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르세데스-벤츠 그룹 AG)] ||<-2> '''{{{#white {{{+1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br] '''{{{#white Mercedes-Benz Korea}}}''' || ||<-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메르세데스-벤츠 로고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2> '''기업명''' ||'''정식''':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주식회사 || ||'''영어''': Mercedes-Benz Korea || || '''설립일''' ||[[2002년]] [[9월 6일]]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한강대로]] 416 ([[남대문로5가]], [[서울스퀘어]] 9층) || || '''기업형태''' ||[[중견기업]] || || '''대표자''' ||마티아스 바이틀 || || '''업종''' ||자동차 수입업 || || '''종업원''' ||286명^^(2023년)^^ || || '''매출액''' ||7조 9,375억 4,695만원^^(2023년)^^ || || '''영업이익''' ||2,392억 7,791만원^^(2023년)^^ || || '''당기순이익''' ||1,898억 4,181만원^^(2023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인 [[메르세데스-벤츠]]의 대한민국 법인이다. == 역사 == 1970년대 중반 [[현대자동차]]와 기술제휴를 맺음으로 대한민국 진출이 시작되었다. 1980년대 중반까지 상용차 생산 및 승용차 수입을 담당했다. 이후 1987년 수입차 시장이 개방되면서, 말레이시아 화교 재벌 레이 싱 홍 그룹의 자회사인 한성자동차를 통해 판매를 시작했다.[* [[https://news.v.daum.net/v/LWYirErtrx?f=p|1987년 수입자유화 이후 고급차 시장 선도 당시 프라이드 45대 가격]]] 2003년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가 정식으로 설립된 이후로도 한성자동차는 현재까지 자회사 한성모터스, 스타자동차를 포함해 벤츠의 대표적인 공식 딜러사를 전담하고 있으며, 이후 더 클래스 효성, KCC오토, 모터원, 중앙 모터스 등이 새로 생겼다. 공식 수입사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지분의 51%를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49%를 레이 싱 홍 그룹의 자회사인 스타오토홀딩스가 가지고 있다. 한마디로 레이 싱 홍은 스타오토홀딩스를 통해 대한민국 배급권을 가지고 물량과 공식 가격을 또 다른 자회사인 한성자동차를 통해 실제 판매 가격으로 두 번에 걸쳐 이익을 챙기는 셈이다.[* 하지만 이건 기사 자체가 잘못되었다. 기사를 자세히 보면 메르세데스-벤츠를 까는 기사인데, 자동차 칼럼리스트의 과대, 자극적인 기사라고 보면 된다. 2003년도에는 딜러사가 한성자동차뿐이여서 그런 이야기가 나왔지만 현재 레이 싱 홍 한성자동차는 대한민국에서 많은 메르세데스-벤츠 딜러사 중 하나일 뿐이며 총판도 아닐뿐더러 독점하고 있지도 않다. 배급권 또한 나뉘어져 있어 메르세데스-벤츠를 구입할 때 예약자가 통합되지도 않는다. 대한민국 메르세데스-벤츠 판매를 맡고 있는 회사는 더 클래스 효성, KCC오토 등 더 있으며 해외 기업의 판매를 대한민국에서 해외 기업 한 곳만 독점해줄리는 전혀 없다. 화교들 사이에서 화뽕으로 마치 레이 싱 홍 기업이 메르세데스-벤츠와 람보르기니 등 영향력이 크고 마치 자동차를 제조하여 파는 듯한 늬앙스로 광고 또는 인터넷 기사들이 나왔지만 이것은 과대평가다. 레이 싱 홍 그룹이 맡은 것은 전세계 수십개 있는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본사의 딜러일 뿐, 수많은 나라에 수십개의 기업들이 독일 메르세데스-벤츠의 딜러회사를 맡고 있다. 레이 싱 홍은 말레이 화교로 동남아 지역에 장사 수완으로 인정받아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본사의 지배를 받는 딜러사를 운영할 뿐 레이 싱 홍 그룹이 메르세데스-벤츠의 기술이나 엔진 부품하나 관여하지 못한다. 대한민국에 메르세데스-벤츠 딜러사 중 한 곳에 불과한 한성자동차가 마치 레이 싱 홍 그룹의 지배에 있다고 생각하면 안 되고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본사 지배 아래에 레이 싱 홍 그룹과 한성자동차가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 맞다.[[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8764|#]] [[https://auto.v.daum.net/v/aPLUHWqaMH|이익 쓸어담는 벤츠코리아의 진짜 주인은 과연 누구인가]].] 재미있는 점은 2020년에 메르세데스-벤츠의 모기업인 [[메르세데스-벤츠 그룹|다임러 AG]]의 최대주주가 [[베이징자동차그룹]]이고 2대 주주가 [[볼보]]를 소유한 [[저장지리홀딩그룹]]로 모두 중국 회사였다.[* 베이징자동차 9.98%, 지리자동차 9.69%로 총 19.67% 3대 주주는 3대주주는 쿠웨이트 국부펀드 6.8%로 격차가 있는 편이다.] 그러나 현재는 [[뱅크 오브 아메리카]]가 20.25%로 1대 주주 자리를 뺏었고, 2대 주주가 여전히 중국 자본이기는 하나 3대 주주가 [[모건 스탠리]]라서 미국 자본의 비중이 늘었다. 2018년 5월,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 라이벌 [[BMW]]의 [[BMW 드라이빙 센터]]와 비슷하게 [[AMG 스피드웨이]]가 신설되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5081190328603|세계 최초의 AMG 트랙, 'AMG 스피드웨이' 공식 오픈]]] 단, BMW 드라이빙 센터는 BMW가 운영하는 직영 서킷이며, AMG 스피드웨이는 삼성물산이 그대로 운영하면서 벤츠코리아와 공동 운영하는 서킷이다. == 역대 임원 == * 이보 마울 * 하랄트 베렌트 * 토마스 우르바흐 (2012)[* 생전 [[우울증]]을 앓다가, 취임한지 1년도 안된 2012년 11월 30일, 독일 출장 중 향년 50세의 나이에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브리타 제에거 (2013~2015) * 디미트리스 실라키스 (2015~2020) * 토마스 클라인 (2021~2023) * 마티아스 바이틀 (2023~현재) == 판매량 == 2023년 기준 [[현대자동차]], [[기아]], [[제네시스(자동차)|제네시스]], [[BMW]]에 이어 판매량 5위를 차지하고 있는 브랜드이나, 끝물에 전 차종들에 할인을 단행하며 BMW와 격차가 적을 정도로 팔렸다. 대한민국보다 메르세데스-벤츠 판매량이 많은 나라는 미국, 중국 2개국이다. 경차와 소형차 중심인 일본보다 대한민국에서 메르세데스-벤츠가 더 많이 팔리고 있다. 2021년 기준 S클래스 세계 판매량 [[http://www.autocast.kr/newsView/atc202105140002|3위]]를 기록할 정도로 메르세데스-벤츠의 주요 시장 가운데 하나이며, E클래스는 2022년 세계 판매량 중 중국을 제외하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003390?sid=103|1위]]를 대한민국이 차지했다. 굉장히 많이 보여서 BMW, 아우디와 묶여 국산차 같은 외제차 같은 느낌을 보여주고 있다. 2016년까지 [[BMW]]에 밀려 늘 2위를 했지만, [[아우디]]와 [[폭스바겐]]의 [[디젤게이트]], [[BMW]]의 연쇄 화재 스캔들, 일본 제품 불매 운동[* [[토요타]], [[렉서스]], [[혼다]], [[닛산]], [[인피니티]] 등의 회사 제품들이 타겟이었다. 이로 인해 닛산과 인피니티는 본사의 적자로 인한 구조조정 여파와 판매 부진으로 철수했고, 혼다는 모터사이클(특히 PCX) 덕분에 버티고 있다. 그나마 토요타와 렉서스는 하이브리드 마케팅을 앞세워 RAV4, ES 덕분에 조금씩 살아나고 있다.] 등으로 인해 메르세데스-벤츠가 반사이익을 본 이후로 BMW를 앞질러 1위에 올랐다. 2017년부터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E클래스]]가 한 달에 2~4천대씩 팔리며 5년 연속 대한민국 수입차 판매량 1위를 계속 차지하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국민드립|국민 수입차]]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또한 [[메르세데스-벤츠 A클래스|A클래스 세단]],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S클래스]], [[메르세데스-벤츠 GLB|GLB]], [[메르세데스-벤츠 GLC|GLC]]도 적지 않게 팔리면서 모든 수입차 브랜드 중에서도 판매량과 매출이 많은 브랜드이기도 하다. 이 때문인지 [[수입차]] 회사 중에서 [[프로모션]] 할인율이 적은 편에 속하는데, 그렇다고 볼보처럼 할인이 아예 없는 수준은 아니고 BMW, 아우디를 비롯한 다른 수입차 업체들에 비하면 할인률이 낮긴 하다. 그리고 '''판매 부진, 신차 부재로 인한 매출 급감으로 적자를 기록중인 국산차 브랜드인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 [[쉐보레]]([[GM 한국사업장]])와 비슷하면서 종종 이들을 앞지르기도 하며 2021년부터는 완전히 앞질렀다.'''[* 2019년 9월에 르노코리아, 쌍용차, 쉐보레를, 10월에도 쌍용차와 쉐보레를, 2019년 총 판매량에서 쉐보레를 2020년 1월에도 쉐보레와 르노코리아를 앞질렀다.[[https://www.yna.co.kr/view/AKR20191005035500003|벤츠, 9월 국내 승용차 판매 3위... 현대·기아차 다음.]]]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2023년 76,697대를 판매하며, 8년만에 수입차 판매 1위 자리를 BMW에 내주었다. == 여담 == * 대한민국의 SUV 전문회사 [[KG모빌리티|쌍용자동차]]와 기술 제휴를 오랫동안 유지했었다. 1991년 디젤 엔진 부문의 기술 제휴를 맺고 무쏘에 메르세데스-벤츠 엔진을 얹은 것을 시작으로, 이스타나(MB100)를 메르세데스-벤츠가 개발하고 쌍용자동차에서 OEM으로 생산했다. 메르세데스-벤츠의 상용차를 베이스로 하여 디자인을 대한민국식으로 손본 SY트럭과 트랜스타 버스를 시판하기도 했다. 1993년에는 가솔린 엔진과 플랫폼 기술 제휴을 추가로 맺으면서 그 일환으로 가져온 W124 플랫폼으로 체어맨을 개발했다.[* 그 뒤 로디우스와 코란도 투리스모는 그 플랫폼을 2019년까지 썼다.] 그러나 쌍용자동차는 자금 사정이 열약한 탓에 오래 된 메르세데스-벤츠의 기술들을 계속 사용할 수밖에 없었고, 몇 차례나 맞은 경영 위기와 상하이차의 기술먹튀까지 겹치면서 쌍용차는 결국 메르세데스-벤츠와 로열티를 줄이고자 메르세데스-벤츠 엔진의 노하우를 활용해 자체적으로 환경 규제에 대비한 전자식 XDI 엔진을 개발하게 된다. 상하이차가 손을 뗀 후 법정 관리를 받은 뒤, 현대자동차 출신의 몇몇 임원들이 쌍용차로 오면서부터는 대부분의 변속기를 메르세데스-벤츠 자동변속기처럼 내구성은 좋으면서 저렴한 아이신 자동변속기로 바꾸는 와중에도 G4 렉스턴에는 2020년까지 메르세데스-벤츠 7단 자동변속기를 쓰고 있었다.[* 한때 쌍용차는 뉴 코란도, 무쏘, 렉스턴, 카이런, 액티언에 호주 DSI(BTRA)을 썼는데 변속충격 등의 결함과 내구성 문제 때문에 불만이 자주 제기되어 메르세데스-벤츠와 아이신을 쓰게 된다.] 그러다가 2020년 11월에 G4 렉스턴이 [[KGM 렉스턴/2세대|올 뉴 렉스턴]]으로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현대트랜시스]]의 후륜형 8단 자동변속기를 적용하게 되고, 오래 된 메르세데스-벤츠 7단 자동변속기를 더 이상 장착하지 않게 되면서 30여년간 이어온 [[KG모빌리티|쌍용자동차]]와 벤츠의 기술 제휴 관계는 완전하게 마무리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한국수입자동차협회)] [include(틀:메르세데스-벤츠의 차량)]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메르세데스-벤츠, version=1924, paragraph=9.1)] [[분류:메르세데스-벤츠 그룹]][[분류:대한민국의 유통업체]][[분류:2002년 기업]][[분류:한독관계]][[분류:외국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