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룸 술탄국 술탄)] ---- 루큰 앗 딘 메수트 [[페르시아어]], [[아랍어]] : {{{+1 ركن الدین مسعود }}} [[튀르키예어]] Rukn al-Dīn Mesud ibn Kilij Arslan 재위 1116년 ~ 1156년 [목차] == 개요 == [[룸 술탄국]]의 4대 술탄. 룸 술탄들 중 가장 오래 재위하며 부왕 [[클르츠 아르슬란 1세]] 사후 불안정했던 룸 셀주크를 재차 안정시키고 지역 강국으로 발돋움시켰다. 전략적 능력 역시 뛰어났다. 특히 [[2차 십자군]] 당시 독일, 프랑스 십자군에 연이어 대패를 안기며 짧지만 강한 인상을 남겼다. 또한 [[콘야]]에 셀주크 양식의 건물들을 지어 수도로써의 위엄을 높혔다. == 생애 == [[클르츠 아르슬란 1세]]의 차남으로, 형 멜리크샤가 1116년 [[필로밀리온 전투]]에서 패배하여 [[동로마 제국]]과 굴욕적인 조약을 맺자 ([[알렉시오스 1세]]의 예견대로) 반란을 일으켰다. [[다니슈멘드]]의 도움으로 [[콘야]]를 점령한 그는 멜리크샤를 우선 실명시켰다가 곧 살해하였다. 그후 자신의 즉위를 도와준 다니슈멘드에 칼끝을 돌려 일부 영토를 점령하였다. 비록 1125년 동생 아랍이 콘야를 포위하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요안니스 2세]]에게 망명하기도 했으나 복위에 성공하여 1130년에는 콘야에 알라에딘 모스크 건설을 시작하였다. (완공은 무려 1221년에야 이루어졌다) 1130년대 다니슈멘드에 눌려 있던 그는 1142년 메메드 가지가 사망한 후 동로마와의 공조 하에 평화를 유지하며 지역 강국으로 떠올랐다. === 대십자군 전쟁 === 안정기 동안 세력을 키운 메수드는 [[2차 십자군]]에 대하여 혁혁한 전공을 세웠다. 1146년 10월의 2차 [[도릴라이온 전투]][* 현 [[에스키셰히르]] 인근]와 1147년 1월의 카드무스 산 전투[* 현 [[데니즐리]]의 [[라오디게아]] 인근]에서 각각 독일 국왕 [[콘라트 3세]]와 프랑스 국왕 [[루이 7세]]의 십자군을 괴멸시키는 대승을 올렸다. 1149년 8월에는 이나브 전투로 약화된 [[안티오크]]를 포위했으나, [[누르 앗 딘]]의 개입으로 철수하였다. 다만 이후 누르 앗딘의 딸과 결혼하며 그와 동맹을 맺고 함께 망해가던 [[에데사 백국]]을 분할하기로 하였다. 1151년 메수드, 누르 앗딘, 그리고 [[마르딘]]의 티무르타슈가 함께 에데사 백국을 공격해 각각 라벤델, 아인탑, 사모사타 및 비레칙을 점령하였다. 1156년 메수드는 사망하였고, 아들 [[클르츠 아르슬란 2세]]가 계승하였다. == 기타 == 여담으로 당시 셀주크 술탄 [[기야스 앗 딘 마수드]] (재위 1133 ~ 1152년)와 아랍/페르시아어 이름이 같기에 12세기 서아시아사를 볼 때에 상당히 헷갈린다. 40년에 걸친 긴 치세 동안 군사 원정에 별로 나서지 않고 내치를 우선시했지만, 전투에 나섰다 하면 항상 승리한 편이었던 명장이었다. 특히 2차 십자군 당시 독일과 프랑스 국왕을 연거푸 격파한 것은 중세 시기에 흔하지 않은 전공이었다. 메수드의 딸들 중 하나인 카메로는 [[콤니노스 가문]] 출신의 무슬림 개종자인 요안니스 첼레페스와 결혼하였다. [[분류:십자군 전쟁/관련인물]][[분류:룸 술탄]][[분류:115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