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AEAEA 0%, #FFFFFF 20%, #FFFFFF 80%, #EAEAEA);" {{{#ed1b2f ''' 마이클 도슨의 역임 직책 ''' }}} }}}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0%, #ffffff 20%, #ffffff 80%, #ffffff)" {{{#111836 ''' 토트넘 홋스퍼 FC 주장 ''' }}} }}} || || [[레들리 킹]][br]{{{-1 (2004~2012) }}} || {{{+1 {{{#111836 ▶ }}} }}} || '''{{{#ffffff 마이클 도슨[br]{{{-1 (2012~2014)}}}}}}''' || {{{+1 {{{#111836 ▶ }}} }}} || [[유네스 카불]][br]{{{-1 (2014~2015)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28900 0%, #f28900 20%, #f28900 80%, #f28900)" {{{#111836 ''' 헐 시티 AFC 주장 ''' }}} }}} || || [[커티스 데이비스]][br]{{{-1 (2014~2015) }}} || {{{+1 {{{#1b2e33 ▶ }}} }}} || '''{{{#ffffff 마이클 도슨[br]{{{-1 (2015~2018)}}}}}}''' || {{{+1 {{{#1b2e33 ▶ }}} }}} || [[마르쿠스 헨릭센]][br]{{{-1 (2018~2019)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F102A 0%, #CF102A 30%, #CF102A 70%, #CF102A)" {{{#ffffff ''' 노팅엄 포레스트 FC 주장 ''' }}} }}} || || [[크리스 코헨]][br]{{{-1 (2013~2018) }}} || {{{+1 {{{#CF102A ▶ }}} }}} || '''{{{#CF102A 마이클 도슨[br]{{{-1 (2018~2021)}}}}}}''' || {{{+1 {{{#CF102A ▶ }}} }}} || [[루이스 그라반]][br]{{{-1 (2021~2022)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AEAEA 0%, #FFFFFF 20%, #FFFFFF 80%, #EAEAEA)" {{{#ed1b2f '''마이클 도슨의 수상 이력''' }}} }}}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틀:토트넘 홋스퍼 FC 올해의 선수(2000년대)|[[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b1c56; font-size: 0.9em" [[틀:토트넘 홋스퍼 FC 올해의 선수(2000년대)|{{{#ffffff '''2009-10 토트넘 올해의 선수'''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2015-16 PFA 올해의 팀/EFL|[[파일:PFA_UK_logo.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2015-16 PFA 올해의 팀/EFL|{{{#c18e33 '''2015-16 PFA 올해의 팀/EFL'''}}}]]}}} || || || || }}} || ||<-3> {{{+1 [[토트넘 홋스퍼 FC|{{{#001c58 '''토트넘 홋스퍼 FC 앰버서더'''}}}]]}}} || ||<-3> {{{#ffffff '''Tottenham Hotspur Football Club'''}}}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7A40574-E9D4-4D5C-B5EF-6F7E73736CE6.jpg|width=100%]]}}}|| ||<-2> '''{{{#ffffff 이름}}}''' || '''{{{#001c58 {{{+1 마이클 도슨}}} [br] Michael Dawson}}}''' || ||<-2> '''{{{#ffffff 본명}}}''' ||마이클 리처드 도슨[br]Michael Richard Dawson || ||<-2><|2> '''{{{#ffffff 출생}}}''' ||[[1983년]] [[11월 18일]] ([age(1983-11-18)]세) || ||[[잉글랜드]] [[노스요크셔]]주 햄블턴 노샐러턴 || ||<-2>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 ||<-2> '''{{{#ffffff 신체 조건}}}''' ||191cm || ||<-2> '''{{{#ffffff 포지션}}}''' ||[[센터백]] || ||<|2> '''{{{#ffffff 소속}}}''' || '''{{{#ffffff 선수}}}''' ||{{{-1 [[노팅엄 포레스트 FC]] (1997~2001 / ^^유스^^)}}} [br] [[노팅엄 포레스트 FC]] (2001~2005)[br]'''[[토트넘 홋스퍼 FC]] (2005~2014)'''[br][[헐 시티 AFC]] (2014~2018)[br][[노팅엄 포레스트 FC]] (2018~2021) || || '''{{{#ffffff 기타}}}''' ||[[토트넘 홋스퍼 FC]] 앰버서더 (2021~ ) || ||<-2> '''{{{#ffffff 국가대표}}}'''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4경기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 2010~2011)^^ || [목차] [clearfix] == 개요 == 잉글랜드의 전 축구선수. 선수 시절 포지션은 센터백이다. == 클럽 경력 == === [[노팅엄 포레스트 FC]] 1기 === 14세에 [[노팅엄 포레스트]]와 계약하였다. 2002년 4월 1일 [[월솔 FC]]와의 경기에서 1군 데뷔전을 치뤘다. 이듬해 2002-03 시즌부터 주전으로 정착하였다. === [[토트넘 홋스퍼 FC]] === 2005년 1월 31일, 이적료 800만 파운드에 [[토트넘 홋스퍼 FC]]로 이적하였다. 이적 이후에 4월 16일 [[리버풀 FC]]전에서 프리미어 리그에 데뷔하였다. 2006년부터는 주전으로 정착하였고 2006년 3월에는 2011년까지 계약을 연장하였다. 2006-07 시즌은 부상으로 이탈한 주장 레들리 킹의 몫까지 합계 58경기에 출전하였다. 첼시와의 리그 경기에서 동점골을 득점하며 프리미어리그 첫 득점에 성공했으며 토트넘이 첼시에 16년 만에 승리하는데 공을 세웠다. 시즌 종료 후에는 계약을 2012년까지 연장하였다. 2008년 겨울 [[조나단 우드게이트]]가 영입되며 경쟁자가 들어왔고 2008-09 시즌에는 백업으로 밀려났지만, 2009-10 시즌에는 킹, 우드게이트 모두 부상으로 이탈해 풀타임 주전으로서 활약하였다. 토트넘의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 획득에 기여하고 토트넘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하였고 주장에 취임하였다. 2010-11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첫 출전하였다. 디펜딩 챔피언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와 같은 조가 되었다. 힘든 조에서 선두 통과하였고, 16강에서 [[AC 밀란]]를 꺾고, 주장으로서 팀을 8강으로 이끌었다. 2011-12 시즌에는 부상으로 시즌을 거의 날려 13경기만 출전했고 2012-13시즌에는 전반기엔 부상과 부진했으나 후반기에 거의 선발로 활약하여 시즌 34경기 2골 1도움을 기록하였다. 유로파리그 조별리그 2라운드에서 헤딩골로 선제득점을 하였으나 팀은 1대1 무승부를 하였으며 리그 13라운드 웨스트햄과의 홈 경기에서 [[저메인 데포]]의 선제골을 도왔으며 21라운드 헤딩과의 홈경기에서 헤딩골을 넣었다. 2013-14 시즌에는 41경기 출전하여 팀을 유로파리그 진출에 힘을 보태었다. === [[헐 시티 AFC]] === 2014년 8월 26일 [[헐 시티 AFC]]로 이적하였다. 계약기간은 3년간으로 알려졌다. 시즌 28경기 1골을 넣었다. 리그 33라운드 리버풀과의 홈 경기에서 헤딩골을 넣어 팀을 1대0 승리로 거두게 하였다. === [[노팅엄 포레스트 FC]] 2기 === 2018년 7월 1일자로 노팅엄 포레스트에 합류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마이클 도슨은 노팅엄 포레스트를 떠난지 13년만에 복귀하게 되었다. 2020-21 시즌을 앞두고 은퇴의 기로에 섰지만 다시 1년 재계약을 했다. 하지만 새로 부임한 [[크리스 휴튼]] 감독의 시즌 구상에 제외되면서 전력외 자원이되어 벤치에도 앉지 못하고있다. 팀이 16라운드를 지나 강등권에 들어가 있지만 여전히 도슨은 감독의 부름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팀에서 훈련은 받고 있지만 전력외라서 친정팀 토트넘이 경기 당일 날 유튜브에서 방송하는 N17 LIVE의 패널로 출연하고 있기도 하다. 결국 2020-21 시즌 종료 후 은퇴를 선언했다. 은퇴와 동시에 토트넘의 클럽 앰버서더로 위촉되었다. == 국가대표 경력 == U-21 잉글랜드 국가 대표 경력이 있다. 2006년 독일 월드컵은 예비 명단에 선정되었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도 예비 명단에 선정됐지만 대회 직전에 부상한 [[리오 퍼디난드]] 대신 대표팀에 포함되었다. 월드컵 경기를 뛰지는 못했지만 8월 11일 헝가리와의 친선 경기에서 데뷔하였다. 첫 경기에서는 [[존 테리]]와 교체되어 들어가 후반전동안 뛰었다. 전반에 [[필 야기엘카]]가 자책골을 넣었지만 [[스티븐 제라드]]가 멀티골로 덮어서 승리했다. 2010년 9월 [[유로 2012]] 예선 불가리아전에서 선발출전했고 후반 12분 [[개리 케이힐]]과 교체되었다. [[저메인 데포]]의 해트트릭과 [[아담 존슨]]의 골이 나와서 4:0으로 승리했다. 2011년 2월 덴마크와 친선경기에서 선발출장했고 후반 15분 [[개리 케이힐]]과 교체되었다. 팀은 [[다니엘 아게르]]에게 실점했지만 [[애슐리 영]]과 [[대런 벤트]]의 골로 역전승했다. 2011년 3월 [[유로 2012]] 예선 웨일스전에서 풀타임을 뛰었다. [[프랭크 램파드]]와 [[대런 벤트]]가 득점했고 잉글랜드의 실점은 없었다. == 여담 == * 삼형제가 모두 축구선수로 활동했었고 막내인 마이클이 제일 잘 풀렸다. 조카들도 축구를 하고 있다. [[분류:1983년 출생]][[분류:2001년 데뷔]][[분류:2021년 은퇴]][[분류:노스 요크셔 자치구 출신 인물]][[분류:잉글랜드의 축구선수]][[분류:노팅엄 포레스트 FC/은퇴, 이적]][[분류:토트넘 홋스퍼 FC/은퇴, 이적]][[분류:헐 시티 AFC/은퇴, 이적]][[분류:잉글랜드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