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예 관련 정보]] 漫興 [목차] == 개요 == 조선 중기의 문신 [[윤선도]]가 1642년(인조20)에 지은 총 6수의 시조이다. 만흥이란 흥겨움이 마음에 가득 찼다는 뜻으로, 속세를 벗어난 자연에서의 흥취를 말한다. 특히, 수능과 모의고사 혹은 학교 시험에서 자주 출제된다. 수험생이라면 참고하는 것이 좋다. == 전문 및 현대어 풀이 == ||<:>{{{+2 '''만흥(漫興)'''}}} {{{-2 윤선도, 1642년 }}} ----- {{{#003399,#ffaa00 '''山,,산,,水,,슈,,間,,간,, 바회 아래 ᄠᅱ집을 짓노라 ᄒᆞ니'''}}} ----- 산수간 바위 아래에 띠풀로 이은 집을 짓는다 하니 ----- {{{#003399,#ffaa00 '''그 모론 ᄂᆞᆷ들은 욷ᄂᆞᆫ다 ᄒᆞᆫ다마ᄂᆞᆫ'''}}} ----- 그 모르는[*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사는 가치를 모르는=세속적 욕망을 추구하는] 남들은 비웃고들 있지만 ----- {{{#003399,#ffaa00 '''어리고 햐암의 ᄠᅳᆺᄃᆡᄂᆞᆫ 내 分,,분,,인가 ᄒᆞ노라'''}}} ----- 어리석은 향암(鄕闇)[* 시골뜨기]의 뜻에는 이것이 내 분수에 맞는 일인가 하노라 ----- [br] ----- {{{#003399,#ffaa00 '''보리밥 픗ᄂᆞᄆᆞᆯᄋᆞᆯ 알마초 머근 後,,후,,에'''}}} ----- 보리밥 풋나물을 알맞게 먹은 뒤에 ----- {{{#003399,#ffaa00 '''바횟 긋 믉ᄀᆞ의 슬ᄏᆞ지 노니노라'''}}} ----- 바위 끝 물가에서 실컷 노니노라 ----- {{{#003399,#ffaa00 '''그 나믄 녀나믄 일이야 부ᄅᆞᆯ 줄이 이시랴'''}}} ----- 그 밖에 여남은 일이야 부러울 줄이 있으랴 ----- [br] ----- {{{#003399,#ffaa00 '''잔 들고 혼자 안자 먼 뫼흘 ᄇᆞ라보니'''}}} ----- 잔 들고 혼자 앉아 먼 산을 바라보니 ----- {{{#003399,#ffaa00 '''그리던 님이 오다 반가옴이 이리ᄒᆞ랴'''}}} ----- 그리워하던 임이 온들 반가움이 이러하랴 ----- {{{#003399,#ffaa00 '''말ᄉᆞᆷ도 우움도 아녀도 몯내 됴하ᄒᆞ노라'''}}} ----- (산이) 말씀도 웃음도 없어도 못내 좋아하노라 ----- [br] ----- {{{#003399,#ffaa00 '''누고셔 三,,삼,,公,,공,,도곤 낫다 ᄒᆞ더니 萬,,만,,乘,,승,,이 이만ᄒᆞ랴'''}}} ----- 누구는 (자연이) 삼공[* 의정부의 삼정승(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일컫는다.]보다 낫다 하더니 만승[* 만 개의 수레를 부리는 자, 즉 천자를 의미한다.]이 이만하랴 ----- {{{#003399,#ffaa00 '''이제로 헤어든 巢,,소,,父,,부,, 許,,허,,由,,유,,ㅣ 냑돗더라'''}}} ----- 이제 헤아려보니 [[허유(중국 신화)|소부(巢父)와 허유]][* 자연에서의 안분지족의 삶을 대표하는 고대 중국의 인물들이다.]가 영리하더라 ----- {{{#003399,#ffaa00 '''아마도 林,,님,,泉,,쳔,, 閑,,한,,興,,흥,,을 비길 곳이 업세라'''}}} ----- 아마도 자연 속 한가한 흥취를 비길 곳이 없으리라 ----- [br] ----- {{{#003399,#ffaa00 '''내 셩이 게으르더니 하ᄂᆞᆯ히 아ᄅᆞ실샤'''}}} ----- 내 성품이 게으른 걸 하늘이 아셔서 ----- {{{#003399,#ffaa00 '''人,,인,,間,,간,,萬,,만,,事,,ᄉᆞ,,ᄅᆞᆯ ᄒᆞᆫ 일도 아니 맛뎌'''}}} ----- 인간만사 중에 하나의 일도 아니 맡겨 ----- {{{#003399,#ffaa00 '''다만당 ᄃᆞ토리 업슨 江,,강,,山,,산,,을 딕희라 ᄒᆞ시도다'''}}} ----- 다만 다툴 이 없는 강산을 지키라 하시도다 ----- [br] ----- {{{#003399,#ffaa00 '''江,,강,,山,,산,,이 됴타 ᄒᆞᆫᄃᆞᆯ 내 分,,분,,으로 누얻ᄂᆞ냐'''}}} ----- 강산이 좋다 한들 내 분수로 누웠느냐 ----- {{{#003399,#ffaa00 '''님군 恩,,은,,惠,,혜,,ᄅᆞᆯ 이제 더옥 아노이다'''}}} ----- 임금의 은혜를 이제 더욱 알겠노이다 ----- {{{#003399,#ffaa00 '''아므리 갑고쟈 ᄒᆞ야도 ᄒᆡ올 일이 업세라'''}}} ----- 아무리 갚고자 해도 해드릴 일이 없어라 || [[분류: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