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이라크의 역사]][[분류:영국의 식민지]][[분류:영국-이라크 관계]][[분류:위임통치]] [include(틀:위임통치)] ||<-2> {{{#fff {{{+1 '''이라크 왕국'''}}} [br] '''Kingdom of Iraq (under British Administration)''' [br]'''الانتداب البريطاني على العراق'''}}} || ||<-2> [[파일:아랍 연방 국기.svg|width=250]] || ||<-2> '''{{{#fff 기(1921-1924)}}}''' || ||<-2> [[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width=250]] || ||<-2> '''{{{#fff 기(1924-1932)}}}[* 이 국기는 이후에도 [[이라크 왕국]] 국기로 사용된다.]''' || ||<-2> [[1920년]] ~ [[1932년]] || || '''{{{#fff 성립 이전}}}''' || '''{{{#fff 이라크 독립 이후}}}''' || || [[오스만 제국|'''{{{#fff 오스만 제국}}}''']] || [[이라크 왕국|'''{{{#fff 이라크 왕국}}}''']] || || '''{{{#fff 위치}}}''' ||'''[[메소포타미아|메소포타미아 지방]]''' || || '''{{{#fff 수도}}}''' ||'''[[바그다드]]''' || || '''{{{#fff 정치체제}}}''' ||'''[[위임통치|국제연맹 위임통치령]]''' || || '''{{{#fff 국가원수}}}''' ||'''[[왕]]''' || || '''{{{#fff 언어}}}''' ||'''[[영어]], [[아랍어]]''' || [목차] [clearfix] == 개요 == [[1920년]]부터 [[1932년]]까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있었던 [[대영제국]]의 [[위임통치]]령. == 역사 == [[하심 가문]]의 [[샤리프 후세인|후세인 빈 알리]]는 1908년 [[청년 튀르크당]] 혁명의 결과로 [[오스만 제국]]의 술탄 [[압뒬하미트 2세]]에 의해 메카의 샤리프에 임명된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6년에 아랍 독립에 대한 영국의 지원을 약속받은 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아랍의 반란를 선언하고 아랍 반란 직후 그는 통일 아랍왕국의 왕임을 선언했지만 연합국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의 서쪽 지역인 헤자즈의 국왕으로만 인식되었다. 영국은 [[1917년]] [[팔레스타인]]에 [[유대인]]의 독립국을 건설해준다는 '[[밸푸어 선언]]'을 했고,[* 한 마디로 한 집에 이중분양을 한 것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시리아, 이라크, 팔레스타인을 [[프랑스]]와 함께 위임통치하기로 명시한 베르사유 조약을 맺었다. 후세인 빈 알리가 이에 항의해서 조약의 비준을 거부한 후 연합국의 지원이 중단되었다. 또한 1920년 산레모 회의와 [[세브르 조약]]으로 패전국인 오스만 제국의 영토를 분할하여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이 세워진다. 이듬해인 1921년 영국은 후세인의 차남 압둘라를 요르단 국왕으로 세웠고, 몇달 후 같은해에 후세인의 셋째 아들인 파이살을 이라크(메소포타미아) 국왕 [[파이살 1세]]로[*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에서 [[알렉 기네스]]가 분한 파이살 왕자가 바로 이 사람이다.] 하여 영국의 위임통치를 받는 형식적인 왕국으로 독립시켜 주었다. 새로운 이라크 왕국의 영토는 [[http://tr.wikipedia.org/wiki/Osmanl%C4%B1_vilayetleri_listesi|과거 오스만 제국의 무술, 바으다트, 바스라 빌라예트 (Vilayet) 3개를 통합시켜서 세워졌는데]] 오늘날 [[쿠르드족]]과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이슬람 국가]]와 이라크 정부군의 전쟁을 생각하면 왠지 오묘하다. [[1932년]] 정식으로 [[이라크 왕국]]으로 독립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이라크의 역사)] [include(틀:위임통치)] [include(틀:대영제국의 식민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이라크/역사, version=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