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attachment/메탈기어 G/Metalgearg.jpg]] || || '''제원''' 전고 : 3.10m 전장 : 3.85m 전폭 : 2.07m 탑승원 : 1인 중량 : 18t 최대속도 : 50Km/h 장갑 : 초밤 플레이트+텅스텐 무장 : 12.5mm 기관총, 20mm 기관포 || [[메탈기어 2 솔리드 스네이크]]에 '''설정으로만''' 등장하는 [[메탈기어(메탈기어 시리즈)|메탈기어]]. G는 Gustav의 약자다. 최초의 양산형 [[메탈기어(메탈기어 시리즈)|메탈기어]]지만 설정으로만 등장했고 작중에는 나오지 않는다. 기체 설계는 [[메탈기어 D]]를 바탕으로 [[짐(MS)|간략화한 구조]]라는 모양. 덕분에 핵탑재는 불가능하고 보병지원 및 호위임무를 담당하며, 병사들 사이에서는 'OSTRICH([[타조]])'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원래는 [[메탈기어 2 솔리드 스네이크]]에서 여러 대의 G형과 맞붙는 부분을 넣으려고 했으나, MSX의 성능상 구현이 불가능, 개발 시간의 문제 등으로 인해 이 장면은 삭제되고 설정으로만 존재하는 기체가 되었다. MSX, 특히 MSX2의 그래픽 성능은 움직이는 대형 유닛을 표현하기엔 적합하지 않아서[* MSX2의 비트맵 모드는 느린 CPU와 VDP의 처리 속도에 비해서 데이터 양이 큰 특징이 있어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했을 때 만족스러운 성능을 얻기가 매우 어렵다.] [[메탈기어 TX-55]]의 경우는 가동상태가 아닌 것을 파괴하는 식으로 표현했고 [[메탈기어 D]]는 가동을 하기는 하지만 배경을 모두 없애고서야 움직이는 연출이 가능했을 정도니 여러 대의 메탈기어G가 등장하는 장면은 제 아무리 코나미라고 해도 구현하기 어려웠던 것이 당연했을 것이다. 하지만, 양산형에다 핵무기 미탑재 메탈기어라는 개념[* 개념 자체는 [[스네이크의 복수]]에서 먼저 나오기는 했다. 아무래도 여기서 영향을 받은 듯.]은 [[메탈기어 솔리드 2]]의 [[메탈기어 레이]]를 거쳐[* 후반부엔 레이 떼거리랑 싸우는 부분이 있다.] [[메탈기어 솔리드 4]]에서 [[겟코(메탈기어 시리즈)|겟코]]나, [[메탈기어 솔리드 V 더 팬텀 페인]]의 워커 기어, [[배틀 기어#s-2]] 등으로 좀 더 원형에 가까운 보병 지원용 소형 메탈기어의 모습으로 구현되었다. 특히 워커 기어와 배틀 기어의 경우는 이 메탈기어 G의 설정을 상당부분 재활용해서 만들어졌는데, 디자인 정도를 제외하면 메탈기어 G와 설정이 거의 비슷하다. 심지어 워커 기어의 스네이크 전용 커스텀 버전인 D-워커를 사용하면 받을 수 있는 칭호가 OSTRICH. 이쯤되면 개발진의 의도도 메탈기어 G를 염두에 둔 것이라고 봐도 좋을 듯. [[분류:메탈기어(메탈기어 시리즈)]] [include(틀:포크됨2, title=메탈기어 G, d=2022-07-07 05:4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