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TMDK)] [목차] == 프로필 == || 링네임 || Mikey Whiplash [br] Mick Kerrigan [br] Nick Miller [br] '''Mikey Nicholls''' || || 본명 || Michael Nicholls || || 생년월일 || 1985년 8월 20일 || || 출신지 || [[호주]]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퍼스]] || || 신장 || 178cm || || 체중 || 84kg || || 별명 || Mean Machine [br] '''Mad''' || || 주요 커리어 || NWA 오스트레일리안 내셔널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EPW 헤비웨이트 챔피언 3회 [br] EPW 태그팀 챔피언 2회 [br] EPW 세레톤 럼블 우승 (2009년) [br] EWF 아메리칸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ROH 라이즈 오브 프루브 토너먼트 우승 (2012년) [br] SHWA 태그팀 챔피언 1회 [br] STW 엠비션 글로벌 챔피언 1회 [br] [[GHC 태그팀 챔피언십|GHC 태그팀 챔피언]] 1회 || || 피니쉬 무브 || '''블루 벤전스'''[* 문설트] [br] 마이키 밤 [br] 슈팅스타 프레스 || == 커리어 == 호주 출신 프로레슬러. === WWE에 입성하기 이전 === 2001년에 Explosive Coastal Wrestling에서 데뷔해 '''마이키 윕래쉬'''라는 링네임으로 시작해 인비테이셔널 토너먼트 참가자로 등장해 싸이코펫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지만 지미 페인에게 패하며 탈락된다. 2002년에 '''마이키 니콜스'''로 링네임을 바꾸고, Explosive Coastal Wrestling가 Explosive Pro Wrestling으로 바꾸면서 싱글에서 뜨고다니다가 2004년에 셰인 헤이스트와 처음으로 경기를가지게 되면서 승리를 거둔다. 호주에서 잘나가는선수로 활동하는 마이키 니콜스는 [[데이비스 스톰]], FN 카네지를 상대로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승리를 거둬 EPW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하고, 2005년에 리처에게 패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지만 리처와 스트리트 팡트 매치로 맞붙어 승리를 거둬 챔피언벨트 탈환과 동시에 통산 2회 챔피언이 된다. 2005년부터 미국에도 진출하며, [[하틀리 잭슨]]과 같이 팀을 이뤄 APW에서 태그팀 경기를 갖다가 AWS에서도 출전하고, 이노키 도조에도 출전한다. 호주와 미국을 오가며 활동하다가 [[안토니오 이노키]] 덕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에도 첫 출연해 일본에도 진출하고, [[고토 히로오키]] & [[다나카 미노루]]와 경기를 갖지만 패한다. 계속해서 호주와 미국을 오가며 경기를 가지는 마이키 니콜스는 하틀리 잭슨을 중시으로 결성된 [[TMDK]] 일원으로도 활동하고, 2011년에 일본의 [[프로레슬링 NOAH]]에서 활동을 시작하며 셰인 헤이스트와 함께 각 나라별 레슬러들과 경기를 가지고, 여기서도 셰인 헤이스트와 경기를 가져 승리를 거둔다. 미국활동도 병행하먀 [[ROH]]를 포함해 [[OVW]]에서도 경기를 가지고, NOAH에서의 활동이 많아지면서 미국활동이 많이 줄어들면서 호주와 일본을 오가며 활동을 하다가 2015년에 셰인 헤이스트와 같이 [[스기우라 타카시]] & [[다나카 마사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새로운 GHC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그러나 보유한지 1달만에 [[데이비 보이 스미스 주니어]] & [[랜스 아처]]에게 패하며 태그팀 챔피언 자리를 잃고, 2015년에 WWE 입단테스트에 셰인 헤이스트와 참가해 통과하며 수련생 계약을 맺게돈다. === [[WWE NX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MDK)] === WWE에서 방출된 후 === 3년간의 WWE NXT에서의 활동을 마무리하고 가족과의 시간을 위해 호주로 돌아간 마이키 니놀스는 2019년에 MCW에서 복귀하며 JK 무디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1달 후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을 시작하며 [[CHAOS]]의 일원이 된다. EPW에선 [[마이클 몰레오네]]를 꺾고 통산 3회 EPW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한다. 2020년에 코로나가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호주로 돌아갈 수 밖에 없었고, 2021년에 복귀하면서 EPW 헤비웨이트 챔피언 자리를 매번 방어하며 다녔으나 [[줄리안 워드]]와의 웨이스트랜드 워페어 매치에서 패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호주에서만 활동하다가 2022년에 다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을 재개하면서 TMDK 시절 동료들인 [[조나 락]] & 셰인 헤이스트와도 재회하며 같이 팀으로 다니지만 조나 락이 다시 WWE로 돌아가면서 셰인 헤이스트와 같이 TMDK의 오리지널 멤버로 남게되면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다양한 유닛들과 경기를 가지고,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의 활동이 많아진 후부터 호주에서 경기 가지는 일이 줄어들고, 2023년에는 오랜만에 미국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AEW(프로레슬링)|AEW]]이 인수한 ROH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셰인 헤이스트와 같이 [[숀 딘]] & 카리 브라보를 꺾고 AEW 본무대에서도 경기를가지며 [[AEW 레슬드림]]에서 셰인 헤이스트 & 배드 듀드 티토와 같이 [[빌리 건]] & 디 어클레임드([[맥스 캐스터]] & [[앤서니 보웬스]])를 상대로 AEW 월드 트리오스 챔피언십 매치에 도전했지만 패한다. == 기타 == * [[하틀리 잭슨]] & [[데이비스 스톰]] & [[록키 로메로]] & [[마루후지 나오미치]]의 제자이다. * 슬하에 딸 2명이 있는 유부남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CHAOS)] ||<-5>
{{{#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s-2.6|{{{#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최우수 태그팀 상}}}]]'''}}} || || GET WILD [br] ([[소야 마나부]] & [[오오모리 타카오]]) [br] (2012) || → || '''[[TMDK]]''' [br] ('''마이키 니콜스''' & 셰인 헤이스트) [br] (2013) || → || 탄환([ruby(弾丸, ruby=だんがん)]) 양키즈 [br] ([[다나카 마사토]] & [[스기우라 타카시]]) [br] (2014) || [[분류:호주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85년 출생]][[분류:2001년 데뷔]][[분류:퍼스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