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프로필''' || || '''제목''' ||<-2> '''マジックリ ングナイト'''[br]Magic Ring Night[br]매직 링 나이트 || || '''가수''' || [[메구리네 루카]] || [[luz]] || || '''작곡가''' ||<|2><-2> [[카논69]] || || '''작사가''' || || '''일러스트레이터''' ||<-2> [[RAHWIA]] || || '''페이지''' || [[https://youtu.be/swcCjPiLJE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http://youtu.be/wHtJtH2eIT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투고일''' ||<-2> 2020년 5월 23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VOCALOID 프로듀서]] [[카논69]]이 [[2020년]] [[5월 23일]]에 투고한 곡. [[메구리네 루카]]의 [[VOCALOID]] 오리지널 곡 버전과 [[우타이테]] [[luz]] 버전이 동시에 투고되었다. [[Royal Scandal]] 시리즈 제 9장이며, 제 3장 [[비스트 인 더 뷰티]]의 [[프롤로그]]격 곡이다.[* 그래서인지 [[비스트 인 더 뷰티]]와 유사한 가사가 존재한다. [[비스트 인 더 뷰티|차가운 빗속에 있는 [ruby(고독, ruby=한 사람)].]]/[[매직 링 나이트|차가운 모래 위에 있는 [ruby(고독, ruby=한 사람)].]] 등.] == 영상 == ・ [[메구리네 루카]] 오리지널 버전(유튜브) [youtube(swcCjPiLJEo)] ・ [[우타이테]] [[luz]] 버전(유튜브) [youtube(wHtJtH2eITk)] == 가사 == ||
{{{#ffffff 騒ぐ砂の海。 眠る空の果実。 }}} || || 사와구 스나노 우미 네무루 소라노 카지츠 || || 소란스러워지는 모래의 바다. 잠자는 하늘의 열매. || || {{{#ffffff 夜に消えた蜃気楼。 絹の轍を征く。 }}} || || 요루니 키에타 신키로- 키누노 와다치오 유쿠 || || 밤과 함께 사라진 신기루. [[실크로드|비단이 남긴 길]]을 정복해가네. || || {{{#ffffff そこに現れた、白い異国の美女。 }}} || || 소코니 아라와레타 시로이 이코쿠노 비조 || || 그곳에 나타난, 하얀 이국의 미녀. || || {{{#ffffff "逃げるならこっちだよ" }}} || || 니게루나라 콧치다요 || || "도망칠 거면 이쪽이야" || || {{{#ffffff [ruby(アルフ・ライラ・ワ・ライラ, ruby=كتاب ألف ليلة وليلة)]。 }}} || || 아루후 라이라 와 라이라 || || [[천일야화|천 일하고 하룻밤 이야기.]] || || || || {{{#ffffff 君に[ruby(巡逢, ruby=であ)]えた夜のことは、 まるで魔法みたい。 }}} || || 키미니 데아에타 요루노 코토와 마루데 마호-미타이 || || 그대와 우연히 만난 그 밤은, 마치 마법과도 같아. || || {{{#ffffff 恋に堕ちた。 }}} || || 코이니 오치타 || || 사랑에 빠졌어. || || {{{#ffffff それだけでもう僕は、 どんな呪文さえ効かない。 }}} || || 소레다케데 모- 보쿠와 돈나 주몬사에 키카나이 || || 그것만으로 이제 나는, 그 어떤 주문에도 걸리지 않아. || || || || {{{#ffffff 千夜に一夜の夢をみたいと、彼女はひとり[ruby(逃亡, ruby=にげだ)]した。 }}} || || 센야니 이치야노 유메오 미타이토 카노죠와 히토리 니게다시타 || || [[셰에라자드|천 밤하고도 하룻밤 동안 꿈을 꾸고 싶다며,]] 그녀는 혼자서 달아났어. || || {{{#ffffff じゃあ、知らない世界を観に行こうか。 }}} || || 쟈- 시라나이 세카이오 미니 이코-카 || || 그럼, 그대가 모르는 세상을 보러 가볼까. || || {{{#ffffff "僕を信じて" }}} || || 보쿠오 신지테 || || "나를 믿어줘" || || {{{#ffffff 見慣れない服、気になる靴に、彼女は少し微笑んだ。 }}} || || 미나레나이 후쿠 키니나루 쿠츠니 카노죠와 스코시 호호엔다 || || 익숙하지 않은 옷, 신경쓰이는 구두에, 그녀는 살짝 미소를 지었어. || || {{{#ffffff 君の[ruby(自由, ruby=ねがい)]ならば叶えてあげる。 }}} || || 키미노 네가이나라바 카나에테 아게루 || || 너의 [ruby(자유, ruby=소원)]라면 이루어줄게. || || {{{#ffffff [ruby(リ・ドニア・, ruby=فوق)][ruby(ファウク, ruby=لدنيا)][* 애니메이션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의 OST인 [[A Whole New World]]의 [[아랍어]] 원제이다.]。 }}} || || 리 도니아 화우쿠 || || [[A Whole New World|완전히 새로운 세상이여.]] || || {{{#ffffff このまま、ふたりきりで。 }}} || || 코노마마 후타리키리데 || || 지금 이대로, 우리 둘이서만. || || || || {{{#ffffff ……だけど現実は、まるで囚われの身。 }}} || || 다케도 겐지츠와 마루데 토라와레노미 || || ……하지만 현실이란, 사로잡힌 몸과 다름 없어. || || {{{#ffffff [ruby(身分, ruby=うまれ)]が違いすぎる。君は異国の令嬢。 }}} || || 우마레가 치가이 스기루 키미와 이코쿠노 레이죠- || || [ruby(신분, ruby=태생)]이 너무 달라. 그대는 이국의 영애. || || {{{#ffffff [ruby(権力, ruby=ちから)]の無い者は、傍にさえいられない。 }}} || || 치카라노 나이 모노와 소바니사에 이라레나이 || || [ruby(권력, ruby=힘)]이 없는 자는, 그 곁에 있을 수조차 없어. || || {{{#ffffff こんな僕じゃあダメだな。 }}} || || 콘나 보쿠쟈- 다메다나 || || 이따위 나로는 안되나봐. || || {{{#ffffff [ruby(アルフ・ライラ・ワ・ライラ, ruby=كتاب ألف ليلة وليلة)]。 }}} || || 아루후 라이라 와 라이라 || || [[천일야화|천 일하고 하룻밤 이야기.]] || || || || {{{#ffffff ふと気がつけば午前0時。これは誰の影? }}} || || 후토 키가 츠케바 고젠 레이지 코레와 다레노 카게 || || 문득 정신을 차리니 오전 0시. 이건 누구의 그림자지? || || {{{#ffffff なぜか異国の帽子屋と兎が、僕を[ruby(禁忌, ruby=ハラム)]へと手招く。 }}} || || 나제카 이코쿠노 보-시야토 우사기가 보쿠오 하라무에토 테마네쿠 || || 어째선지 이국적인 모자 장수와 토끼가, 나를 [ruby(금기, ruby=하람)][* حَرَام (ḥarām). [[하람 푸드]]에서 알 수 있듯이 '금지된 것'이라는 뜻이다.]로 손짓하네. || || || || {{{#ffffff 彼女の[ruby(自由, ruby=ねがい)]叶えたいなら、向かう先はただひとつ。 }}} || || 카노죠노 네가이 카나에타이나라 무카우 사키와 타다 히토츠 || || 그녀의 [ruby(자유, ruby=소원)]를 이루어주고 싶다면, 향할 곳은 오직 하나뿐. || || {{{#ffffff その指輪が[ruby(権力, ruby=ちから)]をくれるという。 }}} || || 소노 유비와가 치카라오 쿠레루토 이우 || || 그 반지가 [ruby(권력, ruby=힘)]을 준다고 해. || || {{{#ffffff "俺を信じろ" }}} || || 오레오 신지로 || || "나를 믿어" || || {{{#ffffff 危険な旅路。荒れ狂う砂塵。命さえもわからない。 }}} || || 키켄나 타비지 아레쿠루- 사진 이노치사에모 와카라나이 || || 위험천만한 여행길. 미친듯 날뛰는 모래 먼지. 목숨마저도 어떻게 될지 몰라. || || {{{#ffffff でも君のためなら何だっていいさ。 }}} || || 데모 키미노 타메나라 난닷테 이이사 || || 하지만 그대를 위해서라면 어떻든 상관없어. || || {{{#ffffff 冷たい砂の上で[ruby(孤独, ruby=ひとり)]。 }}} || || 츠메타이 스나노 우에데 히토리 || || [[비스트 인 더 뷰티|차가운 모래 위에 있는 [ruby(고독, ruby=한 사람)]]]. || || || || {{{#ffffff "[ruby(افتح يا سمسم, ruby=iftaḥ yā simsim)]" }}} || || 이프타 야 심심 || || [[열려라 참깨|"열려라 참깨"]] || || || || {{{#ffffff 魔法の指輪が、僕の心を[ruby(権力, ruby=サルタン)]の獣に変える。 }}} || || 마호-노 유비와가 보쿠노 코코로오 사루탄노 케모노니 카에루 || || 마법의 반지가, 나의 마음을 [ruby(권력, ruby=술탄)]이란 짐승으로 바꿔. || || {{{#ffffff 僕の[ruby(憤怒, ruby=すべて)]さえも呑み込んで咲く「アルカナの薔薇」。 }}} || || 보쿠노 스베테사에모 노미콘데 사쿠 아루카나노 바라 || || 내 [ruby(분노, ruby=모든 것)]마저도 삼키고 피어나는 「[[아르카나|[ruby(아르카나, ruby=비밀)]]]의 장미」여. || || {{{#ffffff 「仮面の裏」に隠した野望、気付いていたはずなのに。 }}} || || 카멘노 우라니 카쿠시타 야보- 키츠이테 하즈나노니 || || 「가면의 뒤」에 숨긴 야망을, 눈치 채고 있었을 텐데. || || {{{#ffffff 君の[ruby(自由, ruby=ねがい)]はもう叶えられない。 }}} || || 키미노 네가이와 모우 카나에라레나이 || || 그대의 [ruby(자유, ruby=소원)]는 이제 이루어줄 수 없어. || || {{{#ffffff 例え愛を失っても、また僕を信じて。 }}} || || 타토에 아이오 우시낫테모, 마타 보쿠오 신지테 || || 설령 이 사랑을 잃는다해도, 다시 나를 믿어주기를. || || {{{#ffffff ……君を愛してる。 }}} || || 키미오 아이시테루 || || ……그대를 사랑해. || || || || {{{#ffffff そして僕は、ひとり恋をした。 }}} || || 소시테 보쿠와 히토리 코이오 시타 || || [[비스트 인 더 뷰티|그리고 나는, 혼자서 사랑을 했어.]] || == 여담 == 남자 주인공의 이름은 아람, 여자 주인공의 이름은 올리비아다. 이 커플은 [[2016년]]에 투고된 곡인 [[비스트 인 더 뷰티]]에도 등장했는데, 저 곡에서는 남자 주인공이 악역으로 나온 탓에 전말이 밝혀진 [[매직 링 나이트]]가 투고될 때까지 아람은 장장 4년간(!) 팬들에게 욕을 먹었다(...) [[Royal Scandal]] 제작진은 이런 팬들의 여론 변화가 신기했다나. 곡의 전반적인 모티프는 [[천일야화]], 그 중에서도 [[알라딘]]인 듯. 가사 후렴구에서도 [[천일야화]]의 원제[* كتاب ألف ليلة وليلة. 한국어로 읽으면 '알프 라일라 와 라일라' 정도.]가 반복되고, 애니메이션 OST인 [[A Whole New World]]와 유명한 어구인 [[열려라 참깨]]가 가사에 존재한다. [[분류:Royal Scandal]][[분류:일본 노래]][[분류:2020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