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지역가]][[분류:남북전쟁 노래]] [목차] [youtube(GZzUD0jx0iY)] 이 영상의 노래에는 4절이 없다. == 개요 == Maryland, My Maryland [[남북전쟁]] 당시 만들어진 노래. 1861년 [[미국]] 남부의 11개 노예주가 미국을 탈퇴하여 [[아메리카 연합국]]을 수립했는데 [[메릴랜드]]는 노예주임에도 연방에 잔류했다. 하지만 메릴랜드가 연방에 잔류했다고 해도 그게 메릴랜드인들이 미 연방 정부에 우호적이라는 뜻은 되지 않았다. 많은 메릴랜드인들이 남부를 직접적으로 지지하지는 않아도 남부에 동조했다. 1861년 4월, [[남북전쟁]]의 진압을 위해 북부 연방군이 메릴랜드의 주요 도시인 [[볼티모어]]를 거쳐 남부로 이동하기 시작했는데, [[양키]]놈들의 군대가 자신들의 고향을 밟고 남부를 밟으러 간다는 소식에 격분한 친남부 볼티모어 시민들이 4월 19일 볼티모어에서 폭동을 일으켰다. 이 폭동은 연방군과 친연방 시민들에 의해 곧바로 진압되었으나 메릴랜드 출신의 ~~반란분자~~ 아메리카 연합국 시민 제임스 라이더 랜달(James Ryder Randall)은 이 소식에 격분하여 그는 아홉 연짜리 시를 썼는데, 이 시에 독일 민요인 [[O Tannenbaum]]의 가락이 붙어 현재의 노래가 만들어졌다. 이 노래는 아메리카 연합국 군대가 군가로 사용했으며 1939년에는 메릴랜드 주가(州歌)로 공식 지정되었다. [[로버트 E. 리]]의 남군이 메릴랜드를 침공하면서 메릴랜드의 친남부 여론을 자극하기 위해 행군하며 부르기도 했다. 하지만 이미 메릴랜드의 친남부 세력은 진압되었거나 이미 메릴랜드를 탈출해서 남군에 가담했기에 별 소용이 없었고, 결국 [[앤티텀 전투]]에서 패했다. 물론 노래의 근본이 반란군 종자들 노래다보니까 허구한날 바꾸자는 소리가 튀어나온다. 결국 2021년 주가의 지위에서 끌려내려 왔다. == 가사 == || || 영문 || 번역 || || 1절 || The despot's heel is on thy shore[br]Maryland! My Maryland![br]His torch is at thy temple door[br]Maryland! My Maryland![br]Avenge the patriotic gore[br]That flecked the streets of Baltimore[br]And be the battle queen of yore[br]Maryland! My Maryland! || [[에이브러햄 링컨|폭군]]의 발뒤꿈치가 그대의 해안을 침범하니[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폭군의 횃불이 그대 사원 앞에 있으니[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애국의 선혈을 복수하라[br]볼티모어의 얼룩진 거리를[* 당시 볼티모어의 남부 지지자들이 볼티모어를 지나는 연방군 행렬을 공격해 유혈사태가 벌어지는 경우가 있었다.][br]옛날 전쟁터의 여왕이 되어라[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 || || 2절 || Hark to an exiled son's appeal[br]Maryland! My Maryland![br]My mother State! to thee I kneel[br]Maryland! My Maryland![br]For life and death, for woe and weal[br]Thy peerless chivalry reveal[br]And gird they beauteous limbs with steel[br]Maryland! My Maryland! || 추방된 아들의 말에 귀기울이소서[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나의 고향이여, 그대 앞에 무릎 꿇으니[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생사가 걸리고 희비가 걸린 때[br]그대의 비할 데 없는 기사도가 나타나니[br]그대의 어여쁜 사지에 강철을 두르라[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 || || 3절 || Thou wilt not cower in the dust[br]Maryland! My Maryland![br]Thy beaming sword shall never rust[br]Maryland! My Maryland![br]Remember Carroll's sacred trust[br]Remember Howard's warlike thrust[br]And all thy slumberers with the just[br]Maryland! My Maryland! || 그대는 먼지구름에 숨지 않을 것이니[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그대의 빛나는 검은 절대 녹슬지 않을 것이니[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캐롤[* 찰스 캐롤(Charles Carroll). [[미국 독립 전쟁]] 당시 활동한 정치인. [[미국 독립선언서]]의 서명자 중 한 명이다.]의 신성한 신뢰를 기억하라[br]하워드[* 존 이거 하워드(John Eager Howard).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복무한 대륙군 장군. [[https://ko.wikipedia.org/wiki/%ED%99%94%EC%9D%B4%ED%8A%B8_%ED%94%8C%EB%A0%88%EC%9D%B8%EC%8A%A4_%EC%A0%84%ED%88%AC|화이트 플레인스 전투]], [[https://ko.wikipedia.org/wiki/%EB%AA%AC%EB%A8%B8%EC%8A%A4_%EC%A0%84%ED%88%AC|몬머스 전투]], [[https://ko.wikipedia.org/wiki/%EC%B9%B4%EC%9A%B0%ED%8E%9C%EC%8A%A4_%EC%A0%84%ED%88%AC|카우펜스 전투]] 등에 참전하였다.]의 용맹한 찌르기를 기억하라[br]정의롭게 잠든 모든 이들을 기억하라[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 || || 4절 || Come! 'tis the red dawn of the day[br]Maryland! My Maryland![br]Come with thy panoplied array[br]Maryland! My Maryland![br]With Ringgold's spirit for the fray[br]With Watson's blood at Monterey[br]With fearless Lowe and dashing May[br]Maryland! My Maryland! || 보라! 이것이 붉은 여명이로다[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그대의 수많은 군대를 데려오라[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링골드[* 새뮤얼 링골드(Samuel Ringgold). [[미국-멕시코 전쟁]]에 참전한 미군 장교로 기마포병대의 운용으로 유명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D%8C%94%EB%A1%9C_%EC%95%8C%ED%86%A0_%EC%A0%84%ED%88%AC|팔로 알토 전투]]에서 입은 부상이 악화되어 전사하였다.]의 열정을[br]몬테레이에서 왓슨[* 윌리엄 H. 왓슨(William H. Watson). 미국-멕시코 전쟁에 참전한 미군 장교. [[https://ko.wikipedia.org/wiki/%EB%AA%AC%ED%85%8C%EB%A0%88%EC%9D%B4_%EC%A0%84%ED%88%AC|몬테레이 전투]]에서 전사하였다.]이 흘린 피를[br]겁없는 로우와 돌격하는 메이를[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 || || 5절 || Come! for thy shield is bright and strong[br]Maryland! My Maryland![br]Come! for thy dalliance does thee wrong[br]Maryland! My Maryland![br]Come to thine own anointed throng[br]Stalking with Liberty along[br]And chaunt thy dauntless slogan song[br]Maryland! My Maryland! || 오라! 그대의 방패는 빛나고 강하도다[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오라! 그대의 희롱은 그대를 잘못되게 만드니[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그대가 성유를 바른 이에게 오라[br]자유와 함께 따라다니는 이들을[br]그대의 용감한 노래를 부르라[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 || || 6절 || Dear Mother! burst the tyrant's chain[br]Maryland! My Maryland![br]Virginia should not call in vain[br]She meets her sisters on the plain[br]"Sic semper!" 'tis the proud refrain[br]That baffles minions back again[br]Maryland! My Maryland! || 어머니! 폭군의 사슬을 끊으소서[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버지니아 주|버지니아]]의 부름이 헛된 것이 되면 안되리[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평원에서 자매들을 만나시네[br]"이렇게 될 것이다!"[* 버지니아 주의 표어인 Sic Semper Tyrannis(폭군은 이렇게 될 것이다). [[존 윌크스 부스]]가 에이브러햄 링컨을 암살한 후 외친 문구로도 유명하다.] 이것이 자랑스러운 후렴구라네[br]이걸로 아랫것들이 황급히 도망치지 못할 것이니[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 || || 7절 || I see the blush upon thy cheek[br]Maryland! My Maryland![br]For thou wast ever bravely meek[br]Maryland! My Maryland![br]But lo! there surges forth a shriek[br]From hill to hill, from creek to creek[br]Potomac calls to Chesapeake[br]Maryland! My Maryland! || 그대의 뺨에서 홍조를 보네[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그대는 용감하면서도 순하다네[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하지만 보라! 비명이 멀리 퍼져나가니[br]언덕에서 언덕으로, 개울에서 개울로[br]포토맥이 체서피크에게 말하네[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 || || 8절 || Thou wilt not yield the Vandal toll[br]Maryland! My Maryland![br]Thou wilt not crook to his control[br]Maryland! My Maryland![br]Better the fire upon thee roll[br]Better the blade, the shot, the bowl[br]Than crucifixion of the soul[br]Maryland! My Maryland! || 그대는 반달족의 종소리에 굴복하지 않으리[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그대는 그자의 조종에 굽히지 않으리[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불길에 휩싸이는게 나으리[br]베이고 총맞고 던져지는게 나으리[br]영혼이 십자가에 못박힐 바에는 그게 나으리[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 || || 9절 || I hear the distant thunder-hum[br]Maryland! My Maryland![br]The Old Line's bugle, fife, and drum[br]Maryland! My Maryland![br]She is not dead, nor deaf, nor dumb[br]Huzza! she spurns the Northern scum![br]She breathes! she burns! she'll come! she'll come![br]Maryland! My Maryland! || 멀리서 번개의 콧소리가 들리네[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오랜 전열의 나팔, 피리, 북 소리가[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br]그녀는 시체도, 귀머거리도, 벙어리도 아니네[br]만세! 그녀가 북부것들을 물리치니![br]그녀가 숨쉬니! 불타니! 올 것이니! 올 것이니![br]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