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現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 || ||<-2> '''{{{#white 프로필 }}}''' || || 이름 || 맥스 C. || || 로마자 이름 || Max C.[* 리퀴피디아에서는 맥스 C. 라고 기술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풀네임을 알 수가 없다.] || || 생년월일 || [[2004년]] [[7월]]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덴마크)] || || 종족 || [[프로토스]] || || 現 소속 || [[PSISTORM Gaming]] || || ID || '''MaxPax''' || || 2020/21 EPT 서킷 순위/점수 || 유럽 공동 24위/150점 || || 2021/22 EPT 서킷 순위/점수 || 유럽 5위/940점[* [[https://liquipedia.net/starcraft2/ESL_Pro_Tour/2021/22/Standings/EU|참고]]] || || 방송국 || [[https://www.twitch.tv/maxpaxsc2|[[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5]]]] || ||<-2> 소속 기록 || || Mkers || 2019-07-16 ~ 2020-02-22 || || Team eXoN || 2020-05-18 ~ 2021-05-26 || || [[PSISTORM Gaming]] || 2021-05-26 ~ || [목차] [clearfix] == 소개 == [[덴마크]]의 '''現'''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종족은 [[프로토스]]이며, ID는 '''MaxPax'''이다. [[2004년]]생이라는 어린 나이와 더불어 높은 포텐 덕분에 프로토스 팬들의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 프로게이머 생활은 얼마되지 않았지만 점점 폼이 상승하면서, 2021년 기준으로 유럽 EPT 서킷 순위 5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해냈다. == 연혁 == === 2019년 === 2019년에는 주목할만한 이력은 없었지만 Beastyqt가 유튜브 채널에서 MaxPax의 빌드를 소개하면서 맥스 C.는 스타2 커뮤니티에서 어느정도 유명세를 타게 된다. 그로부터 2주 후에 [[원이삭]]이 GSL 경기에서 고병재를 상대로 맥스 C.의 빌드를 써서 승리했고, 경기가 끝난 뒤에 [[https://clips.twitch.tv/BombasticSmoothEchidnaKippa|인터뷰에서 MaxPax를 언급]]하면서 맥스 C.의 존재감이 서서히 알려지게 된다. === 2020년 === 본격적으로 [[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 - Europe]] 등 공식 서킷에 참가하면서 프로게이머의 두각을 드러내게 된다. 다만 DH 2020 Fall Europe 예선을 뚫고 본선을 진출하는데 성공하였으나, 조별리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조 6위로 마감하게 된다. 이어 [[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 - Europe]]에서도 예선을 뚫고 본선 조별리그까지 진출하였으나 조 7위에 그치게 되었다. TSL 6 본선 진출하는데 성공하여 32강에 가게 되었지만 [[전태양]]에게 1-3으로 패배해 아쉬움을 자아냈다. 그러나 한국의 상위권 선수들을 상대로도 점점 좋은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고, 단순히 일개의 유럽 프로토스 프로게이머가 아님을 증명했다. === 2021년 === [[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 - Europe]] 조별리그에서 조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 1라운드에서 [[Serral]]에게 0-3으로 패한 후 패자조에서 [[PtitDrogo]]에게 3-1로 승리했지만 최종적으로 [[Elazer]]에게 2-3으로 패배해 8강에 머물게 된다. [[DreamHack SC2 Masters 2021: Fall/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1: Fall - Europe]]에서도 여전히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조별리그 2위를 기록하였고, 플레이오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4위에 입상하였다. 지난 2020년보다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실력도 한층 더 높아졌다는 것을 보여준 한 해였다. === 2022년 === 2021/22 시즌 EPT 서킷 유럽 5위라는 호성적을 기록하면서, [[IEM Katowice 2022/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2]] 24강에 직행으로 출전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지만 오프라인으로 치러지는 대회여서 그런지 스스로 불참을 선언하였다. 아마도 본인의 신상 정보를 대중에게 공개하기를 꺼리는 것으로 보인다. 11월 [[AfreecaTV Champions Cup]]에 출전하여 16강 C조에서 [[Reynor]]를 2:1로 잡고 승자전에서 [[Serral]]을 2:0으로 잡으며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으나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에게 1:3으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 2023년 === OSC Championship 10에서 변현우를 4대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IEM Katowice 2023/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3]]에서도 [[IEM Katowice 2022/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2]]와 마찬가지로 불참하였다. PiG Sty Festival 3.0에서 신희범을 3:1로 잡고 8강에 진출한 후 8강에서 결승에 이르기까지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 [[클레망 데플란케|Clem]],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등의 내로라하는 강적들을 모두 7세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잡아내며 우승을 차지했다. ESL SC2 Masters 2023 Summer 유럽 지역에서 준우승을 기록하며 시드권을 얻었지만 불참을 선언했다. == 플레이 스타일 == 기본적으로 [[사파]] 프로토스의 스타일이 강한 선수로 볼 수 있다. 맥스 C.는 공격적인 플레이와 빌드 선택을 자주 선보이는데 특히 전진 공허 빌드를 Clem과 HeRoMaRinE 등의 유럽의 탑급 테란들 상대로 여러 번 사용하기도 했다. == 기타 == * 8살 때부터 [[스타크래프트 2]]를 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 유럽 내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 선수지만 도대체 어떤 이유에서인지, '''공식적으로 본인의 얼굴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율리안 브로지히|Lambo]]의 증언에 의하면 드림핵 대회에서 선수가 캠을 켜지 않으면 상당히 센 벌금을 부과한다고 한다. 즉 MaxPax는 그 벌금을 꼬박꼬박 물어가면서도 끝끝내 얼굴을 공개하길 거부한 것. 그 벌금을 계속해서 낸다는 점때문에 해외 커뮤에선 Maxpax가 사실 덴마크의 왕족 아니냐라는 추측도 돌 정도다. 실제로 구글에 Maxpax를 치면 연관검색어에 동명의 커피와 얼굴관련 검색어를 제외하면 다음에 나오는 검색어가 Danish prince다.][* [[RotterdaM]]의 발언에 따르면 그에게 훨씬 더 높은 이적료와 급여를 지급하겠다고 나선 [[KaiZi Gaming]]으로의 입단을 거절하고 그보다 본인의 신상을 철저하게 숨기는 데 협조를 약속한 [[PSISTORM Gaming]]으로의 입단을 선택했다고 하니 선수 본인이 이러한 부분에 있어 얼마나 민감하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가 직접 공개적으로 밝히기 전까지는 프로필 사진조차 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목소리는 이런저런 인터뷰와 개인 방송으로 공개되긴 했다. 문제는 그가 본격적으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한 2020년서부터 약 2년간은 [[코로나 19]]로 인해 온라인 위주로 대회가 치러졌기에 본인 입장에서는 운신의 폭이 다소 넓었지만 2022년부터는 대회 기조가 다시 오프라인 중심으로 회귀할 예정이라[* 당장 결선 대회인 [[IEM Katowice 2022/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2]]부터 오프라인으로 진행돼서 24강 직행 권한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출전을 포기했으며, IEM 직행 시드가 걸린 DreamHack 시즌 파이널 역시 2022년부터 오프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라 본인 커리어에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선수로서 커리어를 쌓아나가려면 얼굴을 비롯한 신상 공개가 불가피하다는 측면이다. 이런 가운데 선수 본인이 이러한 개인 방침을 언제까지 유지할지에 대해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 자신의 프로필을 공개하지 않으니 각종 온라인 대회의 포스터와 선수 프로필에는 [[아르타니스]]나 [[광전사]]의 일러스트를 사용하곤 한다. 덕분에 신관님이 몸소 지구에 납셨다거나, 사실은 비밀리에 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알파스타]]가 아닐까 하는 우스갯소리가 자주 나온다. [[분류: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 2]][[분류:e스포츠 관련 인물]][[분류:2004년 출생]][[분류:덴마크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