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튜 보이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디트로이트 타이거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매튜 보이드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46번}}}''' || || [[밥 스탠리]][br](2014) || {{{+1 →}}} || '''매튜 보이드[br](2015)''' || {{{+1 →}}} || 더스틴 안톨린[br](2016) || ||<-5> '''{{{#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48번}}}''' || || [[토리 헌터]][br](2013~2014) || {{{+1 →}}} || '''매튜 보이드[br](2015~2021)''' || {{{+1 →}}} || [[데릭 로]][br](2022) || ||<-5> '''{{{#c4ced4 [[시애틀 매리너스|{{{#c4ced4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48번}}}''' || || [[제러드 샌드버그]][br](2019~2021) || {{{+1 →}}} || '''매튜 보이드[br](2022)''' || {{{+1 →}}} || [[저스틴 토파]][br](2023~) || ||<-5> '''{{{#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48번}}}''' || || [[케리 카펜터]][br](2022) || {{{+1 →}}} || '''매튜 보이드[br](2023)''' || {{{+1 →}}} || 결번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타이거스보이드23.webp|width=100%]]}}} || ||<-2> '''{{{+2 매튜 보이드}}}[br]Matthew Boyd''' || || '''본명''' ||매튜 로버트 보이드[br]Matthew Robert Boyd || ||<|2> '''출생''' ||[[1991년]] [[2월 2일]] ([age(1991-02-02)]세) || ||[[워싱턴주|워싱턴 주]] 머서 아일랜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이스트사이드 가톨릭 고등학교 - [[오리건 주립대학교]] || || '''신체''' ||190cm / 106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2013 MLB 신인드래프트|2013년 드래프트]] 6라운드 (전체 175번, [[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 '''소속팀'''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5)[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15~2021)'''[br][[시애틀 매리너스]] (2022)[br][[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23) || || '''SNS''' ||[[https://www.instagram.com/matt_boyd48/|[[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ttboyd48,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좌완 투수. == 선수 경력 == === [[토론토 블루제이스]] === 2015년 6월 28일 [[로저스 센터]]에서 [[텍사스 레인저스]]를 상대로 선발로 데뷔하게 되었으며 데뷔 첫 상대인 [[추신수]]를 상대로 첫 아웃카운트를 삼진으로 잡아냈다. 이날 성적은 6⅔이닝 9피안타 4자책 7탈삼진으로 패전을 안게 됐지만 성공적인 첫 시작을 알렸다. 7월 3일 로저스 센터에서 [[보스턴 레드삭스]]를 상대로 선발 등판을 했지만 성적은 처참했다. 아웃카운트 한개를 잡아보지도 못하고 6피안타 7볼넷 2피홈런으로 두 경기 총 평균자책 14.85로 토론토에서의 생활을 마무리했다. 그 뒤로 2015년 7월 31일 [[데이비드 프라이스]]와의 트레이드로 [[다니엘 노리스]], 하이로 라보트와 함께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로 이적하게 된다.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tthew_Boyd_Detroit_Tigers.jpg|width=100%]]}}} || ==== 2015 시즌 ==== 8월 5일 [[캔자스시티 로열스]] 전에 디트로이트 데뷔전을 치러 7이닝 7피안타 0볼넷 2삼진 1자책점을 기록하며 생애 첫 메이저리그 승리를 기록했다. ==== 2016 시즌 ==== 시즌 초반에는 트리플A팀인 톨리도 머드헨스에서 시작했으며 4월 24일 다시 디트로이트로 콜업되어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상대로 3번째 투수로 나와 4⅔이닝 2피안타 3볼넷 2삼진을 잡으며 좋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다시 강등된다. 그렇게 총 3번을 왔다갔다하며 7월부터 메이저에서 선발로 뛰며 6승 5패 4.53 82개의 삼진을 잡아내며 시즌을 마친다. ==== 2017 시즌 ==== 메이저에서 시작했으나 6월 2일부터 한달간 트리플A로 내려간 뒤로 7월 중순부터는 메이저에서 꾸준히 설말로 던져가며 메이저 경험치를 쌓아갔다. ==== 2018 시즌 ==== 메이저 선발 로테이션을 꾸준히 소화해 170⅓이닝 평균자책 4.39 9승 13패 탈삼진 146개를 기록하며 타이거즈의 새로운 에이스로 자리잡기 시작한다. ==== 2019 시즌 ==== 타이거즈의 에이스가 되어 그야말로 처참한 팀이 되어버린 타이거즈팀에서 유일한 선발투수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게 되는데 방어율을 제외한 모든 성적에서 좋아진 모습을 보여준다. ==== 2020 시즌 ==== 피홈런, 피장타가 급격하게 늘었다.[* 9이닝당 피홈런 2.2개 장타율 .552] 하지만 팀 내 유일한 정규이닝 돌파 선수다.[* 60⅓이닝으로 단축시즌 경기였지만 간신히 돌파했다.] ==== 2021 시즌 ==== 개막전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6월까지 좋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삼두근 부상으로 60일 부상자 명단으로 이동한다. 다시 8월 29일에 복귀했지만 또다시 팔뚝 부상을 겪으며 시즌 아웃이 된다.[* 시즌 후 팔뚝 수술을 받게 된다.] 시즌 후 타이거스는 보이드를 논텐더 방출하게 된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이드샌프이적.jpg|width=100%]]}}} || 2022년 3월 17일, 샌프란시스코와 1년 52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 [[시애틀 매리너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매리너스보이드.webp|width=100%]]}}} || 8월 2일, 샌프란시스코에선 부상자 명단에만 있다가 [[커트 카살리]]와 함께 마이너 리그 투수 마이클 스트리펠러, 포수 앤디 토마스를 상대로 고향팀 시애틀로 트레이드되었다. 9월 1일 확장 로스터가 시행되며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했다. 시즌 막바지에 불펜으로 팀의 21년만의 포스트시즌 진출에 힘을 보탰다. 워싱턴주에서 태어나 자라 대학도 오리건주에서 나온 지역 토박이인데, 어릴적 응원팀으로 돌아와 오랜만의 포스트시즌을 함께 했기 때문인지 인터뷰에서 감정이 북받쳐 올라 눈물을 흘렸다. 시즌 종료 후 FA 신분이 되었다.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기 === 2022년 12월 1일, 디트로이트와 1년 1,000만 달러의 계약에 합의하며 디트로이트로 복귀하게 되었다. ==== 2023 시즌 ==== 4선발로 시작한 보이드는 첫 경기 [[미닛메이드 파크]]에서 열린 [[휴스턴 애스트로스]]전에서 4회까지는 좋은 피칭을 보여주다 5회에 볼넷, 안타, 땅볼을 기록하며 1실점을 하고 [[호세 시스네로]]에게 마운드를 넘겼다. 이후 시스네로가 홈런을 맞으며 승계주자 한 명이 홈으로 들어와 총 2실점을 기록했다. 6월 26일 텍사스 원정 경기에서 부상으로 강판 후 [[토미 존 수술]] 판정을 받으며 시즌아웃되었다. 최종 성적은 15경기 5승 5패 71이닝 ERA 5.45 탈삼진 73개 볼넷 25개 WHIP 1.32 기록.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Sl85cedjI)]}}} || 최고 95마일 평균 90마일을 던지는 쓰리쿼터 좌완 투수다. 주 무기는 슬라이더, 커브이며 슬라이더로 삼진을 많이 잡아낼 수 있다. 2017 시즌부터 선발에 안착해 2017 시즌 135이닝 110탈삼진, 2018 시즌 170⅓이닝 159탈삼진, 1선발로 활약했던 2019 시즌은 185⅓이닝 238탈삼진을 기록하며 탈삼진 커리어 하이를 갱신했다.[* 9이닝당 11.5개의 탈삼진을 잡은 셈] 단점이라면 피홈런이 많다는 것인데 2019년 기준 185⅓이닝 39피홈런은 맞았으며 9이닝 당 1.89개의 피홈런을 맞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매튜의 홈구장인 [[코메리카 파크]]가 그 유명한 [[쿠어스 필드]] 다음 가는 타자 친화 구장인 점도 없지 않아 있다.] 단축시즌이었던 2020 시즌은 60⅓이닝 15피홈런으로 9이닝 당 2.24개의 피홈런을 기록했다.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매튜 보이드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5 || [[토론토 블루제이스|TOR]]/[[디트로이트 타이거스|DET]] || 13 || 1 || 6 || 0 || 0 || 57⅓ || 7.53 || 71 || 17 || 20 || 1 || 43 || 1.587 || 54 || -0.6 || -1.3 || || 2016 ||<|6> [[디트로이트 타이거스|DET]] || 20 || 6 || 5 || 0 || 0 || 97⅓ || 4.53 || 97 || 17 || 29 || 4 || 82 || 1.295 || 94 || 1.1 || 1.3 || || 2017 || 26 || 6 || 11 || 0 || 0 || 135 || 5.27 || 157 || 18 || 53 || 3 || 110 || 1.556 || 85 || 2.1 || 1.7 || || 2018 || 31 || 9 || 13 || 0 || 0 || 170⅓ || 4.39 || 146 || 27 || 51 || 11 || 159 || 1.157 || 102 || 2.2 || 2.5 || || 2019 || 32 || 9 || 12 || 0 || 0 || 185⅓ || 4.56 || 178 || '''39''' || 50 || 8 || 238 || 1.230 || 103 || 3.2 || 3.8 || || 2020 || 12 || 3 || '''7''' || 0 || 0 || 60⅓ || 6.71 || 67 || '''15''' || 22 || 5 || 60 || 1.475 || 70 || -0.1 || -0.6 || || 2021 || 15 || 3 || 8 || 0 || 0 || 78⅔ || 3.89 || 77 || 9 || 23 || 7 || 67 || 1.271 || 109 || 1.4 || 1.4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2 || [[시애틀 매리너스|SEA]] || 10 || 2 || 0 || 0 || 1 || 13⅓ || 1.35 || 5 || 0 || 8 || 1 || 13 || 0.975 || 282 || 0.1 || 0.4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3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DET]] || 15 || 5 || 5 || 0 || 0 || 71 || 5.45 || 69 || 11 || 25 || 2 || 73 || 1.324 || 81 || 0.9 || -0.2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9시즌) || 174 || 44 || 67 || 0 || 1 || 868⅔ || 4.94 || 867 || 153 || 281 || 42 || 845 || 1.322 || 90 || 10.2 || 9.0 || == 기타 == * 자선활동을 많이 하는 선수다. 국내 기사에서도 소개되었던 적이 있었는데 [[우간다]]에서 성적으로 학대받는 여성들을 36명을 구출한 적이 있었다. 이후에도 킹덤홈이라는 단체를 운영하고 있다. * [[밥 펠러]]와 먼 친척 관계이다. 보이드의 할머니의 사촌이 [[https://www.google.com/amp/s/amp.freep.com/amp/30980271|펠러였다고]]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1년 출생]][[분류:2015년 데뷔]][[분류:킹 카운티(워싱턴 주) 출신 인물]][[분류:오리건 주립대학교 출신]][[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토론토 블루제이스/은퇴, 이적]][[분류: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은퇴, 이적]][[분류:시애틀 매리너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