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ridges of Madison County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crazygoangirlreads.files.wordpress.com/the-bridges-of-madison-county.jpg]] > '''"애매함으로 둘러싸인 이 우주에서 이런 확실한 감정은 단 한 번 오는 거요. 몇 번을 다시 살더라도, 다시는 오지 않을 거요."''' > '''“In a universe of ambiguity, this kind of certainty comes only once, and never again, no matter how many lifetimes you live.”''' [[미국인]] 로버트 제임스 월러(1939.8.1~2017.3.10)가 1992년에 낸 [[소설]].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로 [[무려]] 37주 동안 1위를 차지하며 [[미국]]에서만 850만 부가 팔렸다. [[한국]]에선 [[시공사]]가 정식계약으로 펴내 70만 부가 넘게 팔렸다. <매디슨 카운티의 추억>이라는 제목으로 원작자가 쓴 속편이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9&aid=0000244377|한국어 출판 당시의 인터뷰.]] 이것도 미국에서 100만 부 넘게 팔리며 꽤 성공했지만, 전작이 워낙 대박이어서인지 잊힌 편. == 줄거리 == 남편을 몇 년 전에 먼저 잃고 평범하게 살던 노부인 프란체스카 존슨은 병으로 세상을 떠난다. 그런데 가족 무덤이 있고 이미 죽은 남편의 무덤에 함께 묻어줄 준비를 다 했는데, 그녀는 자신이 죽으면 매장하지 말고 [[화장(장례)|화장]]해서 어느 다리에 뿌려달라는 유언을 남긴다. 그걸 이해하지 못하던 자녀들은, 그래도 어머니의 유언이라 그렇게 한다. 유품을 정리하던 자녀들은 이상한 열쇠를 발견한다. 그 열쇠로 오랫동안 어머니가 숨겨온 다른 유품을 열게 된다. 거기에는 어머니가 잊지 못했지만 누구에게도 밝히지 않은 나흘간의 이야기가 쓰여 있었다. 수십 년 전 어느 날, 직업 [[사진작가]]인 남성 로버트 킨케이드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잡지에 실을 로즈만과 할리웰 다리의 사진을 찍기 위해 매디슨 카운티에 도착한다. 길을 잃은 그는 잘 정돈된 한 농가 앞에 트럭을 세우고는 길을 묻는다. 남편과 두 아이가 나흘 동안 일리노이 주의 박람회에 참가하러 떠나고 집에 혼자 있던 여인 프란체스카는 예의 바른 이방인에게 호기심을 느낀다. 애초에 결혼도 생계를 위해 어쩔 수 없이 한 데다가 아이들과 집안을 돌보느라 정신없이 살던 프란체스카는 로버트에게 이루 말할 수 없는 끌림을 느끼고, 로버트를 집으로 끌어들여 [[외도]]를 한다. 로버트는 떠날 즈음 프란체스카에게 "나와 함께 도망쳐서 새로운 삶을 살자. 이런 기회는 다시 오지 않는다."고 유혹한다. 하지만 프란체스카는 자신이 없으면 안 되는 사람들과 일생의 단 한 번뿐일 사랑 중에서 갈등하다가, 결국 로버트와의 사랑을 포기한다. 그리고 죽을 때쯤 "평생 동안 가족에게 충실했으니, 죽어서는 로버트를 택하겠다"고 유품의 마지막에 적어놓았다. == 평가 == 등장인물들의 섬세한 감정 표현과 세련된 절제미로 일생에 단 한 번뿐인 진정한 사랑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엄연히 [[불륜]]관계인 것을 미화했다는 주장도 있다. == 영화 == [include(틀: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 장편 연출 작품)] [include(틀:카예 뒤 시네마 선정 1990년대 영화)] ||<-2> {{{+1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1995)[br]''The Bridges of Madison Count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포스터.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북미 포스터 ▼ [[파일:external/journeysanddestinations.files.wordpress.com/the_bridges_of_madison_county-movie.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 '''감독''' ||[[클린트 이스트우드]]|| || '''각본''' ||리처드 라그라브네스|| || '''원작''' ||로버트 제임스 월러의 소설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 '''제작''' ||[[클린트 이스트우드]][br][[캐슬린 케네디]]|| || '''주연''' ||클린트 이스트우드[br][[메릴 스트립]][br]애니 콜리[br]빅터 슬레잭|| || '''촬영''' ||잭 N. 그린|| || '''편집''' ||조엘 콕스|| || '''음악''' ||레니 니하우스|| || '''의상''' ||콜린 켈살|| || '''분장''' ||J. 로이 헬런드|| || '''제작사''' ||엠블린 엔터테인먼트[br]말파소 프로덕션즈||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드림팩트 엔터테인먼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재개봉^^||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영화사 오원||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95년]] [[6월 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5년]] [[9월 2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10월 25일]] ^^재개봉^^ || || '''화면비''' || || || '''상영 타입''' ||필름 | 2D, 디지털 | 2D ^^재개봉^^|| || '''상영 시간''' ||132분 (2시간 12분)[br]135분 (2시간 15분) ^^재개봉^^|| || '''제작비''' || || || '''월드 박스오피스''' ||'''$182,016,617'''|| || '''북미 박스오피스''' ||'''$71,516,617'''|| || '''대한민국 총 관객수''' ||'''246,612명''' ^^서울 관객수^^[br]'''13,723명''' ^^재개봉^^ || || '''스트리밍''' || || || '''[[영상물 등급 제도|{{{#ad747e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청소년 관람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초기.svg|width=40]] {{{#373a3c,#ddd 청소년 관람불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5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width=4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재개봉^^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PG-13 로고.svg|height=20]]]]|| [clearfix] === 개요 === 1995년작으로 감독은 [[클린트 이스트우드]]. 주연은 클린트 이스트우드, [[메릴 스트립]]. 2,400만 달러로 만들어져 [[미국]]에서 7,150만 달러를 벌었고, 해외에서도 1억 1천만 달러가 넘는 상당한 흥행을 했다. 제작사는 이스트우드 옹이 공동으로 설립한 말파소 프로덕션과 [[스티븐 스필버그]] 소유인 엠블린 엔터테인먼트. 제68회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주연상 후보작이다. === 시놉시스 === 1965년 미국. 남편과 아이들이 여행을 떠나 혼자 집을 지키고 있던 가정주부 프란체스카(메릴 스트립)는 길을 묻는 낯선 남자를 만난다. 처음 만났을 때부터 쉽게 잊혀지지 않는 그의 이름은 로버트 킨케이드(클린트 이스트우드). 로즈먼 다리의 사진을 찍기 위해 메디슨 카운티를 찾은 사진작가였다. 이유를 붙일 필요도 없이 사랑에 빠져 드는 두 사람. 이미 중년에 이른 그들은 그 동안 살아온 시간을 나누지는 못했어도 앞으로 살아갈 시간만은 함께 하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프란체스카는 남편과 아이들에 대한 죄책감을 떨치지 못하고 메디슨 카운티에 남는데... === 예고편 === [youtube(SIzrK9_IytU)] === 등장인물 === * [[클린트 이스트우드]] - 로버트 킨케이드 역 * [[메릴 스트립]] - 프란체스카 존슨 역 * 애니 콜리 - 캐롤린 존슨 역 * 빅터 슬레잭 - 마이클 존슨 역 === 기타 === 영화사는 [[셰어]]나 [[이사벨라 로셀리니]]를 프란체스카 역으로 생각했으나, 감독인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메릴 스트립]] 배우를 더 비중에 두어 연기를 맡게 되었다. 원작자인 월러도 꽤 만족했다는 후문이 있다.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과 메릴 스트립의 섬세한 연기, 잔잔한 음악과 감각적인 연출로 찬사를 받았다. 특히 프란체스카의 두 자녀인 마이크와 캐롤라인이 어머니의 비밀을 알고 보이는 반응이 점점 변해가는 모습이나,[* 프란체스카의 장남인 마이크는 처음에 어머니의 외도 사실을 알고 "어머니가 농담하는 거다"라고 부정하거나, "절대로 우리 어머니가 그럴 리가 없어. 분명히 로버트란 그 인간이 강간한 거야."라는 식으로 믿지 않으려 한다. 하지만 점점 어머니의 편지를 읽으면서 "난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에도, 어머니에게는 내가 있으니까 남자는 필요없을 줄 알았어"라며 숙연해하는 등 조금씩 변한다. 어머니도 어머니이기 이전에 한 명의 인간이고 여성이었다는 것을 깨달은 것.] 빗속에서 로버트가 남편과 차 안에 타고 있던 프란체스카를 애절하게 바라보는 가운데, 그녀가 차문 손잡이를 잡고 갈등하다가 끝내 현실을 택해야 했던 장면이 유명하다. KBS에서 1999년 1월 3일 방영했고 1999년 10월 31일 재방영했으며 2012년 6월 29일 재방영했다. [[송두석]]이 로버트, [[장유진]]이 프란체스카를 맡았다. [[마이크]]는 [[이호인(성우)|이호인]], 캐롤라인은 [[안경진]], 남편인 짐은 [[장광]], 그밖에 [[유지영]], [[성선녀]] 외 성우진이 맡았다. 2017년 10월 25일에 재개봉했다. [[한국 드라마]] [[애인(드라마)|애인]]이 엄청난 시청률을 기록할 당시, 불륜 미화 드라마라고 정치권이나 보수적인 시각에서 비난하자 드라마 작가가 "이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영화나 소설 가지고 불륜이라고 시비거는 한국 정치인은 없었다"는 반론을 했던 적도 있다. [[한국 영화]] [[애인(2005년 영화)|애인]]도 비슷한 내용이다. 특히 마지막 장면에서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처럼 주인공 '여자'([[성현아]])가 자동차 문을 잡고서 '남자'([[조동혁]])에게 달려갈까 한참 갈등하다가 결국 용기를 내지 못하고 현실로 돌아가는 모습이 몹시 유사하다. 영화에 나오던 이 둘이 사랑을 나누던 다리는 2002년 9월 3일 "이런 불륜 저질극이 찍힌 더러운 흔적을 지워야 한다"는 특정종교 광신도가 방화로 불태워서 팬들이 무척 아쉬워했다고 알려지기도 했다. 하지만 영어 제목에서 보듯 매디슨 카운티에 있는 유개교는 여러 개이고, 영화도 여러 다리에서 촬영되었다. 이 중 한 개의 다리(cedar bridge)가 불탄 것이다. 이후 2004년에 복원되었고 방화범은 잡히지 않아서 원인은 모른다. 그러나 2003년 10월 6일에 또 극중 프란체스카의 집으로 나온 집도 [[반달리즘|방화로 불태워지고 말았다.]] [[무한도전]]에서 [[정준하]]가 감명 깊게 읽은 책으로 언급되기도 했다.[[https://youtu.be/P1qonCszv_g?t=106|#]] 안 그래도 무한도전에서 거의 하지 않는 단독 진행이었던데다 굉장히 오래 전에 읽었던 책이라 기억이 가물가물했는지[* 17~18년 전에 읽었다고 한다.] 상당히 어버버하고 있었고, "중년의 아름다운 사랑 얘기다, 어찌 보면 불륜이지만 굉장히 아름다운 사랑이다"라고 언급했다. 그때, 이를 놓치지 않은 김태호 PD의 '''"불륜이라도 아름다우면 괜찮다?"'''는 유도심문에 "…'''네!'''…앗, 아니아니 그게 아니라!"라고 대답해 또 놀림받는다.그의 소신발언에 네 사람이 놀라는 건 덤[* 특히 [[하하(가수)|하하]]는 자기도 봤다며 정준하를 두둔해주려는 척하다가 '''[[사랑과 전쟁]]''' 드립을 쳐서 그를 농락했다.] 대충 "프란체스카가 비록 불륜이란 잘못을 저질렀어도, 사실상 세대와 사회로 인해 자신의 여성성을 희생당한 여성이 뒤늦게 찾은 사랑을 아름답게 묘사한 작품이다"란 걸 말하고 싶었던 듯. 이후 진행된 독서퀴즈 마지막 문제가 이 작품의 주인공이 일하는 잡지사를 물아보는 문제였다.[* 답은 [[내셔널 지오그래픽]]] ==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뮤지컬)|뮤지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매디슨 카운티의 다리(뮤지컬))] [[분류:미국 소설]][[분류:클린트 이스트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