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장수 관련 카드군)] || 한글판 명칭 ||||'''메달리온'''|| || 일본판 명칭 ||||'''[ruby(紋章, ruby=メダリオン)]'''|| || 영어판 명칭 ||||'''Heraldry'''|| [목차] == 개요 == [[문장수]]를 지원하기 위해 [[우주의 섬광]]에서 등장한 마법 / 함정 카드들로,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에서 오그멘트 메달리온이 등장하면서 정식 카드군이 되었다. 국내에서는 다른 카드들은 전부 "메달리온"으로 번역되었는데 하이 메달리온 아츠 1장만 "메달리'''언'''"으로 번역되는 불상사가 있었으나 2018년 6월에 에라타되었다. 영문판에서는 문장학을 의미하는 영단어 Heraldry로 번역되었다.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4 === ==== [[No.69 갓 메달리온 코트 오브 암즈]] ==== === 랭크 5 === ==== [[CNo.69 데스 메달리온 카오스 오브 암즈]] ==== == 마법 카드 == === [[문장수#하이 메달리온 아츠|하이 메달리온 아츠]] === === [[문장수#리본 메달리온|리본 메달리온]] === === [[문장수#오그멘트 메달리온|오그멘트 메달리온]] === === [[문장수#차지 메달리온|차지 메달리온]] === == 함정 카드 == === [[문장수#체인지 메달리온|체인지 메달리온]] === === [[문장수#메달리온 레코드|메달리온 레코드]] === == OCG화 되지 않은 카드 == === 블래스트 메달리온 === || 한글판 명칭 ||||||||'''블래스트 메달리온'''|| || 일어판 명칭 ||||||||'''爆破紋章'''|| || 영어판 명칭 |||||||| || |||||||||| 장착 마법 || ||||||||||장착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 파괴된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의 절반만큼의 데미지를, 그 컨트롤러에게 준다.|| [[텐조 카이토]]와의 듀얼에서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에 장착하나 포톤 드래곤이 제외 효과를 발동한 탓에 장착 대상을 잃어 그냥 파괴된다. === 커스드 메달리온 === || 한글판 명칭 ||||||||'''커스드 메달리온'''|| || 일어판 명칭 ||||||||'''破滅の紋章'''|| || 영어판 명칭 |||||||| || |||||||||| 장착 마법 || ||||||||||"문장"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만 장착 가능. 1턴에 1번,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의 수 × 300 포인트 데미지를 서로의 라이프에 준다.|| 카이토와의 듀얼에서 게놈 헤리터에 장착한다. === 프로텍션 메달리온 === || 한글판 명칭 ||||||||'''프로텍션 메달리온'''|| || 일어판 명칭 ||||||||'''無敵の紋章'''|| || 영어판 명칭 |||||||| || |||||||||| 지속 함정 ||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800 포인트 내린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선택한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선택한 몬스터가 필드 위에서 벗어났을 때, 이 카드를 파괴한다.|| 트론이 카이토와의 듀얼에서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에게 발동해 공격력을 내려 라이프를 남겼다. === 버스트 메달리온 === || 한글판 명칭 ||||||||'''버스트 메달리온'''|| || 일어판 명칭 ||||||||'''爆風紋章'''|| || 영어판 명칭 |||||||| || |||||||||| 일반 함정 || ||||||||||배틀 페이즈 중에만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마법 & 함정 카드 존의 카드를 모두 상대의 패로 되돌리고, 배틀 페이즈를 종료한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에 이 효과로 패로 되돌아간 카드 장수 × 500 포인트의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유마와의 듀얼에서 2장의 ZW을 장착한 유토피아 레이가 공격을 해 올 때 발동한다. 이 카드로 트론은 유마의 유토피아 레이의 ZW을 패로 되돌리고 배틀 페이즈를 종료한 후에 효과 데미지를 엔드 페이즈에 준다는 선언을 해 승리선언을 했지만, 이런 류의 카드를 쓴 적들이 다들 그렇듯 ZW-라이오 암즈의 배틀 페이즈 재실행 효과 때문에 패배했다. === 메달리온 카타스트로피 === || 한글판 명칭 ||||||||'''메달리온 카타스트로피'''|| || 일어판 명칭 ||||||||'''殲滅の紋章'''|| || 영어판 명칭 |||||||| || |||||||||| 일반 함정 || ||||||||||상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원래 주인이 자신인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시,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 이하의 공격력을 가진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고, 그 공격력의 합계만큼의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트론이 [[카미시로 료가]]에게 준 카드. 료가와 [[츠쿠모 유마]]의 듀얼에서 [[CNo.32 샤크 드레이크 바이스]]의 컨트롤이 유마에게 넘어갔을 때 트론이 료가에게 세트한 이 카드를 발동하라며 꼬시지만 끝내 발동되지는 않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문장(유희왕), version=117)] [[분류:유희왕/OCG/카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