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육군]] 기준으로, 같은 [[중대(군대)|중대]] 안에서 본인의 '''바로 뒷 군번'''인 [[후임]]을 일컫는 말. 반대말은 [[맞선임]]. 기수제인 해공군 및 해병대에서는 바로 뒷 기수의 후임병을 일컫는 말이 되며, 바로 뒷 기수인 병사가 없다면 가장 가까운 기수의 후임병이 맞후임이 된다. 물론 선후임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에 한한다.[* 예를 들어서, 공군의 경우 대대 단위로 선후임 관계가 성립하기 때문에 만약 본인이 수송대대 소속이라면 군사경찰대대 병사들은 기수 상관없이 그냥 아저씨가 된다.] == 설명 == 기수제가 보편화되어 있는 군대(해공군 또는 육군의 일부 모집병 병과 등)에서는 바로 뒷 [[기수]]인 후임이 이것에 해당한다.[* 만약 바로 뒷 기수 TO가 없는 경우 가장 가까운 뒷기수를 맞후임이라고 한다.] 또 육군에서도 [[본부중대]] 등 각 [[분대]]별로 과업이 상이한 부대에서는 맞후임을 중대 단위가 아니라 분대 단위로 끊는 경우도 꽤 있다. 보통 군대에 있을 때 자신을 위해주는 그런 고마운 존재기도 하다. 아무래도 자신이 동기도 없이 홀로 낯선 군대에 떨궈져 있는 상태에서 맞후임이 들어오게 된다면 비록 [[동기]]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힘이 되어주는 존재다. 다만 시간이 지나고 [[짬밥]]을 먹게 될수록 더불어 자신이 최선임이 되어 휘하 병사들을 통솔하는 단계에 오면 오히려 성가신 존재가 되는 그런 존재다. 물론 맞후임과 같이 지낸 시간이 많기 때문에 거의 동기에 준하는 그런 친밀한 관계를 지낸 지 오래라서 엔간해서는 본인이 맞후임에게 말년꼬장을 부리는 그런 경우는 잘 없다. 물론 그러거나 말거나 [[보상심리]]의 일환으로 자신의 맞후임에게 말년꼬장을 부리는 인간쓰레기는 분명 존재하긴 하겠지만. [[분류:군대 관련 속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