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막글)] [목차] == 개요 == 한국어: 맛있다 영어: Delicious[* 사실 영어 원어민에게 delicious는 너무 강조 혹은 과장해서 말하는 표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맛있다"라고만 말하고 싶으면 "It's good." 또는 "It tastes good."라고 말하면 된다.] 일본어: 美味しい (おいしい), うまい 중국어: 好吃 (hǎochī) 맛+있다. 사전적 정의는 '음식의 맛이 좋다'이다. 일반적으로 미뢰에 접촉하여 미각세포를 통해 뇌로 전달된 액체상태의 분자정보가 만족스러울 때 사용된다. ‘맛있다’의 발음은 원래 [마딛따]이지만[*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 중 어미, 접사, 조사가 아닌 실제 뜻을 가진 실질 형태소 앞의 받침은 자음 그대로 연음되지 않고 대표 자음으로 변하는데, 'ㅅ'은 '웃어른'의 경우처럼 'ㄷ'으로 바뀐다. 맛+있다 역시 뒤 '있다'가 실제 뜻을 지닌 실질 형태소이므로 'ㅅ'이 'ㄷ'으로 변해 '마딛따'가 되는 것이다.] 언중의 실제 발음을 고려하여 [마싣따]도 표준 발음으로 허용되었다. 이는 비슷한 구조의 '멋있다'도 동일. '맛있다'를 [마싣따]로 발음하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맛+있다'라는 어원 의식이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마싰다'로 적지 않고 '맛있다'로 적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 비유적 표현 == 2022년 들어 유행어로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할 때 꾸미는 말로 자주 '맛있다'를 사용한다. [[맛집#비유적 표현]]이라는 표현과 일맥상통한다. * 운동에서의 '맛있다' = 운동이 잘 된다, 목표하던 근육이 자극을 잘 받는다.[* 방송매체나 운동 유튜버들이 사용하면서 헬스장에 다니는 일반인들중에 실제로 소리내서 맛있다 맛있다 소리를 내는 사람이 있는듯하며 대부분 사람들은 [[이건 뭐 병신도 아니고 |이상한 눈으로]] 쳐다본다.] * 드라마나 연극, 영화에서 '맛있다' = [[서사]]가 흥미롭고 몰입감 있어 마음에 든다. * 특정 인물이 '맛있다' = 매력이 있다. [[분류: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