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부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네이멍구 자치구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내몽골 자치구|{{{#000,#ddd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시|{{{#000,#ddd 후룬베이얼시}}}]]의 [[부지급시|{{{#000,#ddd 부지급시}}}]]'''}}} || ||<-3> {{{#ff0 '''{{{+1 [ruby(满洲里, ruby=Mǎnzhōulǐ)][ruby(市, ruby=shì)] | ᠮᠠᠨᠵᠤᠤᠷ ᠬᠣᠲᠠ}}}'''[br]만저우리시 | Manzhouli | Маньчжурия}}}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滿州里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후룬베이얼시]] 자라이너얼구[br]呼伦贝尔市扎赉诺尔区 || ||<-2> '''{{{#ffff00 지역}}}''' || [[화베이]] || ||<-2> '''{{{#ffff00 면적}}}''' || 734.56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5가도 1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150,508명 ^^(2020)^^ || ||<-2> '''{{{#ffff00 민족 구성}}}''' || [[한족]] 87.06% | [[몽골족]] 7.92%[br][[만주족]] 2.81% | [[후이족]] 0.73%[br][[다우르족]] 0.62% | 기타 0.86%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204.90명/km² || ||<-2> '''{{{#ffff00 서기}}}''' || 위웨이둥(于伟东) || ||<-2> '''{{{#ffff00 현장}}}''' || 웨궈둥(岳国栋) || ||<-2> '''{{{#ffff00 차량번호}}}''' || '''蒙E'''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15'''0781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470''' || ||<-2> '''{{{#ffff00 우편번호}}}''' || '''0214'''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NM''' ||}}}}}}}}} || ||<-3> [[http://www.manzhouli.gov.cn/|홈페이지]] || [[파일:Century_square_Manzhouli.jpg|width=445]] [목차] == 개요 == 满洲里市 / ᠮᠠᠨᠵᠤᠤᠷ ᠬᠣᠲᠠ(망조르 시). 행정구역 상으로는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 시 만저우리 시. 러시아와의 국경 지대로 무역이 활발한 데다 강도 흘러서 인구는 2010년 기준 300,000 명이나 된다. 이전에는 하이라얼 구에 밀렸지만 지금은 시할구인 하이라얼 구를 뛰어넘었다. 면적은 696.3 km2로 하이라얼 구보다 작다. 러시아는 물론 몽골과도 접하는데, 그래서 이곳에서는 중국인(대부분 한족)들은 물론 러시아인, 몽골인도 있다보니 다양한 문화들이 공존한다. 심지어 역사적으로 퉁구스계 민족들과 다우르족도 있다보니 이 지역의 소수민족들도 볼 수 있다. == 역사 == [[1953년]] [[내몽골 자치구]]의 직할도시가 되었다가, [[1954년]] 다시 [[후룬베이얼시|후룬베이얼맹]] 산하의 도시가 되었다. [[1969년]] [[내몽골 자치구]]가 폐지됨에 따라 만저우리는 [[헤이룽장성]] 관활이 되었고 [[1979년]] [[내몽골 자치구]] 복구되면서 만저우리는 다시 [[내몽골 자치구]]에 속하게 되었다. [[1988년]] 개혁개방 시범지구로 선정되었고, [[1992년]] [[3월]] 개방도시로 지정되었다. == 지명 유래 == 러시아어로 '만추리야(Маньчжурия)'에서 이 소도시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서구에서 만주를 가리키는 단어인 '만주리아(영어:Manchuria)'도 마찬가지. == 교통 == [[파일:Manzhouli_Xijiao_Airport_Terminal_Building.jpg]] [[만저우리 시자오 공항]] 만저우리 유일의 공항이다. 국내선으론 [[베이징]], [[하얼빈]], [[후허하오터]], [[퉁랴오]], 아얼산 등의 도시로가는 노선이 있고 국제선으론 [[러시아]]의 크라스노야르크스, 이르쿠츠쿠, 울란우데와 [[몽골]] 울란바토르로가는 노선이 있다. == 하위 행정구역 == * 가도: 둥산 가도(东山街道), 다오난 가도(道南街道), 다오베이(道北街道), 싱화 가도(兴华街道), 아오얼진 가도(敖尔金街道) * 진: 신카이허 진(新开河镇) == 자매 도시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치타(러시아)|치타]] || -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옴스크]] || -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울란우데]] || -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크라스노카멘스크 || -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젤레노고르스크 || - ||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후룬베이얼시,version=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