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마지막 바이킹]][[분류:웹소설/목록]] ||<-2>
{{{#d9d9d9 '''{{{+1 {{{#!html 마지막 바이킹}}}}}}'''}}}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막바킹표지.png|width=100%]]}}} || || '''{{{#d9d9d9,#d9d9d9 장르}}}''' ||[[대체역사물|{{{#010101,#d9d9d9 대체역사}}}]], [[여주물|{{{#010101,#d9d9d9 여주}}}]] || || '''{{{#d9d9d9,#d9d9d9 작가}}}''' ||[[까다롭스키|{{{#010101,#d9d9d9 까다롭스키}}}]] || || '''{{{#d9d9d9,#d9d9d9 출판사}}}''' ||{{{#010101,#d9d9d9 문피아}}} || || '''{{{#d9d9d9,#d9d9d9 연재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문피아|{{{#010101,#d9d9d9 문피아}}}]] [[https://novel.munpia.com/344837|▶]][br][[네이버 시리즈|{{{#010101,#d9d9d9 네이버 시리즈}}}]] [[https://series.naver.com/novel/detail.series?productNo=9711257|▶]][br][[버프툰|{{{#010101,#d9d9d9 버프툰}}}]] [[https://bufftoon.plaync.com/series/1009754|▶]][br][[북큐브|{{{#010101,#d9d9d9 북큐브}}}]] [[https://www.bookcube.com/novel/detail.asp?serial_num=sf6404|▶]][br][[리디|{{{#010101,#d9d9d9 리디}}}]] [[https://ridibooks.com/books/425369457|▶]][br][[카카오페이지|{{{#010101,#d9d9d9 카카오페이지}}}]] [[https://page.kakao.com/content/62188021|▶]][br][[원스토리|{{{#010101,#d9d9d9 원스토리}}}]] [[https://onestory.co.kr/detail/H044658544|▶]][br][[조아라(웹사이트)|{{{#010101,#d9d9d9 조아라}}}]] [[https://www.joara.com/book/1697295|▶]]}}} || || '''{{{#d9d9d9,#d9d9d9 연재 기간}}}''' ||2023. 01. 05. ~ 연재 중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대체역사물]], [[여주물]] [[웹소설]]. 작가는 [[까다롭스키]]. == 줄거리 == >사백 년간 끝나지 않을 혹독한 겨울. 멸망을 앞둔 그린란드의 마지막 바이킹 소녀 시그리드는 모험에 나선다. > >역병과 전쟁, 기근 속에서 끝을 향해 달려가는 유럽의 중세. > >미래의 지식을 담은 검은 책 한 권만을 옆구리에 낀 채, 시그리드는 거침없이 그 가운데로 뛰어든다. > >한 시대를 끝내고, 정해진 운명을 비틀어야 하는 한이 있더라도, 사랑하고 아끼는 모두를 위해서라면 기꺼이 감수할 수 있는 대가이기에. === 회차 일람 === {{{#!folding 회차 [ 펼치기 · 접기 ] ||
<:> {{{#d9d9d9 '''화수''' }}} ||<:> {{{#d9d9d9 '''회차수''' }}} ||<:> {{{#d9d9d9 '''제목''' }}} ||<:> {{{#d9d9d9 '''연도''' }}} || || 1 || 서장 || [[One of These Nights|그런 어느 날 밤]] || 2022 || || 2 ||<|5> 1 ||<|5> [[Starman|별사람]] ||<|3> 1406 || || 3 || || 4 || || 5 ||<|6> 1407 || || 6 || || 7 ||<|4> 2 ||<|4> [[Bridge Over Troubled Water(노래)|험한 물 위의 다리]] || || 8 || || 9 || || 10 || || 11 ||<|4> 3 ||<|4> [[Dancing Queen|춤추는 여왕]] ||<|5> 1408 || || 12 || || 13 || || 14 || || 15 ||<|4> 4 ||<|4> [[Born to Be Wild|거칠게 태어나다]] || || 16 ||<|5> 1409 || || 17 || || 18 || || 19 ||<|5> 5 ||<|5> [[Love Songs(비 지스)|부서진 심장을 어떻게 고칠까]] || || 20 || || 21 || 1410 || || 22 ||<|4> 1409 || || 23 || || 24 ||<|5> 6 ||<|5> [[Bohemian Rhapsody|보헤미아 광시곡]] || || 25 || || 26 ||<|9> 1410 || || 27 || || 28 || || 29 ||<|3> 7 ||<|3> [[Communication Breakdown|연락두절]] || || 30 || || 31 || || 32 ||<|4> 8 ||<|4> [[Get Down Tonight|오늘 밤엔 드러눕자]] || || 33 || || 34 || || 35 ||<|12> 1411 || || 36 ||<|4> 9 ||<|4> [[Stayin' Alive|살아서 버티다]] || || 37 || || 38 || || 39 || || 40 ||<|5> 10 ||<|5> [[Boney M./디스코그래피#s-1.3|바빌론의 강물]] || || 41 || || 42 || || 43 || || 44 || || 45 ||<|5> 11 ||<|5> [[Purple Haze|보랏빛 안개]] || || 46 || || 47 ||<|4> 1412 || || 48 || || 49 || || 50 ||<|5> 12 ||<|5> [[Immigrant Song|이민자의 노래]] || || 51 ||<|4> 1413 || || 52 || || 53 || || 54 || || 55 ||<|4> 13 ||<|4> [[Rock the Boat|배를 흔들어라]] ||<|4> 1414 || || 56 || || 57 || || 58 || || 59 ||<|4> 14 ||<|4> [[A Horse with No Name|이름 없는 말 한 필]] ||<|4> 1415 || || 60 || || 61 || || 62 || || 63 ||<|4> 15 ||<|4> [[Smoke on the Water|물 위의 연기]] ||<|9> 1416 || || 64 || || 65 || || 66 || || 67 ||<|4> 16 ||<|4> [[Whatever Gets You Thru The Night|무엇이든 밤을 견디게끔 해 준다면]] || || 68 || || 69 || || 70 || || 71 ||<|5> 17 ||<|5> [[Night Fever|밤의 열기]] || || 72 ||<|6> 1417 || || 73 || || 74 || || 75 || || 76 ||<|4> 18 ||<|4> [[cant stop the music|음악을 멈출 수는 없다네]] || || 77 || || 78 ||<|7> 1418 || || 79 || || 80 ||<|5> 19 ||<|5> [[듀란 듀란#s-4|늑대처럼 굶주린]] || || 81 || || 82 || || 83 || || 84 || || 85 ||<|4> 20 ||<|4> [[Nothing from Nothing|빈손에서 빈손만큼]] ||<|7> 1419 || || 86 || || 87 || || 88 || || 89 ||<|4> 21 ||<|4> [[Good Times Bad Times|좋을 때든 나쁠 때든]] || || 90 || || 91 || || 92 ||<|5> 1420 || || 93 ||<|5> 22 ||<|5> [[California Dreamin'|캘리포니아를 꿈꾸며]] || || 94 || || 95 || || 96 || || 97 ||<|11> 1421 || || 98 ||<|5> 23 ||<|5> [[Imagine(노래)|그려보자꾸나]] || || 99 || || 100 || || 101 || || 102 || || 103 ||<|5> 24 ||<|5> [[Under Pressure|압박 아래서]] || || 104 || || 105 || || 106 || || 107 || || 108 ||<|5> 25 ||<|5> [[Rock With You|그대와 함께 흔들면서]] ||<|9> 1422 || || 109 || || 110 || || 111 || || 112 || || 113 ||<|5> 26 ||<|5> [[No More Tears (Enough Is Enough)|눈물은 이제 그만]] || || 114 || || 115 || || 116 || || 117 ||<|10> 1423 || || 118 ||<|5> 27 ||<|5> [[What a Fool Believes|바보가 믿는 것]] || || 119 || || 120 || || 121 || || 122 || || 123 ||<|5> 28 ||<|5> [[Instant Karma! (We All Shine On)|즉석 업보]] || || 124 || || 125 || || 126 || || 127 ||<|13> 1424 || || 128 ||<|4> 29 ||<|4> [[Wish You Were Here(노래)|네가 여기 있었다면]] || || 129 || || 130 || || 131 || || 132 ||<|5> 30 ||<|5> [[Sympathy for the Devil|악마를 위한 동정]] || || 133 || || 134 || || 135 || || 136 || || 137 ||<|5> 31 ||<|5> [[Life on Mars?|화성에도 생명이]] || || 138 || || 139 || || 140 ||<|4> 1425 || || 141 || || 142 ||<|4> 32 ||<|4> [[What's Going On(노래)|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 || 143 || || 144 ||<|18> 1426 || || 145 || || 146 ||<|4> 33 ||<|4> [[https://namu.wiki/w/Harvest(음반)|황금 심장]] || || 147 || || 148 || || 149 || || 150 ||<|5> 34 ||<|5> [[Back in Black(노래)|검게 돌아오다]] || || 151 || || 152 || || 153 || || 154 || || 155 ||<|3> 35 ||<|3> [[Killing Me Softly with His Song|그의 노래로 나를 부드럽게 죽이며]] || || 156 || || 157 || || 158 ||<|5> 36 ||<|5> [[I Shot the Sheriff|보안관을 쏘았네]] || || 159 || || 160 || || 161 || || 162 || 1427 || || 163 ||<|5> 37 ||<|5> [[War(노래)|전쟁]] ||<|25> 1428 || || 164 || || 165 || || 166 || || 167 || || 168 ||<|5> 38 ||<|5> [[Paint It Black|검게 칠하기]] || || 169 || || 170 || || 171 || || 172 || || 173 ||<|5> 39 ||<|5> [[All Along the Watchtower|망루를 따라 쭉]] || || 174 || || 175 || || 176 || || 177 || || 178 ||<|5> 40 ||<|5> [[Mr. Blue Sky|푸른 하늘 아저씨]] || || 179 || || 180 || || 181 || || 182 || || 183 ||<|5> 41 ||<|5> [[A Fifth of Beethoven|베토벤의 5분의 1]] || || 184 || || 185 || || 186 || || 187 || || 188 ||<|5> 42 ||<|5> [[https://en.wikipedia.org/wiki/Eve_of_Destruction_(song)|파멸 전야]] ||<|9> 1429 || || 189 || || 190 || || 191 || || 192 || || 193 ||<|4> 43 ||<|4> [[https://en.wikipedia.org/wiki/Aquarius/Let_the_Sunshine_In|물병자리]] || || 194 || || 195 || || 196 || || 197 ||<|5> 44 ||<|5> [[The Man Who Sold the World(곡)|세상을 팔아넘긴 사내]] ||<|5> 1430 || || 198 || || 199 || || 200 || || 201 || || 202 ||<|4> 45 ||<|4> [[Take Me Home, Country Roads|고향 가는 시골길]] ||<|21> 1431 || || 203 || || 204 || || 205 || || 206 ||<|4> 46 ||<|4> [[https://en.wikipedia.org/wiki/Take_a_Chance_on_Me|내게도 기회를]] || || 207 || || 208 || || 209 || || 210 ||<|5> 47 ||<|5> [[Hotel California(노래)|호텔 캘리포니아]] || || 211 || || 212 || || 213 || || 214 || || 215 ||<|5> 48 ||<|5> [[Ain't No Mountain High Enough|산이 암만 높을지라도]] || || 216 || || 217 || || 218 || || 219 || || 220 ||<|4> 49 ||<|4> [[https://en.wikipedia.org/wiki/Rhinestone_Cowboy|라인스톤 카우보이]] || || 221 || || 222 || || 223 ||<|18> 1432 || || 224 ||<|5> 50 ||<|5> [[Eye of the Tiger|범의 눈]] || || 225 || || 226 || || 227 || || 228 || || 229 ||<|6> 51 ||<|6> [[Highway Star(딥 퍼플)|고속도로의 별]] || || 230 || || 231 || || 232 || || 233 || || 234 || || 235 ||<|5> 52 ||<|5> [[We Will Rock You|그대들을 흔들리라]] || || 236 || || 237 || || 238 || || 239 || || 240 ||<|4> 53 ||<|4> [[Beat It|떠나라]] || || 241 ||<|7> 1433 || || 242 || || 243 || || 244 ||<|4> 54 ||<|4> [[Another Brick in the Wall|그저 벽 속의 벽돌 하나]] || || 245 || || 246 || || 247 || || 248 ||<|5> 55 ||<|5> [[https://en.wikipedia.org/wiki/The_Winner_Takes_It_All|승자독식]] ||<|11> 1434~1435 || || 249 || || 250 || || 251 || || 252 || || 253 ||<|3> 56 ||<|3> [[All You Need Is Love|필요한 것은 사랑뿐]] || || 254 || || 255 || || 256 ||<|3> 57 ||<|3> [[Gypsys, Tramps & Thieves|집시, 들병이 도둑놈]] || || 257 || || 258 || || 259 ||<|3> 58 ||<|3> [[I Will Survive|나 살아남으리]] ||<|6> 1436 || || 260 || || 261 || || 262 ||<|3> 59 ||<|3> [[Top of the World|세상의 꼭대기에서]] || || 263 || || 264 || || 265 || 60 || [[Space Oddity|우주의 기묘함]] || 1455 || }}} == 연재 현황 == [[문피아]]에서 2023년 1월 5일부터 연재하기 시작했다. 2023년 5월 12일 [[네이버 시리즈]]에 연재본이 발매되었다. 2023년 12월 7일 본편이 종료되었다. 12월 13일부터 외전이 연재될 것이 공지되었다. == [[마지막 바이킹/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지막 바이킹/등장인물)] == [[/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지막 바이킹/설정)] == 기타 == * 각 회차의 소제목에 70, 80년대 팝송의 제목을 사용하여 독자에게 마치 그 곡이 배경음악이 되는 것 같은 효과를 주고 있다. * 작가가 직접 언급하길 레드제펠린의 [[Immigrant Song]]을 듣고 처음 아이디어를 떠올렸다고 한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lternative_history&no=821151|(댓글 참조)]] 작중에서도 이 노래가 빈란드(아메리카)로 배 타고 단체 이민가는 장면에서 등장하였다. * 주체적이고 총명하지만 어딘가 순진한 구석이 있고 틈틈이 팝송을 흥얼거리는 여성 주인공과 마스코트 동물, 주인공을 돕는 왕도적인 [[뚱뚱이와 홀쭉이]] 콤비, 신대륙 개척 등 [[디즈니 애니메이션]]이 떠올리게 하는 소재들이 많아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에서 [[바이킹]] 필터를 씌운 [[모아나]]라는 평이 나온다. --노래를 [[바이킹 메탈]] 스타일로 리믹스하면 완벽할듯-- * 시그리드가 용병단을 꾸리기로 한 후로는 백금발의 젊은 미형 용병대장이라는 점에서 [[그리피스(베르세르크)|그리피스]] 드립이 흥하고 있다. 작가도 이를 아는지 작중에서 직접 [[매의 단]] 드립을 쳤다. 그 외에도 백발의 젊은 미녀, 동유럽 문화권에서 활동했다는 점, 미래 세계에 대해 알고 있는 과거인이라는 점[* 위쳐 시리즈의 시리는 차원을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 이 능력으로 다녀온 세상 중 [[사이버펑크 2077]]을 연상케 하는 세계가 잠깐 언급된다.]에서 [[더 위쳐 시리즈]]의 [[시릴라]]가 떠오른다는 의견도 있다. * 초창기 표지는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린 것이 아니라 [[그림 인공지능|Midjourney AI]]로 뽑은 것을 사용했다. 이후 전문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린 그림으로 교체되었다. * 전작 [[고종, 군밤의 왕]], [[임꺽정은 살아있다]]에서 보여준 각종 패러디도 건재하다. [[그냥 시체]] 드립부터 [[볼가 박사]]와 [[스타워즈]] 패러디까지 나왔다. * 소독용 알코올, 백신, [[최루가스]], 탄산수 등 작중 중세시대 기술로 재현된 근현대의 발명품이나 공정에 대한 묘사 중 일부는 마치 [[적정기술]]을 떠올리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