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러시 듀얼/기계족]][[분류:유희왕/러시 듀얼/맥시멈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조인테크)] [include(틀:유희왕 시리즈 주인공들의 에이스 강화형)] ||<-3>
'''{{{#!html 메가}}}{{{#!html조인테크}}} {{{#!html포트렉스}}}'''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1h_6LbagAAHDUA.jpg|width=100%]]}}} || || '''등장 시리즈''' || [[유희왕 고 러시!!|고 러시!!]] || || '''사용 캐릭터''' || [[오도 유히]] || || '''첫 수록''' || [[굉염의 피닉스]] || || '''서포트''' || 기계족 || || '''소속 테마군''' || [[조인테크]] || || '''재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 ||<-3> {{{#E62534 조인과 무적! 조인과 무한! 조인과 운명! 결판을 낼 때가 왔다! 맥시멈 소환! '''{{{#!html메가}}}{{{#!html조인테크}}} {{{#!html포트렉스}}}'''![br]ジョインと無敵!ジョインと無限!ジョインと運命!決着の時がきた!マキシマム召喚!「'''{{{#!htmlメガ}}}{{{#!htmlジョインテック}}}・{{{#!htmlフォートレックス}}}'''」!}}} || [목차] == 개요 == || [[파일:メガジョインテック・フォートレックス[L].jpg|width=100%]] || [[파일:メガジョインテック・フォートレックス.jpg|width=100%]] || [[파일:メガジョインテック・フォートレックス[R].jpg|width=100%]] || || 메가조인테크 포트렉스[L] || 메가조인테크 포트렉스 || 메가조인테크 포트렉스[R] || [[유희왕 러시 듀얼]]의 맥시멈 몬스터 카드. == 설명 ==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오도 유히]]가 68화에서 [[카미조 에포크]]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 기존의 카드화된 사람들을 재료로 만든 맥시멈과 다르게 고하당과 무츠바 중기에서 안전하게 새로 찍어낸 맥시멈이라고 언급되었다. || [youtube(NMIDcQchHFQ)] || || 소환 신 || 작중에서 소환될 때는 머리와 몸통을 이루는 L, 등과 다리를 이루는 본체, 꼬리를 이루는 R이 서로 분리돼서 나온 뒤 하나로 합체하고 마지막으로 어디선가 날아온 프테로매트가 꼬리에 내려앉는다. 각 파츠마다 자의식이 있는 건지 자세히 보면 파츠마다 눈이 달려 있다. 소재가 모두 하급이라 취급이 편하고 [[맥시멈 소환]] 시 상당한 공격력과 내성을 가지고 3회 공격 혹은 관통 + 몬스터 2회 공격으로 높은 데미지를 줄 수 있다. 하지만 원래 공격력이 3000으로 너무 낮아 [[푸른 눈의 백룡]]이나 적당한 공격력 강화 효과를 가진 몬스터에게 간단히 돌파당한다. [[염 마신 벨슈드로스]]처럼 가운데 본체가 레벨 10이 아니기 때문인지 칭호가 '메가조인테크'로 네 글자가 아니게 되었다. 엄밀히는 한자조차도 아니기 때문에 [[해피레이디즈]]처럼 아예 칭호가 없는 케이스에 더 가깝다. 공격명은 '전율의 데스티니 크래시(戦慄のディステニークラッシュ)'.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3DYLSKbMAAM1if.jpg |width=100%]]}}} || || [[https://twitter.com/YuGiOh_RUSHDUEL/status/1689214940832219136|설정화]] || 설정화에 따르면 같이 붙어있는 익룡은 '[[조인테크 프테로매트]]'. 이후 카드로도 등장했다. == 구성 == === 메가조인테크 포트렉스[L] === [[파일:メガジョインテック・フォートレックス[L].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맥시멈=, 효과=, 한글판명칭=메가조인테크 포트렉스[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メガジョインテック・フォートレックス[L](エル), 영어판명칭=Mega Jointech Fortrex 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땅, 레벨=4, 공격력=1300, 수비력=0, 종족=기계족, 조건=패의 몬스터(땅 속성 / 기계족)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600 내린다. 그 후\, 코인 토스를 1회 실행한다. 앞면인 경우\, 이 턴에\, 이 카드는 3회 공격할 수 있다. 뒷면인 경우\, 이 턴에\, 이 카드는 몬스터에 2회 공격할 수 있고\, 그 공격은 관통한다.)] 공격 대상을 안 가리고 3회 공격, 관통을 얻고 몬스터에게 2회 공격 중 하나를 얻는다. 공격력이 내려가지만 이건 R의 효과로 보완할 수 있다. 진짜 단점은 코인토스로 효과가 정해지기 때문에 원하는 효과를 골라 쓰는 게 불가능한 것. 즉 수비벽이 있을 때 관통을 얻거나 다이렉트 어택을 노릴 수 있는 상황에서 3회 공격을 고르는 걸 할 수 없다. 하지만 어느쪽도 위협적인 효과이고 상대도 이 카드의 대처를 정확히 할 수 없게 된다. ||수록 시리즈 || ||<(> 2023-08-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4-JP003 | '''[[굉염의 피닉스|轟炎のフェニック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메가조인테크 포트렉스 === [[파일:メガジョインテック・フォートレックス.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맥시멈=, 효과=, 맥시멈카드=, 한글판명칭=메가조인테크 포트렉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メガジョインテック・フォートレックス), 영어판명칭=Mega Jointech Fortrex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땅, 레벨=4, 공격력=1300, 수비력=0, 맥시멈공격력=3000, 종족=기계족, 효과외="메가조인테크 포트렉스[L]" "메가조인테크 포트렉스[R]"과 모아 맥시멈 소환할 수 있다., 조건=맥시멈 모드, 발동효과=이 카드의 레벨은 6 올린다. 자신 묘지에 몬스터(레벨 7 이상 / 기계족)가 있을 경우\, 추가로 이 카드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레벨이 4지만 맥시멈 모드 시 레벨 10이 된다. 묘지에 레벨 7 기계족이 있어야 할 필요가 있지만 마법이나 몬스터에도 파괴되지 않는 강력한 내성을 얻을 수 있다. 자신의 효과에도 파괴되지 않으니 유의해두자. ||수록 시리즈 || ||<(> 2023-08-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4-JP004 | '''[[굉염의 피닉스|轟炎のフェニック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메가조인테크 포트렉스[R] === [[파일:メガジョインテック・フォートレックス[R].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맥시멈=, 효과=, 한글판명칭=메가조인테크 포트렉스[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メガジョインテック・フォートレックス[R](アール), 영어판명칭=Mega Jointech Fortrex 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땅, 레벨=4, 공격력=1300, 수비력=0, 종족=기계족, 조건=없음, 발동효과=서로는 각각 상대 묘지의 몬스터 3장을 고르고\, 주인의 덱으로 되돌린다. 이 카드가 맥시멈 모드일 경우\, 추가로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이 효과로 되돌린 몬스터(땅 속성 / 기계족)의 레벨의 합계] × 100 올린다.)] 서로의 묘지의 카드를 덱으로 돌리고 맥시멈 모드 중에는 돌려진 땅속성/기계족의 레벨만큼 공격력이 오른다. 맥시멈 모드 전에도 상대의 묘지를 털 수 있다. 상대가 카드를 고르지만 땅속성/기계족 위주로 덱을 짜면 하급 위주로 돌려도 1000정도는 확보할 수 있다. 진짜 문제점은 이 효과로 레벨 7이상 기계족이 모두 털리면 내성을 잃어버린다는 것. R의 효과등 추가로 상급 기계를 버릴 수단을 확보한 뒤 쓰는 것이 좋을 것이다. ||수록 시리즈 || ||<(> 2023-08-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4-JP005 | '''[[굉염의 피닉스|轟炎のフェニックス]]'''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