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마츠오 코우.jpg|width=600]] [목차] == 개요 == 松尾 衡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연출가, 음향 감독. 1968년 7월 13일 생. ([age(1968-07-13)]세) [[기후현]] 출신. [[매드하우스]] 출신. 연출의 기초는 [[로도스도 전기/애니메이션|로도스도 전기]]를 할 때 엔도 타쿠지(遠藤卓司)에게 배웠으며 이후 [[린 타로]], [[카와지리 요시아키]] 밑에서 연출을 배우기도 했지만 [[토미노 요시유키]]와 [[곤 사토시]]의 열렬한 팬이라 직접 밑에 들어가서 연출을 배웠고 연출 스타일은 토미노와 곤 사토시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고 한다. [[https://www.b-ch.com/contents/feat_creators_selection/|#]] 곤 사토시와는 상당히 친한 사이였는데, 곤 감독이 회상하기를 마츠오 감독을 처음 만났을 때 이성적인 사람이 왔구나 하고 생각했다고 한다. 가장 인상에 남는 건 그 때 들어가 있던 스튜디오의 작화감독의 책상에 있던 [[F1 기관단총|F1]]의 모형을 마츠오 감독이 찾아내 "누군가 F1 좋아하는 사람이 있나요?"라고 물은 것이라고. 생전 곤 감독이 신뢰를 주는 사람 중 한 명이었다. 토미노 감독하고도 [[기동전사 Z건담 A New Translation]]와 [[건담 G의 레콘기스타]]에서 함께 작업한 적이 있다. 트위터도 토미노에 대한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토미노 작품 중에선 [[기동전사 건담]]을 가장 좋아한다고 한다. 그 다음이 [[기동전사 Z 건담]]. 원래 Z에 큰 관심이 없었고 토미노와 일하고 싶어서 Z 극장판을 만들 때 들어간 것인데 작품을 하다보니 애정이 생겼다고 한다. [* [[혁명기 발브레이브]]는 이야기의 기본 틀이 거의 다 Z건담과 동일하다.] 토미노와 친하고 토미노의 성격도 잘 알고 있어서 업계에선 화난 토미노의 기분을 풀어주는 달인이라고 불린다고 한다. 2004년 [[로젠 메이든(2004년 애니메이션)|로젠 메이든]]으로 감독에 데뷔했다. 당시 인기가 많았던 작품의 감독이었으나 원작과는 다른 전개를 추구했다. 그 결과 원작 팬들에게는 다소 눈총을 받기도 했으나 그럼에도 귀여운 작화와 좋은 연출, 그리고 각색을 통해 원작에서는 애매하게 묘사된 [[스이긴토]]의 캐릭터성을 재조명하여 인기가 원작보다 더 높아지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순조로운 스타트를 끊었다. 이에 힘입어 [[로젠 메이든 트로이멘트]]에서는 [[바라스이쇼]]와 [[엔쥬]]를 추가하여 완전히 오리지널 전개로 나아갔는데, 이게 원작보다 더 작품 주제의식에 충실하고 나름대로 깔끔한 결말을 내면서 성공적으로 시리즈를 마무리짓고 스타 감독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2000년대 중반 매드하우스를 퇴사하는데 매드하우스의 허락을 받고 기동전사 건담 SEED 등에서 콘티를 그리다가 토미노와 같이 일해보자는 제의를 받아서 그대로 매드하우스를 그만두고 프리랜서가 되었다고 한다. 이후로는 [[선라이즈(브랜드)|선라이즈]] 작품 참가가 많다. 그 후에도 [[쿠레나이(소설)|쿠레나이]], [[여름 눈 랑데부]], [[혁명기 발브레이브]] 등 지속적으로 감독 커리어를 이어나가고 있다. 단 이 중 혁명기 발브레이브는 방영 당시에는 거센 비판을 받고 잠깐 1년 정도 감독직을 쉬는 고난을 거쳤다. 그러나 발브레이브는 2019년부터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의 영향으로 홍콩을 중심으로 재평가를 받았다. 2010년대 후반에는 주로 [[건담 시리즈]] 파생작의 감독을 맡고 있다. 제자로는 [[야마사키 미츠에]], [[와키 켄타로]], 안도 나오야(安藤尚也)가 있다. 같이 일하는 프로듀서는 [[오가타 나오히로]], [[오오츠카 마나부]], [[카와구치 요시타카]], [[오가와 마사카즈]]가 있다. == 특징 == 영상 연출 방식은 본인이 [[토미노 요시유키]]와 [[곤 사토시]]의 팬을 자처하는 만큼 그들의 오마쥬가 강하다. 어떨 때는 작품의 몰입을 방해할 정도로 토미노를 따라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발브레이브와 썬더볼트 모두 토미노에 대한 오마주로 가득 찼다. 로봇하곤 별 관계없는 로젠 메이든에도 은근히 많다. 토미노도 마츠오의 연출 능력을 자주 칭찬했다고 하며 마츠오에게 "[[기동전사 건담 ZZ]] 리메이크는 네가 해라. 너 줄게." 라고 했었다고 한다. [[https://twitter.com/komatsuof1/status/1585551160613605377|#]] 다만 마츠오가 거절했다고 한다.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를 만드는 [[무카이 마사히로]]도 "만날 때마다 콘티가 진화하는 분."이라고 호평했다. 마츠오 작품의 진가는 음향 연출에서 나오는데, 바로 [[프리스코어링]] 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때문이다. 프리스코어링 외에도 음향 연출에 굉장히 신경 쓰는 연출가인데 로젠 메이든 제작 당시 음향 감독이었던 [[츠루오카 요타]]의 연기 지도 스타일을 보고 배워서 본인도 연기 지도를 엄격하고 적극적으로 하는 편이고[* 그래서 기가 센 [[사와시로 미유키]]와 불화설도 있었다.] 효과음도 리얼하고 생동감이 살아 있게 연출한다. 특히 싸우는 장면에서 빛을 발하는데 싸우면서 무기가 부딪히는 음향과 그 사이에 주고받는 거친 말이 조화를 이루며 실사 영상이 그대로 애니메이션화된 듯한 싸움 장면을 연출한다. 2006년 [[RED GARDEN]]부터 이 방식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상술했듯 성우 연기지도와 음향과 관련한 스태프 총 지휘, 소리를 언제 어떻게 활용할 지까지 직접 담당하기 때문에 [[혁명기 발브레이브]], [[벚꽃사중주/애니메이션|벚꽃사중주]] 정도를 제외하면 음향 감독을 거치지 않는 작품이 많다. [[월간 순정 노자키군/애니메이션|월간 순정 노자키군]]에서는 아예 [[야마사키 미츠에|제자 감독]]의 작품에 음향 감독만을 맡았다. 프리스코어링 작업을 함께 하며 연기력이 검증된 성우를 재기용하는 경우도 잦다. 단점으로는 프리코스코어 방식을 사용하면서 각본을 수시로 바꿔야 하기 때문에 원작개변이 많다는 점이 있다. 그래서 때때로는 원작에 없던 장면과 인물 및 설정이 새롭게 추가되거나 원작의 전개가 전부 갈아엎어지기도 하기에 원작을 중시하는 팬들에게는 크게 달갑지 않은 [[원작 파괴]]감독이다. 한국에선 로젠 메이든 팬덤이 대부분 애니메이션 팬덤이라 별로 논란이 없으나 일본의 경우엔 원작 팬들이 이를 갈 정도로 싫어하는 감독이기도 하다. 마츠오 코우가 만든 [[벚꽃사중주/애니메이션|벚꽃사중주]] 첫 작품도 팬들이 [[흑역사]]로 친다. [* 다행히도 이 작품은 나중에 원작대로 만든 [[료치모]] 감독판이 나와서 만회했다.] 조명과 시각효과에도 굉장히 신경을 쓰는 감독으로 채색할 때도 빛의 반사를 고려해서 채색하도록 지시해 작품엔 특유의 채색법과 질감이 있다. 메카닉을 채색할 때는 금속판에 빛이 반사되게 채색해서 특징이 확실하게 드러난다. [[촬영]]도 엄격하게 감독하기 때문에 [[와키 켄타로]]가 마츠오에게 혼나가며 촬영 기법을 배웠다고 한다. 감독보단 보조 연출가로서 더 명성이 있는 인물이다. 그가 [[콘티]]를 그리면 드라마나 액션은 기대해도 좋다. 특히 메카닉 액션 연출은 토미노에게 직접 사사해 굉장한 실력을 보여준다. 콘티를 안 그리고 [[연출]] 작업만 담당했을 경우에도 채색과 조명 효과가 확 좋아지므로 기대해도 좋다. == 작품 == === 감독 === * [[로젠 메이든(2004년 애니메이션)|로젠 메이든]] (2004, TVA) * [[로젠 메이든 트로이멘트]] (2005, TVA) * [[로젠 메이든 오베르튜레]] (2006, OVA) * [[RED GARDEN]] (2006~2007, OVA) * 데드 걸즈 (2007, OVA) * [[쿠레나이(소설)|쿠레나이]] (2008, TVA)[* 본인을 모델로한 엑스트라 캐릭터가 출연한다. 주인공에게 처음 쓰러지던 금발 야쿠자 역이다.] * [[벚꽃사중주/애니메이션#TVA 1탄: 벚꽃사중주 ~요자쿠라 콰르텟~|벚꽃사중주 ~요자쿠라 콰르텟~]] (2008, TVA) * [[기동전사 건담전기|기동전사 건담전기 어반 타이틀]] (2009, OVA) * [[쿠레나이(소설)|쿠레나이 OVA]] (2010, OVA) * [[모형전사 건프라 빌더즈 : 비기닝 G]] (2010, OVA) * [[여름 눈 랑데부]] (2012, TVA) * [[혁명기 발브레이브]] (2013, TVA) *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2015, WEB) *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디셈버 스카이]] (2016, 극장판) *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밴디트 플라워]] (2017, 극장판) * [[기동전사 건담 U.C. 인게이지]] -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편 인게임 영상 (2023, 게임) === 참여작 === * [[무적용사 사자왕]][* 원제 [[야마토 타케루]]] - 콘티 및 연출 26 / 연출 34 * [[X(만화)|X]] 극장판 - 조감독 협력 * [[퍼펙트 블루]] - 연출 * [[구슬동자]] - 콘티 및 연출 8, 18, 23, 33, 38 / 연출 1, 4, 13 * [[트라이건]] - 콘티 18 / 연출 8 * [[마스터 키튼]] - 콘티 및 연출 15, 27 / 연출 보좌 22 * [[CLOVER]] - 연출 * [[이니셜 D]] 세컨드 스테이지 - 콘티 10 * [[카드캡터 사쿠라]] - 콘티 63 * [[더 화이팅/애니메이션|더 화이팅]] - 콘티 2, 8 * [[갤럭시 엔젤]] - 콘티 및 연출 19 * [[X(만화)|X]] TV판 - 연출 3 * [[피타텐]] - 콘티 및 연출 23 * '''[[천년여우]]''' - 연출 및 촬영 * [[위치 헌터 로빈]] - 콘티 11, 16, 21, 24 * [[기동전사 건담 SEED]] - 콘티 28, 31, 34, 43 * [[테크노라이즈]] - 콘티 및 연출 4 * [[건그레이브/애니메이션|건그레이브]] - 콘티 및 연출 3, 15, 21 / 콘티 9 * [[조이드 제네시스]] - 콘티 1 * '''[[기동전사 Z건담 A New Translation]]''' - 스튜디오 연출 1, 2, 3 [* 표기만 이렇고 조감독이었다고 한다.] * [[에르고 프록시]] - 콘티 10, 18 * [[제가페인]] - 콘티 22 * 막말기관설 이로하니호헤토 - 콘티 9, 10 * [[sola]] - 콘티 8, 12 * [[아이돌 마스터 제노그라시아]] - 콘티 23 * [[기동전사 건담 00]] - 콘티 4 * [[신곡주계 폴리포니카]] - 콘티 11, 12 * [[은혼(애니메이션)|은혼]] - 콘티 및 연출 174, 179, 186, 194 * [[듀라라라!!/애니메이션|듀라라라]] - 콘티 6 * [[시귀/애니메이션|시귀]] - 콘티 16, 20.5 * [[GOSICK/애니메이션|GOSICK]] - 콘티 7 * [[세이크리드 세븐]] - 콘티 2 * [[썬더캣츠]] 리메이크 - 콘티 17 * [[파이-브레인 신의 퍼즐]] * [[베르세르크 황금시대편]] - 연출 1, 2 * [[언덕길의 아폴론/애니메이션|언덕길의 아폴론]] - 콘티 7 * [[AMNESIA]] - 콘티 5, 6 * [[기동전사 건담 UC]] - 콘티 6 ([[후루하시 카즈히로]]와 공동) * [[소울 이터]] 노트 - 콘티 10 * [[월간 순정 노자키군/애니메이션|월간 순정 노자키군]] - 음향감독 * [[잔향의 테러]] - 콘티 6 * [[건담 G의 레콘기스타]] - 콘티 및 연출 12 / 콘티 21 ([[토미노 요시유키]]와 공동) / 연출 21, 26, OP * [[테라포마스]] - 콘티 10 * [[댄스 위드 데빌즈]] - 콘티 4 * [[노라가미 ARAGOTO]] - 콘티 13 * [[엔드라이드]] - 콘티 6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 1기)|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콘티 6 * [[콘크리트 레볼루티오 초인환상]] - 콘티 24 * [[orange(만화)|orange]] - 콘티 11, 12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 2기)|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2]]''' - 콘티 15, 17, 21 27, 33, 38 * [[혈계전선 & 비욘드]] - 콘티 7, 11 * [[GARO -VANISHING LINE-]] - 콘티 9, 155 * [[바질리스크 오우카인법첩]] - 콘티 및 연출 OP / 콘티 114 * [[킬링바이츠]] - 콘티 7 * [[드래곤 파일럿: 히소네와 마소땅]] - 콘티 6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 3기)|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3]] - 콘티 53 * [[요괴를 빌려드립니다]] - 콘티 6 * [[아이카츠 프렌즈]] - 콘티 및 연출 OP2 * [[바나나 피쉬/애니메이션|바나나 피쉬]] - 콘티 17 * [[도로로(만화)/애니메이션|도로로 (2019)]] - 콘티 5 * [[세인트 세이야/애니메이션|세인트 세이야: Knights of the Zodiac]] - 콘티 7 * [[캐롤과 튜즈데이]] - 콘티 6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 4기)|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4]] - 콘티 67, 75, 82 * [[반요 야샤히메(애니메이션 1기)|반요 야샤히메]] - 콘티 17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 5기)|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5]] - 콘티 90, 108, 113 * [[사랑이라 하기엔 기분 나빠/애니메이션|사랑이라 하기엔 기분 나빠]] - 콘티 4 *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 - 연출 (공동)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 6기)|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6]] - 콘티 121, 137 * [[스파이 교실/애니메이션|스파이 교실]] (2023, TVA) - 콘티 4, 14 *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2022~2023, TVA) - 콘티 21^^공동^^ * [[PLUTO(만화)/애니메이션|PLUTO]] (2023, WEB) - 콘티 5^^공동^^ == 연출 샘플 == 조명에 주목. ||[youtube(PVo4F6EUrIA)] || ||[[센티멘탈 그래피티]] OP[br]연출 마츠오 코우 / 작화 [[교토 애니메이션]] || ||연출이 매우 기묘해서 팬 사이에선 '''암흑태극권'''이라 불리며 [[밈]]이 되었다.[br]간혹 본인도 자학삼아 언급하기도 한다. || ||[youtube(tgt2Mqn_Yvg)] || ||[[기동전사 Z건담 A New Translation]][br]콘티 [[토미노 요시유키]] / 연출 마츠오 코우[br]캐릭터 작화감독 [[온다 나오유키]] / 메카닉 작화감독 [[나카 모리후미]] || ||[youtube(YMqu-iHKaT0)] ||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1화[br]콘티, 연출 마츠오 코우[br]캐릭터 작화감독 [[타카야 히로토시]] / 메카닉 작화감독 [[나카타니 세이이치]], [[나카 모리후미]][br]촬영 감독 [[와키 켄타로]] || ||[youtube(T55Iges_mXg)] ||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5화[br]콘티, 연출 마츠오 코우[br]캐릭터 작화감독 [[타카야 히로토시]] / 메카닉 작화감독 [[나카타니 세이이치]], [[나카 모리후미]][br]촬영 감독 [[와키 켄타로]] || ||[youtube(2AlJxzfZgNU)] || ||[[아이카츠 프렌즈!]] OP2[br]콘티, 연출 마츠오 코우[br]총작화감독 와타나베 사토미 || ||[youtube(GPmT9kRstWA)] || ||[[기동전사 건담 U.C. 인게이지]] -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편 인게임 영상[br]감독, 콘티 마츠오 코우[br]촬영 감독 [[와키 켄타로]] || ||2000년대 이전 [[셀 애니메이션]] 특유의 물감 채색을 재현해서 옛날 것처럼 보이는데 '''2023년에 만든 영상이다.'''. || == 기타 == * 프로 레이싱과 자동차 매니아이기도 하다. 간단한 영어도 하는데 프로 레이싱 자료나 뉴스가 대부분 영어라 배우게 되었다고 한다. * [[쿠레나이(소설)|쿠레나이]]의 애니 제작에서 성우 오디션을 했을 당시 [[유우키 아오이]][* 작중에서 [[쿠호인 무라사키]] 역을 맡았다.]에게 귀여운 척하는 연기가 마음에 들지 않았던 것인지 '''"목소리가 징그럽다"''', '''"나는 네 [[처녀막]]에서 나오는 소리를 듣고 싶은게 아니다"'''라고 악평을 했다고 한다. 후에 꾸미지 않은 본인 그대로의 목소리로 연기하자 칭찬을 받았다고 했으나 이 말을 들었을 당시 유우키 아오이의 나이는 16살이었다. 미성년자한테 제대로 성희롱을 한 셈. [[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분류:일본의 음향 감독]][[분류:1968년 출생]][[분류:기후현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