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러시 듀얼/드래곤족]][[분류:유희왕/러시 듀얼/퓨전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메테오(유희왕 러시 듀얼))] [목차] == 개요 == [[유희왕 러시 듀얼]]의 최상급 퓨전 몬스터 카드. == 설명 == || [[파일:MeteorBlackDragon-RDB233-JP-OP.png|width=100%]] || [[파일:メテオ・ブラック・ドラゴン(LGP1).jpg|width=100%]]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한글판명칭=메테오 블랙 드래곤, 일어판명칭=メテオ・ブラック・ドラゴン, 영어판명칭=Meteor Black Dragon (미발매), 속성=화염, 레벨=8, 공격력=3500, 수비력=2000, 종족=드래곤족, 소재="붉은 눈의 흑룡" + "메테오 드래곤")] [[메테오 블랙 드래곤]]의 [[유희왕 러시 듀얼]] 버전. [[레전드 카드|레전드 몬스터]]를 소재로 지정하는 최초의 퓨전 몬스터이기도 하다. 상급 몬스터+최상급 몬스터를 소재로 지정하기 때문에 [[퓨전(유희왕 러시 듀얼)|퓨전]]을 사용하는 [[퓨전 소환]]이 매우 버겁다. 기본적으로는 패에서도 소재를 고를 수 있는 [[융합(유희왕 러시 듀얼)|융합]]을 사용하거나, 소재 하나를 묘지에서 고르는 [[드래곤 트라이브 퓨전]]을 사용한 [[퓨전 소환]]을 노려야 할 것이다. 후자의 경우 필드에 [[붉은 눈의 흑룡(유희왕 러시 듀얼)|붉은 눈의 흑룡]], 묘지에 [[메테오 드래곤(유희왕 러시 듀얼)|메테오 드래곤]]을 갖추는 식으로 조건을 채우는 것이 효율적이다. 몬스터 효과는 없지만, 공격력 3500이라는 점만으로도 필드에 꺼낼 전력으로서 부족할 것은 없다. 다만 상술한 퓨전 소환시 드는 수고와 레전드 카드인 [[붉은 눈의 흑룡(유희왕 러시 듀얼)|붉은 눈의 흑룡]]을 투입해야 된다는 점 등의 까다로움이 단점. 소재 양쪽 모두 공유하는 드래곤족 서포트나 일반 몬스터 서포트를 활용해보도록 하자. 8레벨이라 [[하디펜스 미션]], [[CAN:D#JAM:P 세트!|JAM:P 세트!]] 등에 당할 수 있다는 점도 주의. 소재와 능력치 모두 겹치는 [[메테오 블랙 마르스드래곤]]이 자기 효과로 더 높은 타점에 관통 능력까지 얻기는 하지만, 이 카드는 그래도 [[드래곤 트라이브 퓨전]]을 쓰기가 더 쉽고, [[운석룡의 발톱]], [[메테오플레어 퓨전]]의 추가 효과를 쓰기도 쉬운 만큼 차별화는 충분히 가능하다. 둘 중 하나보다는 그냥 둘 다 쓰는 쪽이 좋을 것이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3-03-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LGP1-JP000 | '''[[레전드 각성 팩|レジェンド覚醒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ORR)] || ||<(> 2023-10-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B233-JP001 | [[배틀 팩|バトルパック2023 Vol.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3-06-0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LGP1-KR000 | '''[[레전드 각성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ORR)] || == 관련 카드 == === 퓨전 소재 몬스터 === ==== [[붉은 눈의 흑룡(유희왕 러시 듀얼)|붉은 눈의 흑룡]] ==== ==== [[메테오 드래곤(유희왕 러시 듀얼)|메테오 드래곤]] ==== === 기타 관련 카드 === ==== [[메테오 블랙 마르스드래곤]]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메테오 블랙 드래곤, version=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