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맥스 먼시/선수 경력)] ||<-5>
'''{{{#FFFFFF [[맥스 먼시|{{{#FFFFFF 맥스 먼시}}}]]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맥스 먼시/선수 경력/2019년|2019년]] || ← || '''{{{#005A9C 2020년}}}''' || → || [[맥스 먼시/선수 경력/2021년|2021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맥스 먼시]]의 2020 시즌을 정리한 문서다. 이 문서에 나오는 날짜는 한국 시간이라는 명시가 없다면 현지 시각(PDT)을 기준으로 작성되어있다. == 시즌 전 == 3년 $26M의 연장 계약을 맺고 맞이하는 첫 시즌. 서머 캠프 청백전 도중 투구에 손가락을 맞았다. 먼시의 말로는 [[다저 스타디움]]의 뒤바뀐 구조물 탓에 공이 잘 안보여서 피하지 못했다고.[* 원래대로라면 올시즌 다저 스타디움에서 올스타전이 열릴 계획이었기에 시즌 전 대략 1억 달러를 투자하여 리모델링을 했다. 그래서 타자들이 적응하기 어려웠던 모양.] == 페넌트레이스 == === 7월 === ||<-15>
'''{{{#FFFFFF 7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8 || 33 || 8 || 2 || 0 || 3 || 6 || 4 || 5 || 9 || 0 || .242 || .390 || .576 || .966 || 7월 23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개막전에서 1번타자로 선발출전, 4타수 1안타 1볼넷 1타점을 기록했다. 7월 24일 샌프란시스코 전에서는 2번타자로 선발출전, 멀티홈런을 기록하는 등 4타수 3안타 2타점 1볼넷으로 맹활약을 펼쳤다. 7월 30일 시즌 3호 홈런을 터뜨렸다. === 8월 === ||<-15>
'''{{{#FFFFFF 8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27 || 91 || 17 || 1 || 0 || 6 || 14 || 16 || 16 || 26 || 0 || .187 || .309 || .396 || .705 || 그러나 8월 들어 [[코디 벨린저]]와 함께 타격감이 가장 좋지 않은데, 서머 캠프 때 손가락을 맞은게 미세한 골절이 있었다고 한다. 8월 19일 [[시애틀 매리너스]]전에서 2회 시즌 6호 홈런을 터뜨렸는데, 6회초 타석에서 삼진을 당했고, 판정에 대해 항의하다 로버츠 감독과 함께 퇴장 당한다. 8월 23일 [[콜로라도 로키스]]와의 홈경기에서 8회 시즌 7호 홈런을 터뜨렸다. 팀은 이날 무려 7개의 홈런을 때려내며 11-3 대승. 8월 25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원정에서 1회 선제 스리런을 날렸다. 하지만 이날 연장 11회 까지 양팀 합쳐 26안타가 나오는 난타전 끝에 8-10 역전패. 8월 29일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원정에서 7회 7-3으로 달아나는 스리런 홈런을 때려냈다. 텍사스의 신축 구장 [[글로브 라이프 필드]]가 워낙 큰 탓에 5회초 홈런 타구 하나를 손해봤으나 이번에는 때려냈다. === 9월 === ||<-15>
'''{{{#FFFFFF 9월 월간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23 || 79 || 14 || 1 || 0 || 3 || 16 || 7 || 18 || 25 || 1 || .177 || .330 || .304 || .634 || 9월 4일 [[콜로라도 로키스]]와의 홈경기에서 1회 솔로 홈런으로 시즌 두 자릿 수 홈런을 기록했다. 타율은 시즌 내내 1할 후반 ~ 2할 초반을 오가지만 홈런포는 꾸준히 가동하고 있다. 9월 10일 애리조나 원정에서는 9회 심판에게 스트라이크 존에 대해 항의하다 '''또''' 퇴장당했다. 올시즌 전체적으로 먼시에게 불리한 볼 판정이 많아서 쌓일 만큼 쌓인 모양. 9월 14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원정에서 7회말 1루 땅볼 타구 때 3루 주자 [[주릭슨 프로파]]의 재치있는 판단력에 당해 야수 선택을 범했고, 뒤 이어 병살성 타구를 2루 송구 과정에서 악송구를 범해 경기를 터뜨렸다. 그래도 무너진 타율에 비해 건출한 선구안을 바탕으로 볼삼비는 0.65. 오히려 2019 시즌 0.60보다 높아졌다. == 포스트시즌 == === [[2020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NLWC]] === ||<-15>
'''{{{#FFFFFF 2020 NLWC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2 || 5 || 0 || 0 || 0 || 0 || 0 || 0 || 2 || 4 || 0 || .000 || .286 || .000 || .286 || 9월 30일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2020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 1차전에서 2타수 무안타 2볼넷을 기록. 팀은 4-2로 승리. 10월 1일 NLWC 2차전에서는 3타수 3삼진으로 침묵했으나, 팀은 [[클레이튼 커쇼]]의 8이닝 13K 무실점 호투를 앞세워 3-0으로 승리. NLDS 진출 티켓을 손에 넣는다. === [[2020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NLDS]] === ||<-15>
'''{{{#FFFFFF 2020 NLDS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3 || 11 || 3 || 1 || 0 || 0 || 3 || 2 || 4 || 2 || 0 || .273 || .467 || .364 || .831 || 10월 6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2020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1차전에서 6회말 2루타로 출루했고, 2사 후 [[AJ 폴락]]의 타석 때 폭투로 득점에 성공. 4타수 1안타 1득점을 기록하며 팀의 5-1 승리에 기여했다. 10월 7일 NLDS 2차전에서는 4타수 2안타 2타점을 기록. 팀은 9회 잰슨의 방화를 극복하며 6-5 승리. 이날 [[브루스더 그라테롤]]에 세레머니에 격분한 마차도가 욕설을 하자 설전하는 모습도 있었다. 10월 8일 NLDS 3차전 경기에선 3타수 무안타였지만, 3볼넷을 골라나가며 2득점에 성공. 팀은 12-3으로 승리하며 디비전 시리즈를 3-0으로 스윕. 2년 만의 NLCS에 진출한다. === [[2020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NLCS]] === ||<-15>
'''{{{#FFFFFF 2020 NLCS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7 || 22 || 5 || 2 || 0 || 2 || 6 || 6 || 9 || 11 || 0 || .227 || .452 || .591 || 1.043 || 10월 12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의 [[2020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1차전에서는 3타수 무안타 2삼진 1볼넷으로 침묵. 팀은 9회 트레이넨이 무너지며 1-5로 패배. 10월 13일 NLCS 2차전에서는 9회 [[조시 톰린]]을 상대로 6-8로 추격하는 투런포를 날리며 이번 포스트 시즌 첫 홈런을 기록했지만 이미 9회 2사였고, 후에 [[코디 벨린저]]의 1타점 3루타가 추가로 터지긴 했지만 끝내 7-8로 패하며 경기를 뒤집진 못했다. 10월 14일 NLCS 3차전에서 다저스 타선이 1회에만 타자 일순하며 7-0을 만들었고, 이어지는 2사 만루 상황 자신의 두 번째 타석에서 우월 만루포를 때려내 리드를 11-0으로 벌렸다. 팀은 15-3으로 시리즈 첫승에 성공. 10월 15일 NLCS 4차전에서는 2타수 무안타 2볼넷 2삼진. 팀은 2-10으로 대패하며 벼랑 끝에 몰리고 만다. 10월 16일 NLCS 5차전에서도 볼넷 1개만을 얻어냈고, 7회 또 한번 톰린을 상대로 홈런성 타구를 날렸지만, 중견수 [[크리스티안 파체]]가 홈런 타구를 낚아챘다.[* 대기 타석에 있던 벨린저도 무척 아쉬워했다.] 팀은 7-3으로 승리. 10월 17일 NLCS 6차전에서는 3타수 1안타 1볼넷 1득점. 팀은 3-1로 승리하며 1승 3패 시리즈를 3승 3패로 만들며 승부를 7차전까지 끌고왔다. 10월 18일 NLCS 7차전에서는 3회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의 동점 적시타 때 동점 주자로 홈을 밟았다. 타석에서는 4타수 1안타 3삼진. 팀은 7회말에 터진 [[코디 벨린저]]의 역전 홈런, 마운드에서는 7회부터 등판한 [[훌리오 유리아스]]가 3이닝을 퍼펙트로 마무리 지으며 2년만에 WS 무대로 복귀한다. === [[2020년 월드 시리즈|WS]] === ||<-15>
'''{{{#FFFFFF 2020 WS 기록}}}''' || || '''{{{#005A9C 경기}}}''' || '''{{{#005A9C 타수}}}''' || '''{{{#005A9C 안타}}}''' || '''{{{#005A9C 2루타}}}''' || '''{{{#005A9C 3루타}}}''' || '''{{{#005A9C 홈런}}}''' || '''{{{#005A9C 득점}}}''' || '''{{{#005A9C 타점}}}''' || '''{{{#005A9C 볼넷}}}''' || '''{{{#005A9C 삼진}}}''' || '''{{{#005A9C 도루}}}''' || '''{{{#005A9C 타율}}}''' || '''{{{#005A9C 출루율}}}''' || '''{{{#005A9C 장타율}}}''' || '''{{{#005A9C OPS}}}''' || || 6 || 22 || 7 || 1 || 0 || 1 || 3 || 6 || 5 || 4 || 0 || .318 || .444 || .500 || .944 || 10월 20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2020년 월드 시리즈]] 1차전, 4타수 2안타 1볼넷 2타점 2득점으로 존재감을 뽐냈다. 팀은 8-3으로 승리하며 기선 제압에 성공. 21일 2차전에서는 볼넷 1개만을 기록. 안타는 없었다. 팀은 4-6으로 패배. 10월 23일 WS 3차전에서 1-0으로 앞선 3회초, 2사 2, 3루 상황에서 [[찰리 모튼]]을 상대로 2타점 적시타를 때려내는 등 4타수 2안타 2타점으로 팀의 6-2 승리를 이끌었다. 특히 5회초 풀카운트에서 볼넷을 얻어내 이번 포스트 시즌 18번째 볼넷을 기록했는데, 이는 단일 포스트시즌 역대 최다 볼넷 3위 기록이다.[* 1위는 2002년 [[배리 본즈]]의 27개.] 또한 먼시는 이번 PS 총 11번의 풀카운트 승부에서 2안타 7볼넷을 기록 중. 이때문인지 오늘 경기 포함 이번 PA 14경기에서 타율은 0.245에 그친 것에 비해 출루율이 0.448로 타출갭이 무려 2할. 10월 24일 WS 4차전에서 2-1로 추격 당하던 5회초, 2사 2루 상황에서 우전 적시타를 날리며 리드를 벌렸다. 그러나 추가 잔루 상황에서 그만 균형을 잃고 베이스를 오버하며 태그아웃. 경기는 다저스가 9회말 2사까지 7-6으로 앞서고 있었으나 마무리 [[켄리 잰슨]]의 불쇼, [[크리스 테일러]]와 스미스의 동반 실책까지 겹치며 7-8로 대역전패를 당한다. 스트라이크 1개만 잡으면 3승 1패가 될 수 있던 시리즈가 순식간에 2승 2패 동률이 됐다. 10월 25일 WS 5차전에서 3-2로 앞선 5회, 상대 선발 [[타일러 글래스노우]]의 99마일 패스트볼을 받아쳐 우월 솔로 홈런을 때려내며 이번 월드 시리즈 첫 홈런을 기록했다. [[마누엘 마고]]의 홈스틸을 1루에서 보고 [[클레이튼 커쇼]]에게 송구하도록 소리치며 실점을 막는데 공헌하기도 하며 공수로 활약. 또한 이번 포스트시즌 20번째 볼넷을 골라내면서 단일 포스트시즌 최다 볼넷 2위[* 1997년 [[플로리다 말린스]] 소속이던 [[게리 셰필드]]와 함께 공동 2위.]를 기록했다. 팀은 4-2로 승리하며 시리즈를 3승 2패로 리드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ncy_WS.jpg|width=100%]]}}} || 10월 27일 WS 6차전에서는 4타수 무안타로 침묵했지만, 팀은 3-1 승리를 따내며 월드 시리즈 우승에 성공했다. == 총평 == 정규시즌 58경기 출전 .196/.331/.389/.720 12홈런 27타점 wRC+ 100 war 0.4로 결국 1할대 타율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Def도 -4.3으로 지난해 -0.8에 비해 나빠졌다. 지난 해에 비해 타격과 수비 모든 면에서 부진했고, 포스트 시즌을 앞둔 상황이기에 불안 요소가 존재했다. 포스트 시즌에는 총 18경기에 출전해 .250/.438/.467/.905 3홈런 14타점 '''20볼넷'''을 기록했다. 위에 서술했다시피 20볼넷은 단일 포스트 시즌 '''역대 2위'''에 해당하는 기록. 이를 바탕으로 볼삼비가 0.95로 거의 1대1 비율에 달했으며 WRC+는 무려 155에 이르렀다. 정규 시즌에선 부진했지만 포스트 시즌에선 붙박이 4번 타자로 나오며 제 몫을 다 해줬다. == 시즌 후 == == 관련 문서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22년]]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맥스 먼시/선수 경력, version=62, paragraph=3.3)] [[분류:맥스 먼시]][[분류:야구선수/커리어]][[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