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막글)] [목차] == 개요 == [[소금]]과 [[MSG]]를 대략 9:1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조미료]].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등재된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이다. 뜻은 "화학조미료를 첨가한 조리용 소금". [[대상(기업)|대상]]에서 생산하는 미원 맛소금이 시장의 80~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원재료 함량은 정제소금 90.3%(국내산), L-글루탐산나트륨(향미증진제) 9.6%,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0.1%로 이루어져 있다. == 요리 관련 == 요리 초보들이 실수하는 것으로, 맛소금에 MSG가 들어있는 것에 착안하여 요리에 감칠맛을 더하기 위한 용도로 넣기도 하는데, 맛소금은 기본적으로 '소금'인지라 성분의 90% 가량이 정제염인 만큼 맛소금의 용도는 [[근본|음식에 간을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감칠맛이 조금 가미되는 것이지, 음식에 직접적으로 감칠맛을 첨가할 목적으로 사용하다가는 도저히 짜서 먹을 수 없는 결과물이 나온다. 감칠맛만을 원한다면 맛소금이 아닌 [[MSG]]를 써야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MSG가 공으로 들어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간이 필요할 때 맛소금 적당량을 넣으면 적절히 짭짤하면서도 묘하게 숨은 감칠맛으로 맛이 상당히 좋아진다. 덕분에 삶은 계란을 찍어먹을때 가장 맛있는 소금. 반대로 감칠맛이 필요하지 않고 짠맛과 짠맛으로 부각되는 맛[* [[단짠단짠]]으로 대표되는 단맛이나 고소한 맛이 이 경우에 속한다.]을 살려야 하는 상황에선 맛소금은 어울리는 물건이 아니다. 오히려 감칠맛으로 몇몇 가려진 맛이 드러나면서 음식의 맛을 망치는 경우도 생기므로 맛소금이 소금의 완전한 상위호환이 아니란 점을 유의해야 한다. == 낚시 == 뻘에 맛소금을 뿌려 맛조개를 유인하기도한다. [[분류:소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