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멜라노로사우루스과]] ||<-2><#F60> '''{{{#FFF {{{+1 멜라노로사우루스}}}[br]Melanorosaurus}}}''' || ||<-2> [[파일:멜라노로사우루스.jpg|width=100%]] || ||<#F93> '''학명''' || ''' ''Melanorosaurus readi'' '''[br]Haughton, 1924 || ||<-2><#F96> '''분류''' || ||<#FC6>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FC6>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FC6>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FC6>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Saurischia^^|| ||<#FC6> '''아목''' ||†용각아목^^Sauropodomorpha^^ || ||<#FC6>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멜라노로사우루스과^^Melanorosauridae^^|| ||<#FC6>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멜라노로사우루스속^^''Melanorosaur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 †멜라노로사우루스 레아디(''M. readi'')^^{{{-1 [[모식종]]}}}^^[br]Haughton, 1924 * --†멜라노로사우루스 탄바넨시스(''M. thanbanensis'')--[* 1933년 쥐라기 초기에 발견된 대퇴골 화석에 붙여진 학명으로, 현재 그 화석엔 메로크테노스(Meroktenos)라는 새로운 속명이 생겼다.] || || [[파일:멜라노사우루스복원도.jpg|width=100%]] || || 골격도 || || [[파일:멜라노로사우루스위키백과.jpg|width=10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트라이아스기]] 후기에서부터 [[쥐라기]] 초기 당시까지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된 공룡. 학명의 뜻은 '검은 산의 도마뱀'이다. == 상세 == 학명은 [[그리스어]]로 '검은 산 도마뱀'이라는 뜻을 가진다. 육중한 크기의 멜라노로사우루스는 초식공룡이며 몸 길이 10m~12m 정도이고 몸무게는 약 10t~11t 가량이다. 거대한 몸 때문에 4족보행이 된 것으로 보이며, [[목]]은 매우 길고 [[머리#s-1]]는 30cm 정도의 삼각형의 형태인 두개골이 있어 작다. 원시용각류 중에는 가장 큰 크기라고 전해졌다. 화석은 [[남아프리카]] 예전 트란스케이(Transkei)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최초의 화석은 SAM 3449 및 SAM 3450이 1924년에 발견되었고 온전한 [[두개골]] 화석[* [[파일:멜라두개골.jpg|width=100]]]은 NM QR3314로 2007년에 발견되었다. 이것으로 상악골에는 19개의 [[이빨]]이 있고, 그래서 여기에 검은 산인 '''냐마'''에서 발견되어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하루에 [[숟가락]] 모양처럼 보이는 이빨로 풀이나 이파리의 많은 양을 먹었을 거 같다고 추정된다. 먹고 삼킨 음식물들은 제대로 소화하기 위해 [[위석]][* 용각류의 못처럼 생긴 이빨은 초식동물보다는 육식동물의 것과 비슷해서 씹어먹기 부적합한 구조기 때문이다. 용각류는 본래 육식동물에서 초식동물로 진화한 동물이다.]을 가지고 있었다. 이 음식들은 위장에서 발효가 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