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 {{{+1 {{{#FFFFFF ''' [[노벨상|{{{#FFFFFF 노벨}}}]][[노벨경제학상|{{{#FFFFFF 경제학상}}}]] [[노벨경제학상/수상자|{{{#FFFFFF 수상자}}}]] [br] ''' }}} }}} || ||<-5><:>[[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200]] || ||<:> [[1996년|{{{#FFFFFF 1996년}}}]] ||<:> ||<:> [[1997년|{{{#FFFFFF 1997년}}}]] ||<:> ||<:> [[1998년|{{{#FFFFFF 1998년}}}]] || ||<:> 제임스 멀리스 [br] 윌리엄 비크리 ||<:> → ||<:> '''마이런 숄즈''' [br] [[로버트 머튼]] ||<:> → ||<:>[[아마르티아 센]] || ||||<:>
{{{+1 '''{{{#white 마이런 숄즈[br]Myron Scholes}}}'''}}}||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yron_scholes.webp|width=100%]]}}} || ||<:>'''{{{#white 이름}}}'''||마이런 새뮤얼 숄즈 (Myron Samuel Scholes)|| ||<:>'''{{{#white 국적}}}'''||[[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8]]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white 출생}}}'''||[[1941년]] [[7월 1일]] ([age(1941-07-01)]세)[br][[캐나다]] [[온타리오주]] 티민스(Timmins) || ||<:>'''{{{#white 학력}}}'''||[[맥마스터 대학교]] {{{-2 ([[경제학]] / [[학사|B.A.]])}}} [br][[시카고 대학교]] 경영대학원 {{{-2 ([[MBA]] · [[Ph.D.]])[* 1964년 MBA · 1968년 경제학 박사]}}}|| ||<:>'''{{{#white 소속}}}'''||[[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br][[시카고 대학교]][br][[스탠퍼드 대학교]]|| ||<:>'''{{{#white 지도 교수}}}'''||[[유진 파마]] [br][[머튼 밀러]]|| ||<:>'''{{{#white 링크}}}'''||[[https://www.gsb.stanford.edu/faculty-research/faculty/myron-s-schole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마이런 새뮤얼 숄즈는 캐나다 출신의 경제학자이다. 파생상품의 가치 결정에 대한 새로운 방법인 [[블랙-숄즈 모형]]을 고안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7년에 [[로버트 머튼]]와 공동으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 또 다른 공로자인 피셔 블랙은 1995년에 사망하여 받지 못했다. 노벨상은 살아 있는 사람에게만 수여하기 때문이다. 즉 추서는 안된다.] == 생애 == 치과의사인 아버지와 백화점 체인 사업가인 어머니 아래서 태어났다. 5살 때 [[해밀턴(캐나다)|해밀턴]]으로 이사하여 학부 졸업 때 까지 지냈다. 16세 때 어머니가 암으로 돌아가시고, 본인도 눈에 이상이 생겨 시력 감퇴를 겪는 등 어려움을 겪었던 아픈 기억이 있다.[* 26세 때 각막 이식수술로 회복하였다.] 1962년 [[맥마스터 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64년 [[시카고 대학교]] 경영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머튼 밀러 교수의 권유로 동 대학 경제학 박사 과정에 진학했다. 1968년 증권의 수요곡선 형태를 분석한 박사학위 논문을 끝낸 후 MIT 슬로언 경영대학원 교수가 되었고, 이곳에서 많은 동료 학자들을 만나게 된다. 경영 컨설턴트로 일하고 있던 평생의 지우 [[피셔 블랙]]을 만난 것도 바로 이때이다. 1973년 숄즈와 블랙은 주식 옵션과 파생상품의 가치를 측정하는 '''[[블랙-숄즈 모형]]'''을 만들어내는데, 이전까지는 체계적인 측정법이 없었기 때문에 이 모형은 금융혁명이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찬사를 받았다. 숄즈의 업적은 이뿐만이 아니다. 숄즈는 1973~1980년의 기간 동안 시카고 대학교의 증권가격 연구원 원장으로 재직하면서 방대한 양의 증권가격 데이터를 정리하여 [[금융경제학]] 발전에 지대한 기여를 하기도 했다. 숄즈는 1983년 스탠퍼드 대학 경영대학원·로스쿨 종신교수가 되었고 현재까지도 재직 중이다. 1997년 [[블랙-숄즈 모형]]을 개발한 공로로 [[로버트 머튼]]과 함께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다. 아이러니하게도 학자로서 큰 명성을 얻었지만 실제 금융투자에서는 별로 재미를 보지 못했다. 몇몇 동료들과 힘을 합쳐 1993년 설립한 롱텀캐피털 매니지먼트([[LTCM]])사가 1997년 동아시아 금융위기 때 큰 손실을 입은 후 파산하고 만 것이다. 이후 1999년 플래티넘 그루브 자산운용을 설립하여 재기를 노렸지만 2008년에 다시 큰 손실을 입었던 경험이 있다. [[분류:1941년 출생]][[분류:온타리오주 출신 인물]][[분류:노벨경제학상 수상자]][[분류:미국의 경제학자]][[분류:캐나다의 경제학자]][[분류:시카고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시카고 대학교 MBA 출신]][[분류:맥마스터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