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마카르 이그나토프}}}[br]Макар Игнатов | Makar Ignatov'''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칼 이그나토프.jpg|width=100%]]}}} || || '''본명''' ||마카르 데니소비치 이그나토프[br]Макар Денисович Игнатов[br]Makar Denisovich Ignatov|| ||<|2> '''출생''' ||[[2000년]] [[6월 21일]] ([age(2000-06-21)]세)|| ||[[상트페테르부르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신체''' ||183cm|| || '''종목''' ||[[피겨 스케이팅]]|| || '''코치''' ||예브게니 루카비친|| || '''랭킹''' ||75위[* 2022년 12월 12일 기준 [[http://www.isuresults.com/ws/ws/wsmen.htm|ISU World Standings 2022/2023 Men]]]|| || '''링크''' ||[[https://instagram.com/makar_ignatov|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소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이언스카이.gif|width=100%]]}}} || [[러시아]]의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선수이다. == 선수 경력 == === 노비스 시절 === 2011-12 시즌, 루스터 컵 노비스 부문 2위를 차지했다. [[2012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12 러시아 주니어선수권]]에서는 10위를 기록했다. 10대 초반에 마카르는 [[무릎]] 부상으로 인해 두 시즌을 쉬었다. === 2016-17 시즌 === 2016년에 국제대회에 복귀하여, 2016 인터내셔널 컵 오브 니스 시니어 부문에서 3위를 차지했다. [[2017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17 러시아 주니어선수권]]에서는 4위를 했다. === 2017-18 시즌 === ||
[[파일:2017 JGP 라트비아 남자싱글 포디움.jpg|width=300]] || [[파일:2017 JGP 크로아티아 남자싱글 포디움.jpg|width=300]] || || [[2017 JGP 라트비아]] || [[2017 JGP 크로아티아]] || 주니어 그랑프리에 데뷔하여, [[2017 JGP 라트비아]]에서 은메달을, [[2017 JGP 크로아티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시니어 대회로 컵 오브 니스에서 9위, [[2017 CS 아이스 스타]]에서 5위를 하고, [[2017 CS 탈린 트로피]]에서 7위를 했다. [[2017-18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17-18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018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18 러시아선수권]]에서는 12위, [[2018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18 러시아 주니어선수권]]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 2018-19 시즌 === 2018년 여름에 마카르는 점프 연습을 하다가 오른발 뼈가 부러지는 부상을 입었다. 2018 탈린 트로피로 복귀하여, 이 대회 주니어 부문에서 4위를 기록했다. 러시안 컵 파이널에서 4위를 했다. === 2019-20 시즌 === ||
[[파일:2019 CS 네벨혼 트로피 남자 싱글 포디움.jpg|width=300]] || [[파일:2019 로스텔레콤 컵 남자싱글 포디움.jpg|width=310]] || || [[2019 CS 네벨혼 트로피]] || [[2019 로스텔레콤 컵]] || [[2019 CS 네벨혼 트로피]]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데니스 텐 메모리얼에서는 2위에 올랐다. [[2019 로스텔레콤 컵]]에 출전하며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하였다. 이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두 번째 그랑프리 [[2019 NHK 트로피]]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이후 [[2019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서는 3위에 올랐다. [[2020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0 러시아선수권]]에서 쇼트 1위에 올랐지만 프리에서 4위로 쳐지며 최종 4위를 했다. === 2020-21 시즌 === 이 시즌부터 쿼드러플 룹 점프를 구성하기 시작했다. 러시안 컵 1차 대회와 4차 대회에서 모두 3위를 기록했다. [[2020 로스텔레콤 컵]]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
[[파일:2021 러시아선수권 남자 싱글 포디움.png|width=100%]] || || [[2021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1 러시아선수권]] || [[2021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1 러시아선수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처음으로 포디움에 들었다. 채널 1 트로피에서 개인 3위, 팀은 우승을 차지했다. 세계선수권 출전자를 정하는 2021 러시안 컵 파이널에서 8위를 하며 세계선수권 출전권은 얻지 못했다. === 2021-22 시즌 === [[2021 스케이트 캐나다]]와 [[2021 NHK 트로피]]에서 모두 4위를 기록했다. [[2022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2 러시아선수권]]에서 10위를 기록했다. 러시안 컵 파이널에서 1위에 올랐다. === 2022-23 시즌 === 2022년 3월 1일부터 [[국제빙상경기연맹|ISU]]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모든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과 관계자들이 국제대회에 참가하는 것을 금지했다. [[2023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2 러시안 컵 4차 대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두 번째 쿼드러플 토룹에서 넘어지며 콤보 판정을 받으며 85.96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4Lo에서 언더 판정을 받으며 넘어졌고, 4S은 2회전 처리하였고, 후반부의 두 번째 트리플 악셀에선 컴비네이션을 연결하지 못해 REP과 쿼터 판정을 받았고, 마지막 점프인 트리플 플립에선 어텐션 판정을 받으며 넘어졌으며, 마지막 CCoSp은 무효 판정을 받으며 139.20점을 받았다. 총점 225.15점으로 5위를 차지했다. [[2023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2 러시안 컵 6차 대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4T+3T 컴비네이션에서 후속 점프에서 쿼터 판정을 받으며 감점을 받았고 3A에서 넘어졌으며 CSSp가 무효가 되면서 82.91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4S에서 언더 판정을 받으며 넘어졌고 후반부의 4T에서 실수가 나왔으며 3A+1Eu+3S 컴비네이션에서 첫 점프를 싱글링 했으며 스텝 도중 넘어지며 158.80점을 받았다. 총점 241.71점으로 5위를 차지했다. [[2023 피겨 스케이팅 러시아선수권 대회|2023 러시아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후반부의 3A과 CSSp에서 레벨 1을 받으며 94.29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4S+3T의 첫 점프를 더블링 했고 후반부의 4T의 랜딩이 불안해 감점을 받았으며 3A+1Eu+3S의 첫 점프를 시도하다가 싱글링하며 프리 풋이 빙판에 닿아 COMBO 처리가 되어 후속 3S가 무효 처리되며 166.78점을 받았다. 총점 261.07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 == 기록 == * 쿼드러플 룹 점프를 성공한 6번째 남자 선수[* [[2020 로스텔레콤 컵]]에서 성공][* [[하뉴 유즈루]] - [[우노 쇼마]] - [[네이선 첸]] - [[다니엘 그라슬]] - [[알렉세이 크라스노존]] - 본인 순.] * 프리 스케이팅에서 4개의 쿼드러플 점프를 랜딩한 최초의 [[러시아]]/[[유럽]] 선수 * 한 대회에서 6개의 쿼드러플 점프를 랜딩한 최초의 [[러시아]]/[[유럽]] 선수[* [[2021 NHK 트로피]] 쇼트 프로그램에서 4Lo, 4T+3T, 프리 스케이팅에서 4Lo, 4S, 4T+3T, 4T를 랜딩했다.] == ISU 공인 최고점수 == ||<-2>
'''ISU 공인 최고점수''' || || '''쇼트''' ||90.54([[2021 NHK 트로피]])|| || '''프리''' ||166.66([[2021 NHK 트로피]])|| || '''총점''' ||257.20([[2021 NHK 트로피]])|| == 커리어 == ||<-9>
'''{{{#white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11–12''' || '''16–17''' || '''17–18''' || '''18–19''' || '''19–20''' || '''20–21''' || '''21–22''' || '''22–23''' || ||GP 스케이트 캐나다|| || || || || || || 4th || || ||GP 로스텔레콤 컵|| || || || || 3rd || 7th || || || ||GP NHK 트로피|| || || || || 7th || || 4th || ||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 || || || 3rd || || || || ||CS 네벨혼 트로피|| || || || || 1st || || || || ||CS 아이스 스타|| || || 5th || || || || || || ||CS 탈린 트로피|| || || 7th || || || || || || ||데니스 텐 메모리얼|| || || || || 2nd || || || || ||컵 오브 니스|| || 3rd || 9th || || || || || || ||<-9> '''{{{#white 국제대회:주니어}}}''' || ||JGP 파이널|| || || 4th || || || || || || ||JGP 크로아티아|| || || 3rd || || || || || || ||JGP 라트비아|| || || 2nd || || || || || || ||탈린 트로피|| || || || 4th J || || || || || ||루스터 컵|| 2nd N || || || || || || || || ||<-9> '''{{{#white 국내대회}}}''' || ||러시아선수권|| || || 12th || || 4th || 2nd || 10th || 7th || ||러시아 주니어선수권|| 10th || 4th || 6th || || || || || || ||러시안 컵 파이널|| || 1st J || || 4th || 1st || 8th || 1st || || ||러시안 컵 4차|| || 1st J || || || || 3rd || || 5th || ||러시안 컵 6차|| || || || || || || || 5th || ||러시안 컵 1차|| || || 3rd || || || 3rd || || || ||러시안 컵 2차|| || 4th J || || || || || || || ||<-9> '''{{{#white 단체전}}}''' || ||채널 1 트로피|| || || || || || 1st T[br]3rd P || 1st T[br]5th P || || ||<-9>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T=팀 결과,[br]P=개인 결과, J=주니어, N=노비스, CS=챌린저 시리즈 || [각주] [[분류:러시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분류:2000년 출생]][[분류: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