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말레이시아의 대외관계)] [include(틀:캄보디아의 대외관계)]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100%]]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100%]] || || [[말레이시아|{{{#gold '''말레이시아'''}}}]] || [[캄보디아|{{{#fff '''캄보디아'''}}}]] || [목차] [clearfix] == 개요 == [[말레이시아]]와 [[캄보디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ASEAN|아세안]] 회원국에 속해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572616?sid=104|#]] 그리고 양국은 입헌군주제 국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2171937?sid=101|#]] 말레이시아에는 캄보디아 노동자들이 거주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47/0002366919?sid=104|#]]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 양국은 아세안 회원국으로 교류와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2008년 10월 17일, 말레이시아 측이 태국-캄보디아 분쟁을 중재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333582?sid=104|#]] ==== 2010년대 ==== 2013년 5월 16일, 말레이시아 법원은 캄보디아 가정부를 굶겨 사망시킨 말레이시아인 부부에게 징역 24년형을 선고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5153333?sid=104|#]] 2014년 9월 24일, 인천 아세안 게임에 참가한 캄보디아인 선수와 말레이시아인 선수가 도핑에 걸렸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96&aid=0000245221|#]] 2018년 5월 7일, 캄보디아의 반정부언론 '프놈펜 포스트'가 세금 폭탄을 이기지 못해 말레이시아 홍보회사에 인수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298530?sid=104|#]] 2019년 11월 9일, 훈센 총리 퇴진을 공언한 캄보디아의 야당 지도자 삼 랭시 의원이 말레이시아에 입국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200828?sid=104|#]] ==== 2020년대 ==== 2020년초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퍼지며 양국에서 확진자가 크게 발생했다. 그리고 양국은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를 크게 받았다. 캄보디아에 입항한 웨스테르담호 승객 1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자 양국간에 갈등이 생겨나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419917?sid=104|#]] 캄보디아는 말레이시아 측에게 재검토를 요청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403657?sid=104|#]] 말레이시아 정부는 캄보디아 정부가 입항한 크루즈선의 승객들중 20명만 검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405160?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014991?sid=104|#2]] 말레이시아에서 시행한 이슬람 행사에 참가한 캄보디아인 무슬림이 캄보디아로 귀국한 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자 캄보디아 정부는 종교 행사를 금지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481301?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486567?sid=104|#2]] 코로나19가 퍼지자 캄보디아와 말레이시아 등 아세안 회원국들이 휴교를 결정했다.[[https://asiatime.co.kr/1065576555276456|#]] 2021년,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양국은 코로나19 규제를 풀면서 외국인 입국을 허용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1662673?sid=004|#]] 2022년 1월 16일, 캄보디아의 미얀마 군정에 대한 유화태도에 대해 말레이시아를 포함한 아세안 회원국들이 반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920762?sid=104|#]] 2월 25일, 양국 총리간에 회담이 열렸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013115?sid=104|#]] 9월 10일, 말레이시아 정부는 캄보디아에서 취업 사기를 당해 강제노동에 처했던 말레이시아인 24명을 귀국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432161?sid=104|#]] 말레이시아 정부는 캄보디아와 미얀마에서 일어난 취업 사기에 대응하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174444?sid=104|#]] 11월 14일, 캄보디아에서 납치된 말레이시아 국적 중국인과 말레이시아인들이 캄보디아 경찰에 구출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573894?sid=104|#]] == 경제 교류 == 양국은 아세안 회원국으로 경제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말레이시아는 캄보디아에 투자를 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0/0000018833|#]] 그리고 캄보디아에는 말레이시아, 일본, 베트남, 대만 등 다른나라의 증권사들이 진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2787782?sid=101|#]] 2016년 10월 16일, 말레이시아와 캄보디아 양국간에 FTA가 체결됐다.[[https://www.weeklytrade.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136&item=&no=23473|#]] 2022년 이후, 양국은 [[RCEP]] 회원국이 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059520?sid=104|#]] == 문화 교류 == 양국은 종교에서 각각 [[이슬람교]]와 [[상좌부 불교]]를 믿기 때문에 차이가 존재한다. 다만, 말레이시아에는 소수의 불교도가 존재하며 캄보디아에는 [[참족]]들을 중심으로 무슬림 비중이 일부 존재한다. 캄보디아내 참족 무슬림들이 말레이시아로 건너가는 경우가 존재한다. === 스포츠 === 양국은 페탕크라는 스포츠 분야가 인기를 끌고 있다.[[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20820010011889|#]] 2018년 9월 10일, 캄보디아 축구팀이 말레이시아 축구팀과의 경기에서 패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13&aid=0000071627|#]] == 관련 문서 == * [[말레이시아/외교]] * [[캄보디아/외교]] * [[ASEAN|아세안]] * [[RCEP]] * [[말레이시아/역사]] * [[캄보디아/역사]] * [[말레이시아/경제]] * [[캄보디아/경제]] * [[말레이시아인]] / [[말레이인]] / [[크메르인]] * [[마인어|말레이어]] / [[크메르어]] / [[이슬람교]] / [[순니파]] / [[상좌부 불교]]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남아시아 국가]] [[분류:말레이시아의 대국관계]][[분류:캄보디아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