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천광역시 시내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천무의1.jpg|width=100%]]}}} || || {{{#white 무의1번 마을버스의 운행 모습}}} || [목차] == 개요 == 인천광역시에서 운행 중인 마을버스 노선이다. == 설명 == 인천광역시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은 3개 뿐이지만 2002년 이전에는 다양한 마을버스가 운영되었다. 하지만 2002년 2월 1일 마을버스 개편으로 [[인천 버스 무의1|중구 1번]], [[인천 버스 대곡5|서구 5번]], [[인천 버스 533|남동구 3번]], [[인천 버스 534|남동구 4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들은 [[지선버스(인천)|지선버스]]로 전환되고, 서구 5번도 공영버스로 전환되어 마을버스 노선은 3개만 남게 되었다. 이후 남동구 3번, 남동구 4번 마을버스는 현재의 지선버스 번호 체계와 동일하게 변경되어 [[인천 버스 533|533번]], [[인천 버스 534|534번]]으로 변경되고 중구1번 마을버스도 공영버스랑 번호가 중첩되어 무의1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어 현재에 이른다. 공식적으로 지선버스와 마을버스는 별도의 체계로 운영되지만 실제로는 차이가 없다. 요금과 운행체계, 차량 심지어 운행거리까지 지선버스와 동일하다. 심지어 [[인천 버스 587|587번]] 같은 단거리 지선버스 보다 운행거리가 더 길다. 다만 행정상으로 보자면 차이가 있다. 우선 마을버스는 준공영제 체계에서 제외되어 회사는 환승보조금을 제외한 어떠한 보조금도 받지 않고 운행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으며, 준공영제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통합행선판, 전면 LED 행선판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 행선판을 사용하고 있다. 그 중에서 533번, 534번은 2010년 지선버스 준공영제 참여 이전에 지선버스들이 주로 쓰던 행선판을 사용하고 있다. 무의1번의 경우 2021년 7월 10일부터 통합행선판과 비슷한 양식의 행선판[* 준공영제 시내버스의 행선판 제작 업체와 같은 업체에 주문하여 제작하였다. 지원이 나오지 않아 기사가 사비로 주문했다고 한다.]을 사용중이다. 533번과 534번은 지선버스 요금체계를 따르며, 무의1번은 간선버스 요금체계를 따르고 있다. 인천에서 운영하는 공영버스 역시 마을버스 면허이다. == 목록 == === 운행 노선 === [include(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 [include(틀:인천광역시 공영버스)] [[분류:인천광역시의 마을버스]] [[분류: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