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ute Arterial Occlusion || 진료과 || 심장[[내과]], [[흉부외과]] || || 관련질병 ||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 || [목차] == 개요 및 원인 == 말초동맥폐색([[末]][[梢]][[動]][[脈]][[閉]][[塞]])은 대부분 급작스러운 원인으로 동맥이 막혀 사지의 혈액공급이 차단되며 나타나는 질병을 뜻한다. [[말초동맥질환]]의 경우 하지의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서서히 진행되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이나 폐색의 경우 [[색전]](emboli)에 의해 동맥이 막혀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게 된다. 주로 총 대퇴 동맥(common femoral artery)에서 막히게 되나 드물게 혈관의 외상에 의해 생기기도 한다. 색전은 심장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약 85% 이상이다. [[심방세동]], [[심근경색]]후 합병증, 류마티스성 심질환 혹은 드물게 [[심방점액종]]에 의해 [[혈전]]이 떨어져 나와 하지동맥에 정착하게 된다. == 증상 및 진단 == 6개의 P's 라 하여 P로 시작되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비슷하게 [[구획증후군]](compartment syndrome)이 이같은 증상을 보이게 된다]. * [[통증]](Pain) * 창백(Pallor) * [[무맥박]](Pulselessness) * 감각이상(Paresthesia) * [[마비]](Paralysis) * 냉기(Poikilothermia) 동맥조영도(arteriogram)를 통해 폐색이 일어난 위치를 찾고 [[심전도]]와 심초음파검사를 통해 [[색전]]을 일으킨 원인을 찾아 진단하게 된다. == 치료 == 먼저 하지의 상태를 검사하는 것이 급선무. 근육은 혈액공급이 차단되어도 6시간 정도는 버틸 수 있기에 이 시간 안에 혈관을 재생시키는게 관건이다. 먼저 [[헤파린]]을 투여하여 [[혈전]]의 생성을 지연시키고 색전제거술(embolectomy)이나 혈전용해제(thrombolytics)를 통해 막힌 동맥을 뚫어야 한다. 드물게 수술 후 합병증으로 [[구획증후군]](compartment syndrome)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럴 경우 [[근막절개술]](fasciotomy)을 통해 압력을 완화시킨다. == 콜레스테롤 색전 폐색 (cholesterol embolization syndrome) == 병리학적으로 말초동맥폐색증과 비슷하기에 이 항목에 추가로 설명되었다. 주로 동맥조영도 시술 후나 혈전용해제 투여 후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동맥경화]]로 인해 생성된 동맥경화반(plaque) 안에 포함되어 있던 콜레스테롤 결정체가 떨어져 나와 작은 혈관들을 막으며 발생된다. 이로 인해 혈액공급이 차단되어 발가락이 파란색/검정색으로 변하거나 급성[[신부전]], [[복통]] 및 복부출혈이 발생하게 된다. 이럴 경우 혈압조절과 지지 치료(supportive therapy)를 하며 항응고제 투여를 절때 금하게 된다. [[분류:동맥 관련 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