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44년 출생]][[분류:런던 출신 인물]][[분류:영국의 음악가]][[분류:음악학자]][[분류:대영제국 훈장 3등급]][[분류:왕립음악원 출신]][[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출신]] ||<-2> {{{#white '''마이클 나이먼'''}}}[br]{{{+2 {{{#cd9f51 '''Michael Nyman'''}}}}}}[br]{{{-1 [[대영제국 훈장|{{{#fff '''CB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이클 나이먼_BBC.png|width=100%]]}}} || || '''성명''' ||마이클 로렌스 나이먼 Michael Laurence Nyman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2> '''출생''' ||[[1944년]] [[3월 23일]] ([age(1944-03-23)]세) ||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런던]], 스트랫퍼드 || || '''직업''' ||작곡가, 피아니스트, 오페라 극작가, 음악학자 || || '''음악 사조''' ||[[미니멀리즘#s-3.4|미니멀리즘]] || || '''대표작''' ||[[피아노(영화)|피아노]] {{{-2 (1993년)}}} [[가타카]] {{{-2 (1997년)}}} || ||<|3> '''학력''' ||[[왕립음악원]] {{{-2 (음악 / [[학사]]) (1961년 – 1964년)}}} || ||[[킹스 칼리지 런던]] 대학원[* 지도교수: 서스톤 다트(Thurston Dart)[br][[https://www.kcl.ac.uk/kings-classical-alumni-playlist|King's Classical Alumni Playlist]] 참고] {{{-2 (음악 / [[석사|MMus Music]]) (1965년 – 1971년)}}} || ||[[워릭 대학교]] {{{-2 ([[명예박사]]) (2007년)}}} || || '''수훈''' ||[[대영제국 훈장]] 3등급 (CBE) {{{-2 (2008년)}}} || || '''{{{#white 링크}}}''' ||[[http://www.michaelnyman.com/|[[파일:마이클 나이먼 공식 홈페이지 로고.png|width=77]]]] || [목차] [clearfix] == 소개 == >"최고의 영화음악이란 음악이 있는지 없는지 분간할 수 없을 정도로 [[미니멀리즘#s-3.4|최소한의 역할]]을 하는 것에 그쳐야 한다. 영화의 줄거리에 맞는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은 물론 듣기에도 편해야 한다. 나는 굵은 글씨를 휘갈기는 것보다 '음악 벽지(壁紙)'를 만드는 것을 더 좋아한다." >- 마이클 나이먼 현대 [[미니멀리즘#s-3.4|미니멀리즘]]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겸 음악학자. 음악학(音樂學)적으로 '''미니멀리즘'''이란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 및 정의내린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Minimal_music|위키피디아 - Minimal Music]] 참고.] == 생애 == [[왕립음악원]]에서 작곡을 전공한 후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재학 중 기존의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즘]]에 환멸을 느껴 바로크 시대의 영국 작곡가 [[헨리 퍼셀]]과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악보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1966년엔 [[루마니아]]에서 민요를 채집하기도 했다. 이 즈음 그는 음악 비평가로 틈틈히 글을 기고하기 시작했으며, 1968년엔 ''The Spectator''지에 기고한 글을 통해 현대 음악에서 '''[[미니멀리즘]]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https://www.famouscomposers.net/michael-nyman|Famous Composers - Michael Nyman]] 참고] * 1993년작 영화 [[피아노(영화)|피아노]]의 [[오리지널 스코어]]를 작곡하여 [[골든 글로브]] 음악상을 수상했다. * 1997년작 영화 [[가타카]]의 작곡가로도 유명히다. * 2007년 [[워릭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학위를 수여 받았다. * 2015년 제 6회 오데사 국제 영화제에서 골든 듀크 평생 공로상(Golden Duke for Lifetime Achievement)을 받았다. == 대표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HiJkLmclkA, height=2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wsLDBsizwM, height=230)]}}} || || {{{#fff '''Chasing Sheep Is Best Left To Shepherds'''}}} || {{{#fff '''[[가타카|{{{#fff 가타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oOShA7omUk, height=2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5CtQ8Hnh-c, height=230)]}}} || || {{{#fff '''[[피아노(영화)|{{{#fff 피아노}}}]] - The Heart Asks Pleasure First'''}}} || {{{#fff '''[[피아노(영화)|{{{#fff 피아노}}}]] - The Scent Of Lov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vY1CU6z6Ro, height=2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dIVXPWX2no, height=230)]}}} || || {{{#fff '''The End of the Affair - Jealous of the Rain'''}}} || {{{#fff ''' The End of the Affair - Diary of Hat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WSFVdQQwhc, height=2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1ayNNFL_o0, height=230)]}}} || || {{{#fff '''Time Lapse'''}}} || {{{#fff '''The Libertine - Rochester's Farewell'''}}} || == 관련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EFi8f5QNU0, height=23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6dzB91h87I, height=230)]}}} || == 여담 == * 영화음악이 최소한의 역할만 하는 것이 좋다고 주장한 것과 달리 엄청나게 임팩트있고 굵직한 음악을 꽤 남겼다. 특히 The Departure같은 경우 영화 종반부의 분위기를 홀로 완전히 장악했다고 할 수준의 존재감을 보여준다. 물론 그런 음악들은 그만큼 결정적인 장면에 쓰였으므로 딱히 본인 주장에 모순되는 행동을 한 것은 아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