#s-2.2|{{{#ffffff '''오리지널'''}}}]][br]{{{#f3c800 '''{{{+1 마에스트로 번스타인}}}''' (2023)[br]MAESTR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에스트로 번스타인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전기 || || '''감독''' ||[[브래들리 쿠퍼]] || || '''각본''' ||[[브래들리 쿠퍼]][br]조쉬 싱어[* [[스포트라이트(영화)|스포트라이트]]의 각본에 참여했다.] || || '''제작''' ||[[마틴 스코세이지]][br][[브래들리 쿠퍼]][br][[스티븐 스필버그]][br][[토드 필립스]][br]엠마 틸링거 코스코프[br]에이미 더닝[br]프레드 버너[* 에이미 더닝과 함께 이 프로젝트를 10년 넘게 준비했다고 한다.][br]크리스티 크리거 || || '''주연''' ||[[브래들리 쿠퍼]], [[캐리 멀리건]], [[제레미 스트롱]] || || '''촬영''' ||매튜 리바티크 || || '''편집''' ||미셸 테소로 || || '''미술''' ||케빈 톰슨 || || '''의상''' ||마크 브리지스 || || '''음향''' ||리차드 킹[br]톰 오자니치[br]딘 A.주판치치[br]스티브 모로우 ||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Amblin Entertainment[br]Joint Effort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1월 22일]][* 제한 개봉][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2월 6일]][* 제한 개봉] || || '''공개일''' ||[[파일:넷플릭스 아이콘.svg|width=20]] [[2023년]] [[12월 20일]] || || '''화면비''' ||1.33:1 || || '''상영 시간''' ||2시간 9분(129분) || || '''제작비''' ||- || || [[영상물 등급 제도|{{{#f3c800 '''상영 등급'''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R등급 로고.svg|height=22]]]] || || '''스트리밍'''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작곡가, 피아니스트인 [[레너드 번스타인]]의 생애와 아내와의 결혼에 관한 내용을 다루는 작품이다.[[https://deadline.com/2019/06/bradley-cooper-nightmare-alley-fox-searchlight-guillermo-del-toro-1202632909/|#]] [[스타 이즈 본]]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브래들리 쿠퍼]]가 주연, 연출, 각본, 제작을 모두 맡았다. 쿠퍼의 두 번째 연출작. == 개봉 전 정보 == * 상당히 오랫동안 구상된 프로젝트로, 본래는 [[파라마운트 픽쳐스]]가 제작을 맡고 [[마틴 스코세이지]]가 감독을 하기로 되었으나, [[아이리시맨]]의 촬영에 더 집중하기로 한 스코세이지는 [[스타 이즈 본]]이라는 데뷔작으로 큰 성공을 거둔 브래들리 쿠퍼에게 연출을 맡겼다. * [[토드 필립스]]가 연출하고 쿠퍼가 제작자로 참여한 [[조커(2019)|조커]]와 반대로 이번엔 [[스타 이즈 본]] 때 처럼 다시 쿠퍼가 감독직을 맡고 [[토드 필립스]]가 제작자로 참여했다. * 제작자로 참여한 [[스티븐 스필버그]]도 [[레너드 번스타인]]이 작곡한 뮤지컬 중 가장 유명하고 많이 공연되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를 1961년에 이어 두번째로 영화화하여 연출하기로 했다.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2021)]] 참조. 이 뮤지컬을 영화화해 [[아카데미 작품상]]을 비롯해 10개 부문의 상을 받은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1961)|1961년 첫번째 영화]]보다 더 [[브로드웨이#s-3.1]] 원작에 가깝게 구현한다고 한다. * [[2021년]] [[4월 5일]], [[LA]]에서 본격적인 촬영에 들어갔다고 보도 되었으나, 촬영이 지연되어 2021년 10월에 착수하였다고 알려졌다. [[https://productionlist.com/production/maestro/|#]], [[https://www.whats-on-netflix.com/news/leonard-bernstein-biopic-maestro-reportedly-begin-filmings-and-what-we-know-so-far/amp/|#]] * 2022년 하반기에 개봉하는 것을 목표로 제작 중이었으나 밀리고 밀려 소식이 없었다. 그리고 최근 [[브래들리 쿠퍼]]의 인터뷰를 통해 알려진 바에 따르면 2022년 5월에 드디어 본격적으로 촬영을 시작했다. [[https://twitter.com/filmupdates/status/1486008906757382148?s=21|#]] * 최근 공개된 촬영사진을 보면 정말 실존인물같은 [[브래들리 쿠퍼]]와 [[캐리 멀리건]]의 비주얼이다.[[https://www.soundhealthandlastingwealth.com/celebrity/carey-mulligan-joins-bradley-cooper-filming-leonard-bernstein-biopic-maestro/|#]] 두 배우 모두 실제인물의 청년과 노년을 연기한다. * 한국에서 개봉 타이틀이 '마에스트로 번스타인'으로 확정되었다. 2023년 기준 개봉한 영화 중에 이미 '마에스트로'가 들어간 영화가 많이 있던 것에 영향을 받은 듯하다. * [[제80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의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음이 발표되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U6GbM5c9aE)]}}}|| || '''티저 예고편''' || == 등장인물 == * [[브래들리 쿠퍼]] - [[레너드 번스타인]] * [[캐리 멀리건]] - 펠리시아 몬테알레그레[* 번스타인의 아내, [[칠레]] 출신 배우다.] * [[제레미 스트롱]] - 조나스 그룬버그('존 그룬')[* 사진작가로서 [[레너드 번스타인]]의 사진을 찍기도 했고, 번스타인의 자서전을 쓰기도 했다.] * [[마야 호크]] - 제이미 번스타인 * 샘 니볼라 - 알렉산더 번스타인 * 사라 실버먼 - 셜리 번스타인 * [[맷 보머]] - 번스타인과 연인관계 중 한명이었던 클라리넷 연주자 * 마이클 유리 - 제롬 로빈스 * 미리암 쇼어 - 신시아 오닐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maestro-2023, critic=80, user=<유저스코어 점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maestro_2023, tomato=95, popcorn=<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 코드>,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 코드>, presse=<전문가 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 코드>,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 코드>, egg=<지수>)]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 코드>, critic=<크리틱 평점>,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스코어>)] [include(틀:평가/TMDB, code=<영화 코드>, user=<점수>)]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영화 코드>, user=<점수>)]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영화 코드>, user=<별점>)] == 기타 == [[분류:2023년 영화]][[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 미국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전기 영화]][[분류:스티븐 스필버그]][[분류:마틴 스코세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