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매부리바다거북}}}[br]Hawksbill sea turt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etmochelys imbricata.jpg|width=100%]]}}} || ||<#f93> [[학명|{{{#000 '''학명'''}}}]] || ''' ''Eretmochelys imbricata'' '''[br][[Linnaeus]], 1766 || ||<-2><#f96>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파충류|파충강]](Reptil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거북|거북목]](Testudin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바다거북|바다거북과]](Cheloniidae) || || '''아과''' ||바다거북아과(Cheloniin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대모속(Eretmochely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매부리바다거북(''E. imbricata'')''' || [[파일:매부리바다거북 머리.jpg|width=500]] 머리 모습. 툭 튀어나온 부리가 특징이다. [목차] [clearfix] == 개요 == 거북목 바다거북과에 속하는 [[바다거북]]의 일종. 흔히 '[[대모]](玳瑁)', 또는 '대모거북'이라고 불리우나 정식 명칭은 '매부리바다거북'이다. == 상세 == [[태평양]], [[인도양]], 그리고 [[대서양]] 등 극지방을 제외한 많은 지역에서 발견된다. 몸길이는 평균 1 m 정도에 몸무게는 약 80 kg 남짓하다. 이름처럼 입이 [[매(조류)|매]]의 부리처럼 툭 튀어나왔는데, 다른 바다거북들처럼 부리가 매우 단단하다. 특히 매부리바다거북은 성격이 사납기 때문에 일부러 접근하지 않는 것이 좋다.[* 바다거북이 대부분은 성격이 온순하여 인간을 잘 공격하지 않으므로, 매부리바다거북은 이례적이다.] 매부리바다거북은 다른 [[바다거북]]보다 육식성이 강한데, 주식은 [[해면|해면동물]]로 그중에서도 좋아하는 종류가 따로 있다고 한다. 물론 해면 외에도 각종 해조류나 해파리, 무척추동물도 먹이로 삼는다. 이 과정에서 섭취한 각종 독성 해파리의 영향으로 근육 조직에 독소가 쌓이기도 하는데, 잘못 섭취하면 죽을 수 있다. [youtube(9kmE7D5ulSA)] 파충류 중에선 최초로 생물발광이 확인되었다. 이 때문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는 중. == [[인간]]과의 관계 == 옛날 한/중 사람들은 매부리바다거북의 등딱지로 칠기 가구나 각종 장신구, 생활용품 등을 만들었으며, [[부채]][* [[조선시대]]에서도 매부리바다거북의 등껍질로 만든 것을 최고로 쳤다.]와 거울에도 장식했다. 아예 전용 한자[* 玳와 瑁. 이 둘을 합치면 '''대모가 된다'''. 등딱지는 대모갑이라고 하는데, 대모갑으로 만든 안경테는 엄청난 고가를 자랑한다.]가 있을 정도로 문화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끼친 바다거북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등딱지를 노린 사냥, 환경 오염 등으로 인해 현재는 IUCN 적색 목록의 위급(CR)에 속해있어서 [[멸종 위기 동물]]로 분류된다. == 기타 == [[신라]]에서 대모로 만든 [[빗]] 유물로 [[세금착감 화문 대모 머리장식빗]]이 있다. == 대중 매체 == [[다라이어스 시리즈]]의 전함들인 [[ANCIENT BARRAGE]]와 SLASH SHELL, FULL METAL SHELL의 모티브가 된 생물이다. [[ABZÛ]]에서는 챕터 1의 웅덩이에서 해방시킬 수 있다. 보통 플레이한다면 가장 먼저 웅덩이에서 해방시킬 동물. 여기서 해방시키지 않더라도 챕터 3에서 볼 수는 있다. WHY? 과학 시리즈의 파충, 양서류 편에 '대모바다거북'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수궁가]]에서 거북이 대신 자라가 토끼를 찾으러 뭍에 올라가는 이유가 사람들이 거북이를 보면 대모를 뜯으려고 달려들 것이기 때문이라는 대목이 나온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대모, version=40)] [[분류:대모속]][[분류:스내퍼]][[분류:화폐의 도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