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마이클 브라운}}}[br]Michael E. Brow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vista.no/file.image.jpg|width=100%]]}}} || ||<|2> '''출생''' ||[[1965년]] [[6월 5일]] ([age(1965-06-05)]세) || ||[[미국]] [[앨라배마]] [[헌츠빌]]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직업''' ||[[천문학자]] || || '''학력''' ||[[프린스턴 대학교]] {{{-2 (물리학 학사 )}}} [br] [[UC 버클리]] {{{-2 (천문학 / 석사, 박사)}}} || || '''링크''' ||[[https://mikebrown.caltech.edu|[[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lutokiller, 크기=20)]||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michael e. brown, signature.jp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천문학자]].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를, [[UC 버클리]]에서 [[천문학]]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교수이다. == 업적 == 공동 연구팀 채드 트루히요, 데이비드 래비노위츠와 함께 [[콰오아]], [[하우메아]], [[마케마케]], [[에리스]] 등 [[해왕성]] 바깥 천체를 2016년 현재 36개나 찾아냈다. 특히 [[명왕성]] 못지 않게 큰[* 당초에는 명왕성보다 크다고 생각되었으나, [[뉴 호라이즌스]]의 탐사로 인해 명왕성의 크기가 소폭 커진 값으로 밝혀지게 되면서 이 점은 확실하지 않게 되었다.] 천체 [[에리스(왜행성)|에리스]]의 발견으로 명왕성의 행성 자격 논란이 벌어졌고, 결국 국제천문연맹 회의에서 퇴출되었다. 본의 아니게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전락시킨 당사자가 되버린 셈. 이 덕분에 명왕성을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시키고 카이퍼 벨트의 왜소행성으로 분류하자는 제청을 올린 [[닐 디그래스 타이슨]]과 함께 '''명왕성 킬러'''로 불린다. MPC 번호 11714번 소행성에 그의 이름이 붙었다. [[2007 OR10]]가 흰색을 띌 것으로 추정하여 이 천체의 별명으로 [[백설공주|Snow White]]라고 불렀으나 스펙트럼 조사를 한 결과 붉은색이어서 취하되었다. [[명왕성]] 항목에서 보듯 명왕성의 [[행성]] 퇴출 및 [[왜행성]]으로의 격하 때문에 전세계의 사람들로부터 수많은 항의를 받았다고 한다. 나중에는 [[빅뱅 이론]]이나 [[스티븐 콜베어]]의 쇼에도 출연하고, 최근에는 아예 캘텍의 사무실에다 "내가 어떻게 명왕성을 죽였고 왜 명왕성은 죽을 수 밖에 없었는지(How I killed Pluto and why it had it coming)" 라는 자서전[* 국내에서는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91191311020|나는 어쩌다 명왕성을 죽였나]] 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표지를 인쇄해서 붙여놓고 있다고 한다. 사무실 문과 관련해선 진위여부는 불명이나 [[https://onsizzle.com/i/michael-e-brown-when-you-are-dead-you-dont-know-472454|이런 짤]]도 있다.[* 해석: 당신이 죽는다면, 당신은 스스로가 죽었다는 걸 모를 것이다. 오직 남들만 괴로워할 것이다. '''당신이 멍청할 경우에도 동일하다'''.] 그리고 홈페이지에는 다른 저작들과 함께 이 책도 당당하게 소개되어 있다. [[트위터]]도 있는데 아예 아이디부터가 '''"플루토 킬러"'''다. 명왕성을 한글로 표시하는 경우 잘 안 와닿을 수 있는데 Pluto는 말 그대로 명왕[冥王] 이라 Pluto Killer 는 한국어로 하면 "명왕살인마" 쯤 되는 중2병스러운 이름이 된다. [[https://twitter.com/plutokiller|#트위터 계정]] 계정의 배경 화면은 [[플래닛 킬러]]로 유명한 [[죽음의 별|데스스타]]가 행성을 부수는 모습. 당연히 노리고 올린 것이다. [[파일:external/pbs.twimg.com/C7Uq2ZdVwAECu0m.jpg]]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출연한 모습. 해탈한 듯하다. 다만 이와 별개로 명왕성이 여전히 행성이라고 각종 눈물겨운 정신승리를 시도하는 명왕성빠[* 단순한 트롤러만 있는건 아니고 의외로 [[NASA]]에서 활동하는 저명한 학자들도 꽤 있다. 명왕성 탐사선 [[뉴 호라이즌스]]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앨런 스턴은 트위터에서 '''외계행성 연구 경력의 천문학자'''에게 "천문학이나 연구해라 행성과학에 찝적거리지 말고", "천문학자가 행성의 정의를 논하는 것보다 소아과 의사의 뇌수술 참견이 더 연관성 있다"는 괴이한 트윗을 남기며 키배를 유발하기도 했다.[[https://twitter.com/AlanStern/status/975561344182292480|###]]]들의 허황된 주장에 대해서는 단호하다. [[https://twitter.com/plutokiller/status/979909478932922368|#]] 그리고 명왕성보다 15배 이상의 거리에서 타원형으로 공전하는 9번째 행성의 존재를 예측했다. 만약 이 예측이 정확하다면 브라운 박사는 태양계에서 행성 하나를 퇴출시키고 다른 행성 하나를 써 넣은 전무후무한 인물이 된다. 자세한 건 [[제9행성]] 참조. 2020년 4월 저서인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91191311020|<나는 어쩌다 명왕성을 죽였나>('How I Killed Pluto and Why It Had It Coming)]]가 한국어로 번역, 출판되었다. 앞서 말한 명왕성의 축출 과정을 다룬 책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마이클 브라운, version=70, paragraph=1.1)] [[분류:1965년 출생]][[분류:헌츠빌(앨라배마)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천문학자]][[분류:인물 템플릿 미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