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리엔트 정교회)] [include(틀:총대주교좌)] || [[말라얄람어]] ||യാക്കോബായ സുറിയാനി ക്രിസ്ത്യാനി സഭ || || [[영어]] ||Malankara Orthodox Syrian Church (MOSC) || [목차] [clearfix] == 개요 ==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는 인도 남부 [[케랄라]] 지방에 거주하던 전통적인 [[네스토리우스파]] [[그리스도교]] 신자인(이른바 토마스 그리스도인) 공동체가 포르투갈의 영향으로 [[교황수위권]]을 인정하자 이에 반발한 신도들이 아예 네스토리우스파 교리와 전례 자체를 버리고 시리아 일대의 [[오리엔트 정교회]]의 일파 [[시리아 정교회]]로 갈아타며 서시리아 전례를 받아들인 교회를 의미한다. 말랑카라는 케랄라 지역의 이명이다. 과거 이들은 예배를 드릴 때 동시리아 전례대로 [[아람어]]를 사용했으나, 오늘날에는 아람어도 중시하되 서시리아 전례대로 예배를 보는 편이다. 오늘날 기준으로 [[시로말라바르 가톨릭]] 신도들과 함께 케랄라 지역의 전통적인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주요 종파를 담당하고 있다. 시로말라바르 가톨릭 신도들과 마찬가지로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신도들의 일상 언어는 [[말라얄람어]]이다.[* 아람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이고 [[말라얄람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 기원 == 일단 전승상의 과장이야 있겠지만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는 시로말라바르 가톨릭과 마찬가지로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그리스도교 공동체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케랄라 지역의 이른바 성 토마스 그리스도인들은 자신들이 서기 1세기 인도로 이주한 사도 토마스에서 기원했다는 전승을 가지고 있다.[* 서기 원년 즈음 인도에 유대인 상인들이 유입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으나 본격적으로 인도 해안 지역에 그리스도인 인구가 증가한 것은 고대 말 [[사산 왕조]] 페르시아 시기로 추정된다.] 사산 왕조 페르시아 당시 페르시아인들은 인도양 각지에서 활발한 해상 무역을 벌였는데, [[구자라트]]를 중심으로 정착했던 조로아스터교도들은 인도 [[파르시]]의 기원이 되고, [[케랄라]] 지역에 정착한 페르시아인들은 기존의 그리스•로마계 무역 상인들의 영향도 합쳐져 [[조로아스터교]]보다 [[그리스도교]]가 우세하게 되면서 오늘날 성 토마스 그리스도인들의 기원이 되었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성 토마스 그리스도인들은 중세까지만 해도 [[가톨릭]]이나 [[시리아 정교회]]와는 엄연히 다른 [[네스토리우스파]] 교단에 속해 있었다. 서기 8세기 페르시아의 네스토리우스파 교회에서 대주교 디모테오스 1세(서기 823년 선종)를 파견하여 교단이 정비되었으나, 페르시아와 이라크 일대의 네스토리우스파 공동체가 몽골 제국의 침략과 흑사병, [[티무르 제국]]의 그리스도교 탄압으로 교세가 크게 축소되면서 상호 왕래와 어려워지고 이로서 말라바르 내 교회는 사실상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대항해시대 당시 [[포르투갈 왕국]]이 인도 해안 지대를 침략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존재가 서구권에 본격적으로 확인되었다. 포르투갈이 케랄라 해안 지방에 식민지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포르투갈의 [[예수회]]는 1599년부로 케랄라 지방의 그리스도인들을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려 하였다. 가톨릭으로 종파를 변경하는 것에 반감을 가진 상당수의 신도들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1663년 인도양에서 포르투갈을 크게 격파하자, 이를 기회로 포르투갈의 세력 약화를 노리던 [[네덜란드]]의 도움[* 대항해시대 당시 포르투갈은 인구 100만여 명 남짓만으로 방대한 해외 식민지를 운영하기 힘들어, 대개 식민지의 현지인들을 가톨릭으로 강제 개종시켜서 식민지 운영 병력으로 투입하는 편이었다. 포르투갈과 인도양 무역을 경쟁하던 네덜란드는 [[칼뱅파]] 개신교 중심의 국가이기도 하거니와 포르투갈의 식민지 운영 능력을 제거하기 위해 인도양 식민지에서 힌두교나 무슬림보다 오히려 포르투갈에 의해 가톨릭으로 개종한 현지인들을 적극적으로 탄압했다.]으로 시리아 정교회와 연락하여 가톨릭 대신 시리아 정교회로 교파를 변경하는데 이들이 오늘날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의 직계 기원이 된다. 원래 시리아 정교회의 [[합성론]]과 네스토리우스파는 교리 자체가 상극인데 아이러니하게도 반칼체돈 교리를 추구하는 네스토리우스파 세력이 역사적, 지정학적 이유로 가톨릭에 반발하여 합성론(단성론) 교리의 시리아 정교회로 교파를 옮긴 상당히 특이한 경우이다. == 현황 == 오늘날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는 안티오키아 전례의 부속된 말랑카라 전례를 따른다. 케랄라 내 시리아 정교회 교파 내에서도 갈등이 없는 것은 아니어서,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외에도 말라바르 독립 시리아 교회 및 야코부스 시리아 그리스도인 교회 등등의 교파가 갈라져 나왔으나, 일단 인도의 시리아 정교회 중에서는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가 신도 수가 제일 많은 편이다. 오늘날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에 소속된 신도 수는 약 250만여 명 이상에 달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아시아 기독교 협의회)] [[분류:오리엔트 정교회]][[분류:인도의 종교]][[분류:아시아 기독교 협의회]][[분류:세계 교회 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