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가등록문화재 영화)] ||<-2> {{{+2 '''마음의 고향'''}}} (1949)[br]''A Hometown in Hear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음의 고향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 윤용규 || || '''원작''' || 함세덕 || || '''각본''' || 곽일병[* 제작자 이강수의 가명] || || '''기획/제작''' || 이강수 || || '''제작사''' || 동서영화사 || || '''촬영''' || 한형모 || || '''조명''' || 고해진 || || '''편집''' || [[양주남]] || || '''음악''' || 박혜일 || || '''출연''' || [[변기종]], 유민, [[최은희(배우)|최은희]], [[석금성]] || || '''장르''' || 드라마 || || '''개봉일''' || [[1949년]] [[2월 9일]] || || '''개봉관''' || [[수도극장]] || [목차] [clearfix] [youtube(Jw4WFDq-uUg)] == 개요 == 함세덕의 희곡 〈동승〉을 영화화한 윤용규[* [[6.25 전쟁]] 직전 월북하여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중앙위원회 중앙위원을 지내는 등 북한에서 영화감독으로 활동하였다.] 감독의 1949년 개봉 영화. 윤용규 감독의 데뷔작이다. 한국 최초의 불교영화다. 신파성을 배제하고 모정의 그리움을 가진 동승에 초점을 둔 문예영화로 당시 ‘조선연극과 영화의 새로운 악수’, ‘해방 후 조선영화 최고봉의 신기록을 지은 수작’으로 주목받았다. 소년의 외로움을 담담하게 표현한 윤용규의 연출과 산사의 아름다운 풍광을 잘 담아낸 한형모의 촬영이 돋보인다. 1950년 4월 한국영화 최초로 [[프랑스]]에서 개봉했으며, 주한 프랑스 공사관 비서인 [[안병무(1912)|안병무]]의 주선으로 개봉할 수 있었다. == 등장인물 == * [[변기종]] - 주지 스님 역 * 유민 - 도성 역 * [[최은희(배우)|최은희]] - 미망인 역 * 오헌용 - 부전 스님 역 * 남승민 - 공양주 역 * [[석금성]] -미망인 母 역 * 최운봉 - 황선달 역 * 차근수 - 진수 역 * 김선영 - 도성 母 역 == 줄거리 == 도성(유민)은 어린 시절 어머니에게 버려져 먼 친척인 주지 스님([[변기종]]) 손에 자라난 [[동자승]]이다. 그는 항상 한 번도 뵙지 못한 어머니를 그리워한다. 어느 날 도성은 자기 또래의 자식을 잃고 공양을 드리기 위해 찾아온 미망인([[최은희(배우)|최은희]])을 보고 어머니와 같은 정을 느낀다. 미망인 역시 도성을 자식처럼 귀여워하며 수양아들로 삼을 생각을 하고 주지 스님에게 청을 드리나, 도성의 업이 많아 세상에 내보낼 수 없다는 거절의 답을 듣는다. 어느 날 어린 도성을 버리고 다른 남자와 도망갔던 도성의 어머니(김선영)가 찾아와 주지 스님에게 도성을 내어달라고 한다. 그러나 주지 스님은 이 청을 거절하고, 도성이 미망인의 수양아들로 들어가는 것을 허락한다. 어머니는 자신을 밝히지 않은 채 도성을 만난 후 슬퍼하며 떠난다. 그러나 도성이 미망인과 함께 서울로 떠나려는 즈음, 어머니에게 드릴 비둘기 깃털 부채를 만들고자 비둘기를 잡았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주지 스님은 크게 분노하여 도성을 세상으로 내보내지 않기로 한다. 얼마 후 도성은 어머니가 절에 찾아왔고 자신이 그녀를 몰라봤다는 것을 알고 어머니를 찾아 절을 나선다. == 기타 == * 《새로운 맹서》(1947), 《밤의 태양》(1948)에 이은 [[최은희(배우)|최은희]]의 3번째 출연작으로, 데뷔 초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영화가 촬영된 산사는 경북 김천의 청암사이고, 실내 장면은 서울 개운사에서 촬영되었다. * 2022년 [[한국영상자료원]]에서 4K 복원했다. [각주] [[분류:1949년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희곡 원작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분류:퍼블릭 도메인/영화]][[분류:양주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