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메이데이 퍼레이드 로고3.png|width=100%]]|| ||[[파일:메이데이 퍼레이드 멤버 사진.jpg|width=100%]]|| ||
'''결성''' || 2005년 [[미국]] [[플로리다]] 탤러해시 || || '''멤버''' || 왼쪽부터 [br]'''제이크 번드릭''' (Jake Bundrick) [br]'''브룩스 벤츠''' (Brooks Betts) [br]'''데릭 샌더스''' (Derek Sanders) [br]'''제레미 렌조''' (Jeremy Lenzo)[br]'''알렉스 가르시아''' (Alex Garcia) || || '''장르''' || 팝 펑크, 이모 팝 || || '''소속''' || Fearless Records || || '''관련 링크''' ||<-3> 트위터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ydayparade, 크기=24)]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maydayparadeband|[[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aydayparad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유튜브[[https://www.youtube.com/c/MaydayParadeBan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공식사이트[[http://maydayparade.com/#home]]|| [목차] == 개요 == 메이데이 퍼레이드는 탤러해시 지역의 두 밴드 Kid Named Chicago와 Defining Moment의 결합으로 탄생한 밴드다. 결합할 당시에 Kid Named Chicago에는 제이슨 랜캐스터(전 멤버)와 알렉스 가르시아, 제이크 번드릭이 있었고 Defining Moment에는 데릭 샌더스, 브룩스 벤츠, 제레미 렌조가 있었다.두 밴드는 따로 활동할 당시 같은 건물에서 연습했는데 그들은 두 밴드가 따로 활동하며 연주하는 것보다 같이 하면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고 그렇게 해서 두 밴드가 결합되었다. 밴드의 이름은 그들의 첫 번째 EP 앨범을 녹음하던 도중에 지었다. == 앨범 == === 정규앨범 === ||<-3>[[파일:크기변환_메이데이 퍼레이드 정규1집 앨범커버.jpg|width=100%]]|| ||<-3> {{{#ffffff '''A Lesson in Romantics (2007)'''}}} || ||[[파일:크기변환_메이데이 퍼레이드 정규2집 앨범커버.jpg|width=100%]]|| || {{{#ffffff '''Anywhere but Here (2009) '''}}} || ||[[파일:크기변환_메이데이 퍼레이드 정규3집 앨범커버.jpg|width=100%]]|| || {{{#ffffff '''Mayday Parade (2011)'''}}} || ||[[파일:크기변환_메이데이 퍼레이드 정규4집 앨범커버.jpg|width=100%]]|| || {{{#ffffff '''Monsters in the Closet (2013)'''}}} || ||[[파일:크기변환_메이데이 퍼레이드 정규5집 앨범 커버.jpg|width=100%]]|| || {{{#ffffff '''Black Lines (2015)'''}}} || === EP앨범 === ||<-3>[[파일:크기변환_첫번째 ep.jpg|width=100%]]|| ||<-3> {{{#ffffff '''Tales Told by Dead Friends (2006)'''}}} || ||<-3>[[파일:크기변환_두번째 ep.jpg|width=100%]]|| ||<-3> {{{#ffffff '''Valdosta (2011)'''}}} || === 싱글 === [[분류:미국의 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