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말레이시아의 대외관계)] [include(틀:방글라데시의 대외관계)]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100%]]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100%]] || || [[말레이시아|{{{#gold '''말레이시아'''}}}]] || [[방글라데시|{{{#ffffff '''방글라데시'''}}}]] || [목차] == 개요 == [[말레이시아]]와 [[방글라데시]] 사이의 외교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두 나라는 협력이 강하지만 동시에 갈등들도 적지 않은 편이다. == 역사적 관계 == 근세시대 [[포르투갈인]]의 기록에 의하면 이 시대부터 인도양 일대를 건너 [[벵골 술탄국]]과 [[믈라카 술탄국]] 사이의 무역, 교류들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본격적으로 두나라 간의 외교관계는 방글라데시가 독립된 이후이며, 말레이시아는 [[이슬람 국가]]들 중 최초로 방글라데시를 인정한 나라이기도 하다. === 갈등 === 수많은 방글라데시 출신 [[외국인 노동자]]들이 이곳으로 와서 일한다. 말레이시아가 순혈주의가 심한 나라이다보니 이들은 말레이시아에서 철저하게 인권을 유린당하고, 특히 현지인들을 중심으로 '방글라' 등의 인종차별적 용어들이 사용되고 '너네 나라로 돌아가라' 등 여러모로 혹독한 차별을 받는다. 물론 말레이시아 내의 외국인 범죄자들 중 방글라데시 국적이 많긴 하지만, 설상 모두가 그런 것도 아닌데도, 나라에서는 여러모로 핍박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 때문인지 방글라데시인들도 말레이시아에 대해 거부감을 드러내는 일들이 많다. [[http://www.confessionpost.com/26272/i-hate-malaysia|어느 외국인이 말레이시아의 실체를 폭로하는 글]]이 있는데 이 글 역시 [[방글라데시인]]이 쓴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 노동자]] 처우 문제로 갈등이 큰 편이다. 2016년에는 [[http://www.straitstimes.com/asia/se-asia/malaysia-lifts-freeze-on-hiring-of-foreign-workers-for-four-sectors|방글라데시 이주노동자들을 더 이상 고용하지 않겠다]]고 폭탄선언을 강행했으며 타국에서 이를 비판했더니 '닥쳐라'라는 [[나집 라작]] 총리의 망언까지도 이어졌다. 그래서인지 이것 때문에 방글라데시에 말레이시아인들이 관광하러 오면 매우 불친절하게 대한다는 말도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가 TV 방송에서 자국을 비판한 방글라데시 노동자를 체포해 추방하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770211|#]] 결국 방글라데시 노동자는 추방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1831285|#]]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말레이인]] 극우 세력들이 한목소리로 방글라데시인들을 까고 우습게 본다. 특히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극우 가수인 [[나미위]]는[* 이 사람은 굉장히 [[혐한]] 및 반대륙 성향도 강하며 이것 때문에 중국본토 활동이 금지되었다.] 방글라시아(Banglasia)라는 [[제노포비아]]적 영화를 통해 방글라데시를 까는 건 물론이고 자국 정부도 굉장히 까서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다. == 대사관 == 두 나라 간의 대사관은 공식적으로 없지만 [[고등판무관]]들이 존재하는데, 말레이시아 주재 방글라데시 고등판무관실과 방글라데시 주재 말레이사아 고등판무관실이 [[다카(방글라데시)|다카]], [[쿠알라룸푸르]]에 존재한다. == 교통 교류 == 다카의 [[샤잘랄 국제공항]]과 [[말레이시아 항공]], [[에어아시아]], [[바틱에어 말레이시아]] 등의 말레이시아 항공 노선이 이어져 있다. [[비자]]의 경우 방글라데시는 말레이시아에 가려면 도착 비자가 필요하며 말레이시아의 경우 방글라데시에 가려면 전자 비자가 필요하거나 전자 여행 등록 및 정보 신청을 접수하는 새로운 온라인 신청 시스템이 있다. 또한 방글라데시와 말레이시아 사이의 외교 또는 공무 여권 소지자는 서로 최대 30일 또는 3개월 간 비자가 필요하지 않지만 방글라데시인이 말레이시아에 입국하려면 우선 입국항에서 입국 허가를 요청해야 한다. == 관련 항목 == * [[말레이시아/외교]] * [[방글라데시/외교]] * [[영연방]] * [[이슬람 협력기구]] * [[말레이시아/역사]] * [[방글라데시/역사]] * [[말레이시아/경제]] * [[방글라데시/경제]] * [[방글라데시인]]([[벵골인]]) / [[타밀족]] / [[타밀어]]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남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남아시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말레이시아/외교,version=340, title2=방글라데시/외교,version2=142)] [[분류:말레이시아의 대국관계]][[분류:방글라데시의 대국관계]][[분류:영연방]][[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