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복부]] || '''{{{+1 맥버니점}}}[br]McBurney's poin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맥버니점프로필.pn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맥버니점(McBurney's point)은 [[배꼽]](umbilicus)과 위앞엉덩뼈가시(상전장골극,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SIS)를 이은 직선을 2:1로 나누는 지점이다. 이름의 유래는 미국의 의사인 찰스 맥버니(Charles McBurney). == 의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맥버니점.png|width=100%]]}}} || || '''맥버니점[* 파란색 선 위의 점.]과 란츠 압통점[* 초록색 선 위의 점.](Lanz's point)''' || 맥버니점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란츠압통점(Lanz's point)과 함께 막창자꼬리(appendix)가 위치하는 흔한 위치이며, 이로 인해 급성 [[충수염]](appendicitis) 환자에게서 [[압통]](tenderness)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지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빠르게 충수염 여부를 판단해야 할 때 맥버니점은 중요한 판단 지표가 된다. 맥버니점에서 나타나는 압통을 특별히 맥버니징후(McBurney's sign)라고 한다. == 맥버니절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절개방법.jpg|width=100%]]}}} || || '''맥버니절개(McBurney's incision)[br]위 사진의 4번''' || 충수가 위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충수염 수술을 실시할 때 맥버니점을 중심으로 배바깥빗근(external oblique m.)의 섬유 방향과 평행하게 절개하는 방법을 맥버니절개(McBurney's incision)라고 한다. 충수염 수술에 다수 사용되는 방법이나 시간이 지날수록 보다 비침습적인, 즉 몸에 칼을 덜 대는 방법인 [[복강경]](laparoscopy)이 선호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