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Hall & Oates의 노래, rd1=Maneater, other2=데몬즈 소울의 보스, rd2=맨 이터)] ||<-2>
{{{#000000,#000000 '''{{{+1 맨{{{#ff0000,#ff0000 이터}}}}}}'''[br]Man{{{#ff0000,#ff0000 eat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맨이터.jpg|width=100%]]}}} || || '''개발''' ||[[트립와이어 인터랙티브]] / Blindside Interactive || || '''유통''' ||[[트립와이어 인터랙티브]] / [[딥 실버]]^^(패키지)^^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PlayStation 4]][* [[PlayStation 4 Pro]] 대응.] | [[PlayStation 5]] | [[Xbox One]][* [[Xbox One X]] 대응.] | [[Xbox Series X\|S]] | [[Nintendo Switch]] || || '''ESD'''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 [[험블 번들]] | [[PlayStation Network]] | [[Microsoft Store]][* [[Xbox Play Anywhere]]] |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닌텐도 e숍]] || || '''장르''' ||[[오픈 월드]] [[액션 어드벤처 게임|액션 어드벤처]] || || '''출시''' ||'''PC / PS4 / XBO'''[br][[2020년]] [[5월 22일]][br]'''XSX|S'''[br][[2020년]] [[11월 10일]][br]'''PS5'''[br][[북아메리카|[[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0]]]] [[2020년]] [[11월 12일]][br][[유럽연합|[[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0]]]] [[2020년]] [[11월 19일]][br]'''Steam / NS'''[br][[2021년]] [[5월 25일]] || || '''엔진''' ||[[언리얼 엔진 4]] || ||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width=16]] '''{{{#000000,#dddddd 청소년 이용불가}}}''']][* 과도한 폭력 표현 [[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ReasonInfo.aspx?670683c053af7381cf8dad04997954d9a6c813a6a053e8e5ec12581d53453bb0|PC]]] || || '''해외 등급'''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파일:ESRB Mature.svg|width=16]] '''{{{#000000,#dddddd ESRB M}}}''']][br][[범유럽 게임 정보|[[파일:PEGI 18.svg|width=16]] '''{{{#000000,#dddddd PEGI 18}}}''']] || || '''관련 사이트''' ||[[https://tripwireinteractive.com/#/maneate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neatergame, 크기=25)] || || '''상점 페이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629820/Maneater/|[[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epicgames.com/store/ko/p/maneater|[[파일:에픽게임즈 스토어 로고.svg|width=1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CRmiOqUgYQ)]}}} || || '''{{{#ffffff,#ffffff 출시 트레일러}}}''' || 맨이터는 제목과 포스터처럼 [[식인 상어]]를 주인공으로 하는 [[오픈 월드]] [[액션 어드벤처 게임]]이다. 비슷한 게임으로 [[죠스 시리즈]]를 바탕으로 제작된 [[죠스 언리쉬드]]가 있지만 [[백상아리]]를 주인공으로 하는 [[죠스 언리쉬드]]와 다르게 맨이터는 [[황소상어]]가 주인공이다.[* 맨이터에서 최상위 범고래와의 전투는 죠스 언리쉬드 스테이지 2의 범고래 보스전을 오마주한 것이다.] == 시스템 요구 사항 == ||<-3>
'''{{{#ffffff,#ffffff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3> '''{{{#ffffff,#ffffff Windows}}}''' || || '''운영체제''' ||Windows 10 ||Windows 10 || || '''프로세서''' ||Intel Core i5-5300u ||Intel Core i7-3770[br]AMD Ryzen 5 1500X || || '''메모리''' ||8 GB RAM ||8 GB RAM || || '''그래픽 카드''' ||Intel HD 5500 ||NVIDIA GeForce GTX 970[br]AMD Radeon R9 390 || || '''API''' ||DirectX 버전 11 ||DirectX 버전 11 || || '''저장 공간''' ||20 GB 사용 가능 공간 ||20 GB 사용 가능 공간 || == 특징 == 주인공이 강과 바다 둘 다 서식이 가능한 [[황소상어]]답게 새끼로 시작하는 부분에선 강, 성장하며 바다로 나가게 된다. [[헝그리 샤크 시리즈]]처럼 여러 해양 생물들을 잡아먹으며 성장해나가는 것이 주된 내용. 특이한 점은 플레이 과정에서 내레이션이 해설을 해주며 마치 [[다큐멘터리]]처럼 진행된다는 점인데, 해설은 [[블랙 코미디]]스러운 자학적인 내용과 유머로 가득하다.[* 진실의 여정 DLC가 있는 경우에는 음모론적인 해설로 바뀐다.] 즉 게임 화면은 모두 방송 화면인 셈이다. 비늘인간 피트가 등장하는 장면은 실제 인터뷰 장면처럼 진행되기도 하고. 특정 수집품을 먹으면 내레이션이 방송에 투자한 회사에 대한 감사를 표하기도 한다. == 조작 == 다른 게임들과 다르지 않게 WASD로 조작이 가능하며 좌클릭은 공격, 우클릭은 꼬리로 치는 공격이 가능하다. 또한 Q와 E를 눌러 적의 공격을 회피할 수 있으며 Shift를 눌러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해수면에서는 지느러미만 내민 채 이동할 수 있는데 C를 눌러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게임의 초반부에서는 센 상대는 피하고 좌클릭만 누르면서 성장하여 난이도가 낮다. 하지만 스토리를 진행할수록 Q와 E, Shift의 사용을 적절히 요구한다. 돌진 데미지와 내구도를 올려주는 뼈 세트를 착용한다면 해수면에서 Q와 E, Shift만 사용하여 배를 폭파시킬 수도 있다. == 맵 == 8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져 각 구역에는 수집품과 상어의 보금자리인 동굴이 있다. 몇몇 수집품은 레벨은 올린 뒤에 얻을 수 있으니 후반부에 맵을 훑으면서 수집품을 모으는 것이 효율적이다. === 포트 클로비스 === 본편의 주무대가 되는 곳. 겉보기에는 화려하나, 실제로는 난개발로 인해 몸살을 앓는 곳이다.[* 내레이터가 하는 대사에서 이를 확인 가능하다.] ==== 포틱 베이유 ==== 늪지대로, 시작지점이 이곳이다. 최상위 포식자는 악어. ==== 데드 호스 레이크 ==== 원래는 평범한 호수였으나, 방사능 폐기물과 쓰레기로 오염된 곳이다. 최상위 포식자는 바라쿠다. ==== 골든 쇼어 ==== 인공섬 골프장으로, 인간이 굉장히 많아 초반에 영양분 수집하기에 적당한 곳이다. 최상위 포식자는 청상아리. ==== 사파이어 베이 ==== 해안가 관광지이며, 이곳에서부터 바다이다. 최상위 포식자는 귀상어. ==== 프로스퍼리티 샌즈 ==== 해안가의 도시이며, 야외 콘서트홀이 곳곳에 있다. 최상위 포식자는 백상아리. 맵이 은근 좁아서 랜드마크, 번호판, 영양분 보관소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 캐비어 키 ==== 바다 서커스홀이 있는 해안가의 도시이다. 최상위 포식자는 범고래. ==== 걸프 ==== 육지에서 떨어진 먼 바다이며, 깊이가 다른 맵에 비해 더 깊다. 최상위 포식자는 향유고래. ==== 크로키시 베이 ==== 무역항이며, 처음 시작하는 장소이다. 시작 존인 만큼 번호판과 영양분 상자 외에는 수집요소가 없다. === 플로버 섬 === DLC인 진실의 여정의 주 무대로,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는 곳이다. 또한 이곳에는 주인공 상어처럼 변형된 백상아리(전기), 범고래(그림자), 향유고래(뼈)가 있다. 그리고 이곳의 현상금 사냥꾼들은 군인들이다. 또한 이곳에서 아토믹 리바이어던이 만들어졌다.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황소상어''' 이 게임의 주인공. [[암컷]]이다. 작중 초반에는 어미의 뱃속에 있다가 피트에 의해 세상 밖으로 나오고 상처를 입지만 직후 피트의 오른팔을 먹어치워 어미의 복수를 하게 된다. 이후 민물에서 살면서 점점 성장해[* 먹이가 되는 동물들과 인간들을 사냥해 잡아먹어서 성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속에서 발견되는 누군가가 무단으로 버린 오염 물질도 먹을 수 있다. 게다가 오염 물질에서 빛이 나는 것도 있는 걸로 봐선 게임상에서 발견되는 이 오염 물질들은 방사능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인공 상어가 성장할수록 점점 더 상어에서 멀어져 가는 것이 이해가 된다.--] 바다로 나가 자신을 쫓는 현상금 사냥꾼들과 최상위 포식자들을 죽여나가며 생태계의 정점에 오른다. 스토리를 깰 때마다 전기, 그림자(독), 그리고 뼈 능력을 얻을 수 있다. 본편에서는 피트와의 결전을 마지막으로 사망하지만, 이후 공개된 DLC는 주인공 상어가 폭발에서 살아남았다는 IF 전개로 시작하게 된다. 다만 이 DLC라는 게 여러모로 본편보다도 막장으로 치닫는지라... * '''비늘인간 피트''' 본명은 피에르 르블랑. 인간 측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인물로, 게임의 초반, 중반, 후반 세 번에 걸쳐 보스전을 치르게 된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상어잡이 일을 하고 있으며, 아버지는 메가 샤크를 잡기 위해 인생을 바쳤지만 결국 메가 샤크에게 잡아먹혔다고 한다. 작중 초반 주인공의 어미를 잡아 죽이고 뱃속에서 주인공 상어를 꺼내서 나중에 알아보기 위해서라며 상처를 입히지만 그 직후 오른팔을 먹힌다. 이후 [[의수]]를 착용하고 주인공 상어를 잡기 위해 그를 쫓아 다시 한번 상대하지만, 그 과정에서 다리 한쪽을 잃고 배가 폭발한 탓에 화상을 입었지만 그에게 있어 가장 큰 손실은 아들까지 앗아간 놈을 놓치고 말았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복수귀]]가 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때 쓰이던 [[PT 보트|PT522 보트]]를 개조해 어뢰에 전기 장치를 포함한 여러 불법 장치들을 준비하고 마지막 전투를 벌이지만, 최종적으로 주인공 상어에게 밀려 패배...하는가 싶더니 상어가 자신을 덮치는 순간 폭발물을 기폭시켜 상어와 함께 [[동귀어진]]한다. 아버지가 상어에 죽고도 계속 상어에 집착하는 미치광이로 보이지만 아들과의 교류는 나쁘지 않은데 배가 폭발하자 바로 아들부터 찾고 타박하는 것도 조금 짓궂은 아버지의 충고로 보이기도 하는 등 아들을 나름 소중히 여기는 아버지로 보인다. * '''카일''' 피트의 아들. 전공은 해양생물학. 여름마다 아버지를 도와 해양생물을 관찰한다. 아버지의 메가 샤크 이야기를 믿지 않는다. 하지만 아버지를 도와 주인공 상어를 사냥하는 과정에서 배의 폭발에 휘말려 사망한다.[* 주인공 상어가 피트의 왼쪽 다리를 물어뜯느라 정신이 팔려있는 사이에 그녀의 몸에 기름을 붓고 불을 붙였는데 하필 주인공 상어가 날뛰다가 보트의 연료통이 들어있는 문을 열어버리게 되고 그 연료통에 불이 붙어버려 그대로 폭발하기 일보 직전의 상황이 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피트는 보트가 폭발하게 되리라는 걸 알고 서둘러 보트를 버리고 도망치자고 하지만 카일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을 끄려고 소화기를 들고 와 불을 끄려고 하지만 결국 불이 붙은 연료통이 폭발하여 그곳에 가까이에 있는 바람에 보트가 폭발할 때 그 충격으로 멀리 날아가 바닷속에 빠진 피트와는 달리 폭발에 완전히 휘말려 죽고 만다.] == 적 == === 야생동물 === * '''강늉치고기''' 최초로 만나는 야생동물. 양키 피쉬라고 나온다. * '''바라쿠다''' 강늉치 상위 호환. 거슬리는 데다가 은근 질기다. * '''악어''' 초반부 유저들의 최종 보스. 초반엔 상대가 쉽지 않지만 회피를 잘하면 할 만하다. * '''청상아리''' 회피를 잘하는 상어. 컨트롤만 좋으면 고작 삼치에 불과하다. * '''황새치''' 청상아리와 함께 등장하는 생물. 속도가 엄청 빠르다. * '''귀상어''' 넉백에 최적화된 상어. [[큰귀상어]]다. * '''백상아리''' 인게임 내 가장 강한 상어.[* 최상위, 사냥당한 개체, 향유고래, 범고래 제외.] 덩치가 다른 상어들과는 비교도 못할 정도로 크다. * '''범고래''' 걸프에 진입하면 만나는 고래. 무리 지어 생활하는 범고래 특성상 공격하면 여러 마리가 몰려온다. * '''향유고래''' 느리지만 한 방 한 방이 강력한 고래. 의외로 성질이 꽤 사납다. === 현상금 사냥꾼 === 해변가, 배 위에 있는 사람들을 먹다 보면 사냥꾼이 스폰된다. 사냥꾼을 처치할수록 악명이 점점 높아진다. 악명 레벨이 1 올라가면 아래의 보스를 차례대로 만난다. 현상끔 사냥꾼을 잡으면 생체 전기 세트를 획득한다. --연출은 굉장히 세보이지만 다른 사냥꾼들과 다를 게 없다.-- * '''베이유 윌리''' >늪지대의 재앙... 베이유 윌리입니다! 제트스키를 타고 등장한다. * '''바비 보쟁글스''' >바텐더 사냥꾼... 바비 보쟁글스입니다! 사냥꾼 스키프를 타고 등장한다. * '''푸키 폴''' >사나운 새우잡이... 푸키 폴입니다! 에어보트를 타고 등장한다. * '''캔디맨 커티스''' >경이로운 낚시꾼... 캔디맨 커티스입니다! 스키보트를 타고 등장한다. * '''타일러 딕슨 소위''' >유명한 촌뜨기인... 타일러 딕슨 소위입니다! USCG 소형 스키프를 타고 등장한다. * '''도살자 브래디''' >옥수수를 먹고 자란 거인... 도살자 브래디입니다! 작은 낚싯배를 타고 등장한다. * '''섀넌 심즈 소위''' >해안의 자랑거리... 섀넌 심즈 소위입니다! USCG 중형 스키프를 타고 등장한다. * '''마마 메이벨''' >수백만 달러짜리 악몽... 마마 메이벨입니다! 요트를 타고 등장한다. * '''퍼시 멧칼프 중령''' >건강한 바다 사나이... 퍼시 멧칼프 지휘관입니다! USCG 지휘선을 타고 등장한다. 그리고 이때부터 전기 보호막 장치가 달린 배를 타고 나온다. 이 전기 보호막에 들어가면 피해를 받는데, 대신에 산소통처럼 생긴 시한폭탄을 던지기 때문에 이를 휩샷으로 날려서 배를 침몰시키면 된다. * '''로버트 브룬틀렛 선장''' >이 함대의 야수는 바로... 로버트 브룬틀렛 선장입니다! 퍼시 멧칼프 중령처럼 USCG 지휘선을 타고 등장한다. === 최상위 포식자 === 맨이터 시리즈 생물계 중간 보스들이다. 각각 강에는 3마리, 바다에는 4마리가 나타난다. 이들은 우리가 알던 생물들의 생김새와는 많이 다르고 지금까지 사투를 벌이며 세월을 보냈는지 상처도 많다. * '''바라쿠다''' >바늘 이빨의 악몽... 바라쿠다입니다! 송곳니가 두드러지게 튀어나와 있다. 눈도 엄청 빨갛다. 데드 호스 레이크의 오염으로 인한 것인지 이상한 종양이 달려있고, 성체만큼 크다. 보상은 뼈 이빨. * '''청상아리''' >속도의 술탄... 청상아리입니다! 물에 빠진 로스트볼을 삼키며 등장한다. 눈알에 [[골프공]]이 박혀있다. 코도 일반 청상아리와 달리 약간 위로 세워져 있다. 보상은 뼈 지느러미. * '''악어''' >베이유의 싸움꾼... 미국 악어입니다! 이름은 로지. 베이유에서 꽤 유명한 녀석이다. 암컷으로, 리본을 매고 있고 팔다리 몇 개가 잘려있다. 늘 그렇듯이 상처가 비정상적으로 많다. 강해 보이지만 컨트롤만 잘하면 순식간에 물뱀이 된다. 보상은 수륙양용(지상 생존 시간과 지상 속도를 올려준다). * '''귀상어''' >변칙적인 진화를 이룬... 귀상어입니다! [[큰귀상어]]인 일반 [[귀상어]]와 달리 [[홍살귀상어]]처럼 생겼다. 머리에 각질 비슷한 것이 달려있다. 일반 귀상어보다 더 통통하다. * '''백상아리''' >심해의 황제... 바로 백상아리를 두고 하는 말이죠! 물개를 한입에 삼켜버리며 등장한다. 은근 공격력도 강해서 정면으로 돌파하면 같이 죽을 수도 있다. 배 쪽의 하얀 부위가 [[악상어]]처럼 구분이 불분명하다. * '''범고래''' >저 흑백은... 범고래의 공격입니다! 범고래 쇼를 하던 녀석으로, 못생겼다고 평가받는다. 지느러미가 휘어있다. 사육장에서 길러져서인 듯. 전기나 그림자로 쉽게 잡을 수 있으나, 뼈로는 못 이긴다. * '''향유고래''' >고래목과 암살자... 향유고래입니다! 자신을 잡으려던 [[포경선]]을 박살내면서 등장한다.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고래잡이|이 녀석을 사냥하려고 했는지]] 몸에 그물과 작살이 박혀있으며, 색깔도 흰색인 걸 보면 [[모비 딕]]이 모티브인 듯. 눈이 바라쿠다만큼 빨갛다. == DLC == 맨이터: 트루 퀘스트(Maneater: Truth Quest)가 2021년 8월 31일 출시되었다. === DLC 현상금 사냥꾼 === 이전 바다와는 달리 5명만 나온다. 하지만 개중에는 배가 아니라 다른 것을 타고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플로버 섬이 군사 기밀 섬이어서 그런지 전부 군인이다. * '''최고 정보 책임자 T.J.토플러''' >하드코어 범우주적 악마숭배자... T.J.토플러입니다! 시호크 헬기를 타고 나타난다. 공중이어서 공격 기회가 적지만 아토믹 레이저 몇 방 갈겨주면 추락한다. * '''론 소위 허니웰''' >요크 라이튼 메이슨의 13번째 인물... 론 허니웰입니다! 해군 인터셉터를 타고 등장한다. 어뢰를 쏘지만 회피로 피하고 휩샷으로 날려 침몰시키면 된다. * '''조슬린 중령 생 드니''' >그랜드 드루이드의 대여사제, 조슬린 생 드니입니다! 최고 정보 책임자 T.J.토플러처럼 시호크 헬기를 타고 나타난다. * '''빅 대위 맨드레이크''' >4차원 벌레인간 변신 괴물, 빅 맨드레이크입니다! 리토럴 전함을 타고 등장한다. * '''바바라 제독 테라노바''' >모든 요물과 괴물들의 어머니, 바바라 테라노바입니다! 빅 대위 맨드레이크처럼 리토럴 전함을 타고 등장한다. === DLC 최상위 포식자 === 기존에 있던 최상위 포식자[* 단, 각 개체의 최상위 포식자가 아니라, 게임 내 모든 야생동물 중 최상위(상어, 범고래, 향유고래)들이다.]들에게 황소상어의 능력이 붙었다. 백상아리는 전기, 범고래는 그림자(독), 향유고래는 뼈 능력을 가지고 있다. * '''전기 백상아리''' >정부에서 규제하는 자유로운 에너지 자원... 바로 전기 백상아리입니다! * '''그림자 범고래''' >맨해튼 프로젝트의 졸업생... 그림자 범고래입니다! * '''뼈 향유고래''' >션샤인 프로젝트의 부작용인... 뼈 향유고래입니다! * '''방사능 전기 백상아리''' >아토믹 에너지 의원회 프로젝트... 방사능 전기 백상아리입니다! * '''방사능 그림자 범고래''' >우라늄 235번 테스트 실험체... 방사능 그림자 범고래입니다! * '''방사능 뼈 향유고래''' >캐슬 브라보의 생존자... 방사능 뼈 향유고래입니다! * '''아토믹 리바이어던''' >바닥 없는 투기장의 야수... M.O.L.O.C.H.입니다! 최종 보스. == 진화 파츠 ==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얻을 수 있는 것들로, 능력치를 강화시켜 준다. === 신체 파츠 === 세트로는 총 5개가 있다. * 뱀상어 세트 영양분의 수집량을 늘려준다. 초반에 얻는 초보자 세트이다. * 뼈 세트 체력과 방어력을 증가시킨다. 강한 공격력을 가진 최상급 개체들에게 적합하다. * 전기 세트 이동속도를 증가시키고 전기 피해량을 경감한다. 빠르고 전기 피해를 주는 전기 배리어를 장착한 배를 타고 나오기도 하는 현상금 사냥꾼들에게 적합하다. * 그림자 세트 공격력, 이동속도 모두 증가시키며 지속적으로 피해를 주는 그림자(독) 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전에 적합하다. * 아토믹 세트 뱀상어 세트를 제외한 모든 세트의 종합형 느낌으로, 피해량 및 피해 저항력을 높여주고 아토믹 폭발을 일으키므로 단기전에 적합하다.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neater, code=critic-reviews/?platform=pc, y=, score=7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neater, code=user-reviews/?platform=pc, y=, score=6.4)]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75em" [[Nintendo Switch|{{{#ffffff Switch}}}]]}}}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neater, code=critic-reviews/?platform=nintendo-switch, y=, score=65)]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neater, code=user-reviews/?platform=nintendo-switch, y=, score=7.0)]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Xbox One|{{{#ffffff XBO}}}]]}}}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neater, code=critic-reviews/?platform=xbox-one, y=, score=71)]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neater, code=user-reviews/?platform=xbox-one, y=, score=7.0)]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layStation 4|{{{#ffffff PS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neater, code=critic-reviews/?platform=playstation-4, y=, score=68)]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neater, code=user-reviews/?platform=playstation-4, y=, score=7.4)]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Xbox Series X|{{{#ffffff XSX}}}]]}}}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neater, code=critic-reviews/?platform=xbox-series-x,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neater, code=user-reviews/?platform=xbox-series-x, y=, score=6.6)]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layStation 5|{{{#ffffff PS5}}}]]}}}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neater, code=critic-reviews/?platform=playstation-5,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neater, code=user-reviews/?platform=playstation-5, y=, score=6.6)]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9503, title=maneater, rating=fair, average=71, recommend=53)] [include(틀:평가/Steam, code=629820, rating=매우 긍정적, percent=89, count=9\,616, rating2=매우 긍정적, percent2=89, count2=297, date=2023-10-05)] == 버그 == * 비콘이 안 보이는 버그 중간 중간에 비콘 퀘스트가 있는데 정작 그 비콘이 안 보일 때가 있다. * 보스가 안 보이는 버그 보스가 버그로 안 나올 때가 있다. 이와 같은 버그는 언어 변경을 통해 고칠 수 있다. [[분류:2020년 Windows 게임]][[분류:2020년 PlayStation 4 게임]][[분류:2020년 Xbox One 게임]][[분류:2020년 Xbox Series X\|S 게임]][[분류:2020년 PlayStation 5 게임]][[분류:2021년 Nintendo Switch 게임]][[분류:Xbox Play Anywhere]][[분류:Xbox Game Pass]][[분류:Dolby Vision 호환 게임]][[분류:Dolby Vision 지원 게임]][[분류:미국 게임]][[분류:액션 어드벤처 게임]][[분류:오픈 월드]][[분류:피카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