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MAN, other1=사전적 의미, rd1=맨, other2=리눅스에 있는 매뉴얼 man, rd2=man page, other3=도시권 통신망, rd3=통신망, anchor3=도시권 통신망)] || [[파일:MAN 로고.svg|width=100]] || || {{{#!folding [ 틀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독일의 자동차 브랜드)] ---- [include(틀:폭스바겐 그룹)] }}} || ---- ||<-2> {{{#white {{{+1 '''MAN'''}}}[br]'''MAN Truck & Bus[br](Maschinenfabrik Augsburg-Nürnberg)'''}}} || ||<-2> [[파일:MAN 로고.svg|width=100%]] || || '''설립''' ||[[1758년]] '''{{{-2 ([age(1758-01-01)]주년)}}}''' || || '''기업형태''' ||[[주식회사]] || || '''업종명''' ||상용차 및 엔진 제조업 || || '''핵심인물''' ||Andreas Renschler {{{-2 (회장)}}}[br]Georg Pachta-Reyhofen {{{-2 (CEO)}}} || || '''소재지''' ||[[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독일]] [[바이에른|바이에른 주]] [[뮌헨]]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MAN SE (MAN Gruppe), 너비=100%, 높이=200px)]}}} || || '''시가총액''' ||142억 8,600만 [[유로]] ([[2014년]]) || || '''모기업''' ||[[폭스바겐 그룹]] 산하 트라톤 SE || || '''홈페이지''' ||[[https://www.corporate.man.eu/|[[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mantruckandbu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mantruckandbu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mantrucksandbuse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br] [[https://mantruck.co.kr/|만트럭버스코리아]] || |||| '''Simplifying Business.''' ---- {{{#!wiki style="margin:10px" '''[[슬로건]]'''}}}||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N_TGX_2020.jpg|width=100%]]}}}|| || 사진 속의 차량은 [[MAN TGX|TGX]] || [[폭스바겐 그룹]] 산하 독일의 [[상용차]] 제조업체. 만트럭버스는 7.5톤에서부터 44톤의 상용차에서부터 최대 중량 250톤이 이르는 대형 및 특수 목적 차량과 시내 및 장거리 버스, 투어 버스 (완성차 및 차대 포함) 그리고 디젤 및 천연가스 엔진을 생산하고 있다. [[저상버스]], [[굴절버스]], 하이데커 버스 등 다양한 종류의 버스를 비롯하여 대형 트럭, 트랙터 등을 생산하며 크게는 산업용 엔진(예를 들면 선박용 엔진)이나 관련 산업장비도 만든다. 로고에 [[사자]]의 옆모습이 들어가 있다. == 상세 == MAN은 ''''M'''aschinenfabrik [[아우크스부르크|'''A'''ugsburg]]-[[뉘른베르크|'''N'''ürnberg]]'([[아우크스부르크]]-[[뉘른베르크]] 기계공장{마쉬넨파브릭})의 약자다. 그래서 전 세계에서 스펠링 읽듯 '엠 에이 엔', 독일어권에서는 '엠 아 엔'으로 읽는다. 한국은 밑 참조. --맨이 아니다-- [[스카니아]][* 이전에는 스웨덴 [[사브]](자동차 부문)와 합병된 적이 있었다가 사브는 [[제너럴 모터스|GM]]으로 넘어갔다가 사브와 GM의 위기가 닥치자 사브를 스웨덴의 회사로 매각했으나, 2011년 파산하여 2016년에 역사속으로 사라졌다.]와 함께 [[폭스바겐 그룹]] 산하 트라톤 SE 소속 기업으로, 자본제휴를 시작하다 2011년 폭스바겐에 완전히 인수되어 최대 주주로 있다. 고속버스, 관광버스, 2층 버스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네오플란]][* 네오플랜이 아니라 네오플란이다!! 이 역시 만과 마찬가지로 만트럭버스코리아에서 공식적으로 독일어 발음의 한글표기인 '네오플란'으로 NEOPLAN 브랜드를 명명하고 있다. 해당 회사에서 만든 버스는 대한민국에서 시티 투어용 버스로 많이 사용 중이다.]이라는 자매 회사를 두고 있다. 독일 [[뮌헨]], [[뉘른베르크]], [[잘츠기터]], [[플라우엔]] 등 네 개 도시에 생산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 연혁 == [YouTube(UDGNAmpB-9I)] ▲ 2008년에 만들어진 창사 250주년 기념 홍보용 영상 요약본. MAN사의 역사를 대략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https://youtu.be/3HZF-GXAeYw|영어 버전]]과 [[https://youtu.be/VUdS6qXTAfk|독일어 버전]]도 있다. 이쯤되면 평범한 기계업체이겠거니 하겠지만, 사실상 회사의 기원은 1758년의 철공회사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디젤 엔진계의 [[본좌]]급이다. 밀리터리 오타쿠라면 들어봤을 [[유보트]][* 엔진 납품], [[판터 전차]][* 개발 및 생산][* 판터는 프로토타입 모델(VK30.02(M))이 [[다임러-벤츠]]와의 경합에서 승리 후 정식 채용되었다.]를 생산한 회사. MAN이라는 명칭은 단순한 고유명사가 아닌, 독일어로 '''[[아우크스부르크]] 및 [[뉘른베르크]] 기계 공장'''을 뜻하는 '''Maschinenfabrik Augsburg-Nürnberg'''의 약칭이다. 1898년 뉘른베르크 소재 Maschinenbau-AG Nürnberg(1841년 설립)와 [[아우크스부르크]] 소재 Maschinenfabrik Augsburg AG(1840년 설립)가 서로 합병하여 1908년 Maschinenfabrik Augsburg-Nürnberg AG로 회사명을 개명하는 바람에 약자로 M.A.N.이라 하여 나중에 MAN으로 변경되었는데, 이게 영어 단어인 man과 우연의 일치로 같게 된 것뿐이다. 하지만 MAN의 연혁에서 공식적으로 뿌리를 두는 곳은 1758년 독일 루르 지방 오버하우센의 “세인트 안토니” 철공소인데, 이 회사가 지역 인근의 철공소들과 합병하여 Gutehoffnungshütte(GHH)로 회사 이름을 바꾸고 1921년 MAN의 전신이었던 독일 남부의 M.A.N.을 인수하였기 때문이다. 이후 인수합병의 주체인 GHH가 중심이 되어 명칭도 GHH 그룹 체제로 유지하다가 1986년에 사업구조 개편으로 현재의 MAN 그룹으로 명칭이 완전 변경되어 지금에 이르게 된 것이다. 인수합병 이후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 [[역합병|피인수 기업이 명칭상으로 살아남은]] 특이한 사례인데, 실제 그룹 명칭 변경 당시에 그룹 본사까지도 기존 GHH의 본진이었던 루르 지방에서 MAN의 본진인 뮌헨으로 이전하였을 정도로 단순한 명칭 변경 이상인 대단한 의미로 분석할 수 있다. 사실 MAN이 1921년 당시에 재정적으로 피인수된 기업이라 해도 전신인 Maschinenfabrik Augsburg AG가 '''디젤의 아버지라 불리는 [[루돌프 디젤]]과 함께 디젤 엔진을 최초 개발 및 양산한 본좌급의 기술력'''을 가진 잠재성이 대단했던 기업이었고 인수합병 이후 기업규모의 발전에 있어서 피인수된 MAN 계열사들이 엄청난 공헌을 하며 시장 브랜드 인지도에 있어서도 큰 역할을 하였기에, 인수합병한 지 오랜 세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피인수기업인 MAN으로 그룹의 명칭 변경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의 비슷한 사례로는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있겠다. 원래 금호그룹이었고 그룹의 성장에 따라 새로 뛰어든 민간항공운수업 회사로 [[아시아나항공]]을 계열사로 설립했는데, 아시아나항공이 고속성장하여 수익구조에서 큰 역할을 하고 더불어 기존의 그룹 주력 계열사들인 [[금호고속]]이나 [[금호타이어]] 등이 점차 쇠락하면서 그룹의 명칭도 아사이나 항공 쪽으로 비중을 두고 자연스레 변화한 것이다.] 세계 최초의 [[모노레일]]이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가 철도인 [[부퍼탈 모노레일]]을 건설한 회사이기도 하다. == 한국 시장 == ||<-2> '''{{{#white {{{+1 만트럭버스코리아}}}}}}''' [br] '''{{{#white MAN Truck & Bus Korea}}}''' || ||<|2> '''기업명''' ||'''정식''': 만트럭버스코리아 주식회사 || ||'''영어''': MAN Truck & Bus Korea || || '''설립일''' ||[[2001년]] [[7월 31일]]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소재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하갈로 57 ([[하갈동]]) || || '''기업형태''' ||중견기업 || || '''대표자''' ||토마스 헤머리이 || || '''업종''' ||상용차 수입업 || || '''매출액''' ||2,056억 6,470만원^^(2022년)^^ || || '''영업이익''' ||38억 8,159만원^^(2022년)^^ || || '''당기순이익''' ||51억 9,341만원^^(2022년)^^ || [clearfix] 1990년대 중반에 [[삼성중공업]]에서 [[삼성 MAN 22.5t 덤프트럭|F90]]을 수입한 적이 있었다. 그래서 구형 만 트럭은 삼성 로고를 달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후 [[2001년]], '[[https://mantruck.co.kr/|만트럭버스코리아]]'라는 명칭으로 정식법인을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국내 시장에 진출했다. [[덤프트럭]]과 [[트랙터 트럭]]으로는 [[볼보트럭]], [[스카니아]] 다음으로 많이 보이며 수입트럭 시장 점유율 3위를 기록한다. 국내 정식출범 이후 한동안은 국내 트럭시장에만 매진했지만, [[2016년]]부터는 국내 버스시장에도 진출하게 되었다. [[https://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224_0013917599&cID=10401&pID=10400|#]] 3도어 [[저상버스]] 모델인 라이온스 시티(Lion's City)와[* 유럽시장용 순정 바디가 아닌, 스페인의 바디빌더 메이커 [[https://www.castrosua.com/|Castrosua]]의 City versus라는 바디를 탑재했다. 순정보다 저가형을 따로 탑재한 것인데, 국내 내구연한 규정(9년)이 짧아서 그런 것도 있으나, 가장 큰 이유는 국내 도로통행 제한 기준에 따른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유럽권의 대부분인 대형 버스들은 차량 전폭 2,550mm를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국내 기준인 전폭 2.5m에서 5cm를 초과하는 수치다. 덕분에 국내 관광버스 업계에서 드물게 돌아다니는 네오플란 시티라이너도 중국제 바디를 얹어 들어오는 중이다.] [[시티투어버스]] 모델인 라이온스 투어링(Lion's Touring)을 시작으로,[* [[https://www.bobaedream.co.kr/view?code=truck&No=60598|부산모터쇼 MAN 부스에서 배부된 버스 카탈로그]]. 투어링 모델은 2016년 말에 출시되었고, 시티 모델은 2017년에 출시되었다.] [[2018년]]에는 [[스페인]]의 바디빌더 메이커 [[https://www.unvibus.com/|운비(UNVI)]]의 더블데커 모델 바디를 올린 [[2층버스]]인 라이온스 더블데커가 출시되었다. == 생산차량 == [include(틀:MAN의 차량)] === 버스 === || [[파일:IMG_8597.jpg|width=100%]] || [[파일:김포90_9439.png|width=100%]] || || [[MAN 라이온스 더블데커]]([[용인 버스 5003|용인 5003번]]) || [[MAN 라이온스 시티]] 3도어 저상버스([[김포 버스 90|김포 90번]]) || || [[파일:MAN_Lion's_Touring.jpg|width=100%]] || [[파일:24_20191022_140409_1200_n.png|width=100%]] || || [[MAN 라이온스 투어링]]([[서울시티투어버스]]) || [[MAN 라이온스 시티]] 3도어 저상버스([[부산 버스 24|부산 24번]]) || ||<-2> '''국내에서 운행중인 차량 모습''' || || [[파일:smrtlionscity1.jpg|width=100%]] || [[파일:manlionscityfacelift.jpg|width=100%]] || || 싱가포르의 MAN 라이온스 NL32F (Euro 6) 버스 || 싱가포르의 MAN 라이온스 시티 ND323F (Euro 5) 2층버스 || || [[파일:Screenshot 2020-02-02 at 8.44.13 PM.png|width=100%]] || [[파일: MAN NL323F.jpg|width=100%]] || || 싱가포르의 MAN 라이온스 NG363F 굴절 버스 || 싱가포르의 MAN NL323F 기본형 버스 || ||<-2> '''[[싱가포르]]에서 운행중인 차량 모습''' || *[[MAN 라이온스 시티|라이온스 시티]] *[[MAN 라이온스 인터시티|라이온스 인터시티]] *[[MAN 라이온스 레지오|라이온스 레지오]] *[[MAN 라이온스 코치|라이온스 코치]] *[[MAN 라이온스 투어링|라이온스 투어링]] *[[MAN 라이온스 더블데커|라이온스 더블데커]] === 트럭 === [[파일:MAN_truck_series_2020.jpg]] *[[MAN TGX|TGX]] *[[MAN TGS|TGS]] *[[MAN TGM|TGM]] *[[MAN TGL|TGL]] *[[MAN TGA|TGA]] (단종) === LCV === *[[MAN TGE|TGE]] == 특징 == [[2행정 기관|2행정]] 디젤 엔진에 있어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대형 [[발전기]]에 MAN 2행정 엔진 + [[과급기|터보차저]] 옵션을 박아 돌리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대형 2행정 디젤 중에서 900[[RPM]]이라는 매우 높은 속도까지 가동할 수 있기에 MW급 단일엔진 발전기에 많이 쓰인다. 시동은 보통 압축공기 에어모터 방식을 이용한다. 선박추진용 엔진에서도 독보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국내 건조 선박은 MAN에서 생산하거나 MAN의 라이센스를 얻어 생산한 엔진을 주기관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아예 선주가 MAN 엔진을 장착하는 것을 못박아 버리는 경우도 있다. 디젤기관을 넘어서 ME-GI와 같은 가스연료 엔진이나 다종연료 엔진과 같이 남들은 상용화는 커녕 시제품 단계에서 깔짝거리는 물건들을 덜컥 덜컥 상용화할 정도로 압도적이고 독보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기술 자체가 MAN이 세계 최초는 아닌 경우도 있으나 신기술을 상용화 하는데 들어가는 자본과 기술력이 개발하는데 들어가는 것을 한참 넘어선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MAN이 얼마나 무시무시한 기업인지 알 수 있다. 당장에 ME-GI만 하더라도 일본과 미국에서 깔짝 깔짝 대다가 '이거 실용화 하려면 아직 한참 멀었다' 라고 하는 상황에서 덜컥 실용제품을 내놓았다.] == 논란 및 비판 == 유로 4~5 모델까지는 큰 논란거리가 없었지만, 유로 6 모델 2016년식 출고이후 부터 중대 결함들이 다수 보고되며 대한민국 수입트럭 시장에서 '''평가가 매우 나빠졌다.''' 오죽했으면 '''만들다 만 차'''라는 굴욕적인 멸칭이 붙을 정도이며, 심지어 시내버스에도 주행 중 결함들이 자주 보고된다. * 주행중 기어가 N(중립)으로 빠져버리는 현상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625262|#]] * 브레이크 결함 [[https://imnews.imbc.com/replay/2018/nwdesk/article/4783932_30181.html|#]] * [[리타더 브레이크]] 설계 미스[* 변속기 뒷단에 별도의 옵션으로 장착되는 일반적인 리타더 브레이크와 달리, MAN에는 엔진과 전방 [[라디에이터]] 사이에 장착되어 [[냉각수]]를 감속 저항체로 사용하는 [[https://youtu.be/aDejo3dXEP8|프리타더(MAN PriTarder®)]]라는 옵션이 있다. 이것에 결함이 생긴 것. 이후 일반적인 유압식 리타더 브레이크(ZF Intarder®) 옵션으로 변경되었다.] * 정품 냉각수을 사용해도 변질되거나 녹이 발생하여 교환해도 다시 재발한다. * 엔진오일 과다소모 및 실린더 내벽 스크래치 발생 안전에 큰 영향을 주는 굵직한 결함들이 발견되었고 결국 [[http://www.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31133|국내 언론과 인터뷰를 통해 본사 회장이 해당 문제를 직접 사과했다]]. 문제는 결함 사례가 여기서 끝나지 않고 2019년에 '''엔진에 금이 가는''' 역대급 결함이 발견되어 차주들로부터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https://newsis.com/view/?id=NISX20190116_0000532280|#]] 이에 분노한 만트럭 차주들은 차 앞면에 대놓고 '''글로벌 쓰레기 만트럭'''이라고 붙이고 다닌다. 주변 사람이 MAN 차량 구입을 한다고 하면 "엔진 깨지는 차를 왜 사냐"며 뜯어말리는건 덤.[* 차 자체보다도 엔진 만들어온 역사가 깊고 그에 따라 엔진이 가장 큰 자랑인 MAN에게는 굉장히 큰 치명타가 될 수밖에 없다.] 동일 증상을 호소하는 차주가 한둘이 아니라는 점을 보면 MAN의 [[품질관리(직무)|QC 능력]]이 의심되는 상황이다. 2021년 5월에 국내에도 차세대 트럭 라인업을 발표했으나, 결함 전적이 워낙 화려하다보니 큰 호응은 얻지 못하고 있다. 트러커 커뮤니티들의 반응을 보면 신차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보다 "또 엔진 깨지는거 아니냐" 등의 뜨듯미지근한 의견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결국 5월 7일 기존 유로6 모델 4,408대에 대한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10510010001821|리콜 예정을 발표]]했다. 그러다가 [[나흘]]만인 5월 11일에 영업운행 중이던 라이온스 더블데커에서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10516010002894|동일한 엔진 결함으로 시동이 꺼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바람 잘 날이 없는 상황으로 운행이 어려워지고 부품수급, 비싼 수리비를 감당하기 힘들어지자, 결국 2023년부터 MAN에서 제작한 경기도 2층버스들은 내구연한 9년을 채우지 못해보고 단계적인 조기폐차를 결정했다. 이런 여론을 의식한 듯 마케팅 담당 부회장이 직접 한국을 찾아 리콜을 약속했으나, '엔진 자체가 문제가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인하는 중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15&aid=0004556832|#]] --[[5호 전차 판터]] 하나로 증명된 만큼[* 웃긴 게 이 판터 역시 '엔진이 자주 망가진다'는 병사들의 불평이 '''잦았다는 것이다.''' 덕분에 전투에서 제 역할을 모두 소화하지 못했으며 장갑도 얇아 피격도 쉬운 건 덤.]-- 타 메이커보다 과도하게 원가 절감을 하는 MAN 특유의 R&D 성향 자체가 문제인 것으로 보이며, 뒤늦게 수출 차별이 적발되지 않는 한 [[유럽연합|자국 시장]]에서도 동일한 증상이 보고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기타 == *1980년대 후반까지 국내 버스, 트럭 중에 [[대우중공업]]이 면허 생산한 [[대우 MAN 엔진|이 회사의 엔진]]을 장착한 차가 많았다. 대표적인 것이 D0846HM, D2156HM-Q, D2156HMU, D2848M 등이며 [[K200]] 장갑차에 탑재된 D2848 역시 원래는 이 회사의 버스용 엔진을 개조한 것을 사용한 것이다. 현재도 대우중공업의 후신인 [[HD현대인프라코어]]에서 일부 생산을 하기도 한다. *[[파일:MAN_SX45_PAC-2.jpg|width=100%]] [[대한민국 공군|한국 공군]]이 당시 [[독일 연방군]]의 군비 축소로 감축됐던 [[패트리어트 미사일|패트리어트 포대]]를 사오면서, 패키지에 포함된 MAN 군용트럭[* SX45 모델.]까지 도입하여 운용 중이다. *1994년부터 2000년까지 [[삼성상용차]]에서 [[삼성 MAN 22.5t 덤프트럭]]을 수입한 적이 있었다. * 2021년 3월 8일에는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브랜드 엠블럼을 WOMAN으로 바꾼 TGX트럭을 이벤트로 선보이기도 했다. [[https://youtu.be/hWB1u-Hgf4s|영상]] [[https://youtu.be/Pqd3hmaQwz0|영상2]] * 과거에는 [[엘리베이터]] 사업도 하였으며 1985년까지 병원 및 고층빌딩에 설치하였으나 이후 [[티센크루프|티센]]에 매각하였다.[* 현 [[티케이엘리베이터]].] == 미디어 등장 == 회사의 [[높으신 분들]]이 소프트웨어를 통한 자사 라이선스 공개에 상당히 긍정적으로 생각하는지 여기저기서 정식명칭 그대로 등장한다. * [[월드 오브 탱크]] 역사웹툰에 서독 군용트럭으로 KAT 모델이 등장한다. [[http://worldoftanks.asia/ko/content/history/kanonenjagdpanzer/|#]] * SCS 트럭 시리즈중 [[하드트럭(SCS판)#s-4.4|독일 트럭 시뮬레이터]]부터 SCS사 최초로 MAN 라이선스를 받아 TGX 모델이 등장한다. 그리고,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에서는 1.34 버전부터 TGX Euro 6(1세대 F/L) 모델이 등장한다. * [[파밍 시뮬레이터 15]]에서는 TGS 18.440 모델이 등장한다. * [[http://store.steampowered.com/app/289950/|컨스트럭션 시뮬레이터 2015]]에서는 TGM 모델과 TGS 특장차량 모델, 그리고 TGX D38 모델이 등장한다. * [[OMSI]]의 기본 차량들은 모두 이 회사의 버스다. 게임의 배경이 1986년~ 1994년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그 당시의 차량들이 등장한다.[* SD200, SD202, NL202, NG272 가 등장한다.] * [[페른부스 시뮬레이터]]에서는 [[만 라이온즈 코치|라이온스 코치]] 모델이 등장한다. * [[http://store.steampowered.com/app/324310/|버스 시뮬레이터 2016]]에서는 [[만 라이온즈 시티|라이온스 시티/라이온스 시티 M]] 모델이 등장한다. * [[버스 시뮬레이터 18]]에서는 [[만 라이온즈 시티]]가 등장한다.[* 2도어 디젤 모델([[DLC]]), 3도어 디젤 모델, 3도어 [[천연가스버스|CNG]] 모델([[DLC]]), 4도어 디젤 [[굴절버스]] 모델([[DLC]]), 5도어 [[천연가스버스|CNG]] 모델] * [[http://store.steampowered.com/app/285380/|온 더 로드 : 트럭 시뮬레이터]]에서는 TGX 모델이 등장한다. * 과거 [[탑기어 코리아]] 시즌 6 마지막회에서 [[김진표]]가 리뷰했었다. * [[헬로 카봇]]에 배경으로 등장하는 중형급 이상 트럭들은 주로 만의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 모델이 토대가 되었다. * [[하츠 오브 아이언 4]]에 전차 대인공격력을 높여 주는 쓸 만한 설계사로 등장한다. * [[워썬더]]에서는 [[롤랑 대공 미사일|롤랑 미사일]]이 장착된 독일 [[워 썬더/지상 병기/독일 트리/자주대공포#s-9.1|8랭크 자주대공포]]로 등장한다. [[분류:폭스바겐 그룹]][[분류:독일의 자동차 제조사]][[분류:전범기업/나치 독일]][[분류:트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