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랑구의 중학교]][[분류:1981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서울특별시 중랑구의 중학교)]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MPANAL.png|width=100%]]}}} || || {{{#ffffff 학교 전경}}} || ||<-3> || ||<-3> {{{+2 {{{#ffffff '''면목중학교'''}}}}}} [br] {{{#ffffff '''面牧中學校'''}}} [br] {{{#ffffff '''MYONMOK MIDDLE SCHOOL'''}}} || ||<-3> [[파일:MMMS_Logo-make2.png|width=17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면목중학교, 너비=100%, 높이=100%)]}}} || ||<-2> {{{#fff '''소재'''}}} || [[서울특별시]] [br] [[중랑구]] [[용마산로]] 70길 37 || ||<-2> {{{#d88300 '''교훈'''}}} || {{{#d88300 '''성실(誠實) · 관용(寬容)'''}}} || ||<|4> {{{#d88300 '''상징'''}}} || {{{#d88300 '''교화'''}}} || [[개나리]] || || {{{#d88300 '''교목'''}}} || [[은행나무]] || ||<|2> {{{#d88300 '''캐릭터'''}}} || 면이 || || 목이 || ||<-2> {{{#ffffff '''개교'''}}} || [[1981년]] [[12월 17일]] || ||<-2> {{{#ffffff '''국가'''}}}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대한민국]] || ||<-2> {{{#ffffff '''성별'''}}} || [[남녀공학]] || ||<-2> {{{#ffffff '''운영형태'''}}} || [[공립]] || ||<-2> {{{#ffffff '''교장'''}}} || 박진석 || ||<-2> {{{#ffffff '''교감'''}}} || 태원경 || ||<-2> {{{#ffffff '''재학생'''}}} || 463명[br](2023학년도) || ||<-2> {{{#ffffff '''교직원'''}}} || 43명[br](2023학년도) || ||<-2> {{{#ffffff '''관할 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br]서울특별시동부교육지원청 || ||<-2> {{{#ffffff '''홈페이지'''}}} || [[http://www.myonmok.ms.kr/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3> || [목차] [clearfix] == 개요 == '''面牧中學校 / Myonmok Middle School'''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위치한 공립중학교이다. 주로 면중초, 면일초, 면목초, 면동초, 면남초의 졸업생들이 많이 온다.[* 이 학교들의 졸업생들 중 절반 정도는 바로 옆 중화중학교에 배정받는다.] ==# 연혁(접혀있는 문단) #== ||<-2> {{{#ffffff '''[[파일:MMMS_LogoW-make.png|width=33]] 학교연혁'''}}} || || [[1980년]] [[12월 17일]] ||학교 설립인가 || || [[1981년]] [[3월 1일]] ||초대 최춘식 교장 취임 || || [[1981년]] [[3월 5일]] ||제1회 신입생 입학식 || || [[1981년]] [[7월 20일]] ||청량 기계공고 임시교사에서 장안3동 353-2로 옮김 || || [[1981년]] [[7월 28일]] ||18개 교실 증축 || || [[1983년]] [[3월 1일]] ||제2대 김강현 교장 취임 || || [[1984년]] [[2월 14일]] ||제1회 졸업식 (1,196명) || || [[1985년]] [[2월 13일]] ||제2회 졸업식 (1,108명) || || [[1986년]] [[2월 13일]] ||제3회 졸업식 (1,105명) || || [[1987년]] [[3월 1일]] ||제3대 김영현 교장 취임 || || [[1988년]] [[2월 12일]] ||제5회 졸업식 (863명) || || [[1989년]] [[8월 21일]] ||면목8동 490번지 현교사 신축 || || [[1990년]] [[2월 14일]] ||제7회 졸업식 (629명) || || [[1990년]] [[12월 17일]] ||동대문구 장안동에서 현 교사로 이전 || || [[1991년]] [[3월 1일]] ||제8회 졸업식 (657명) || || [[1991년]] [[3월 5일]] ||제4대 송병선 교장 취임 || || [[1992년]] [[7월 20일]] ||12개 교실 증축 || || [[1993년]] [[7월 28일]] ||제10회 졸업식 (616명) || || [[1994년]] [[3월 1일]] ||제11회 졸업식 (606명) || || [[1995년]] [[10월 18일]] ||제12회 졸업식 (740명) || || [[1996년]] [[12월 17일]] ||제13회 졸업식 (733명) || || [[1996년]] [[3월 1일]] ||제5대 박왕규 교장 취임 || || [[1997년]] [[7월 20일]] ||1997년도 학교 경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1998년]] [[7월 28일]] ||제15회 졸업식 (670명) || || [[1999년]] [[3월 1일]] ||제16회 졸업식 (592명) 총 졸업생수 12,725 || || [[1999년]] [[10월 18일]] ||제6대 박윤건 교장 취임 || || [[1999년]] [[12월 17일]] ||1999년도 학교 경영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0년]] [[3월 1일]] ||제17회 졸업식 (493명) || || [[2000년]] [[3월 5일]] ||졸업생 총수 : 13218명 (남 : 10,859명, 여 : 2,359명) || || [[2000년]] [[7월 20일]] ||서울시 교육청지정 인성교육선도학교 운영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장표창 || || [[2001년]] [[7월 28일]] ||제18회 졸업식 (512명) (남 : 289명, 여 : 223명) || || [[2001년]] [[3월 1일]] ||학교경영우수학교 교육감표창 || || [[2002년]] [[10월 18일]] ||제19회 졸업식 || || [[2002년]] [[12월 17일]] ||정보 학습관 개관 || || [[2002년]] [[3월 1일]] ||제 7대 엄주용 교장 취임 || || [[2002년]] [[3월 5일]] ||서울시교육청 지정 학생 자치 시범학교 지정·운영(2004. 2. 28까지) || || [[2002년]] [[7월 20일]] ||서울특별시동부교육청 주관 학교평가 우수학교 선정 || || [[2002년]] [[7월 28일]] ||과학교육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 [[2002년]] [[3월 1일]] ||특별활동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3년]] [[10월 18일]] ||제20회 졸업식 (362명 - 총졸업생수 : 14,573명) || || [[2003년]] [[12월 17일]] ||서울특별시교육청 자치활동 시범학교 운영 발표회 개최 || || [[2003년]] [[3월 1일]] ||금연교육실천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3년]] [[3월 5일]] ||교육과정운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4년]] [[7월 20일]] ||제21회 졸업식(418명 - 총졸업생수 : 14,991명) || || [[2004년]] [[7월 28일]] ||제24회 신입생 입학식(13학급) || || [[2004년]] [[3월 1일]] ||제8대 신칠성 교장 취임) || || [[2004년]] [[10월 18일]] ||서울특별시동부교육청 주관 학교평가 우수학교 선정 || || [[2005년]] [[12월 17일]] ||서울교육시책구현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6년]] [[3월 1일]] ||제23회 졸업식(368명 - 전체 졸업생수 : 15,841명) || || [[2006년]] [[7월 20일]] ||제26회 신입생 입학식(12학급) || || [[2006년]] [[7월 28일]] ||환경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6년]] [[3월 1일]] ||동부교육청 학교혁신 평가 최우수학교 선정 || || [[2006년]] [[10월 18일]] ||동부교육청 M&I clean운동 평가 수상 || || [[2007년]] [[12월 17일]] ||제24회 졸업식(440명 - 전체 졸업생수 : 16,281명) || || [[2007년]] [[3월 1일]] ||제9대 민경란 교장 취임 || || [[2007년]] [[3월 5일]] ||서울교육시책구현 학교체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8년]] [[7월 20일]] ||ICT 활용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9년]] [[7월 28일]] ||특별활동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9년]] [[3월 1일]] ||동부교육청 학교홈페이지 관리, 활용 최우수상 표창 || || [[2010년]] [[10월 18일]] ||과학교육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 [[2010년]] [[12월 17일]] ||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 [[2010년]] [[3월 1일]] ||진로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11년]] [[3월 5일]] ||사교육 경감 우수기관 최우수상 교육감 표창 || || [[2011년]] [[7월 20일]] ||동부교육가족 우수활동 교육장 표창 || || [[2011년]] [[7월 28일]] ||동부학생 B to B 인성교육 우수 표창 || || [[2011년]] [[3월 1일]] ||교육과정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11년]] [[10월 18일]] ||교육복지특별지원사업 교육감 표창 || || [[2011년]] [[12월 17일]] ||반부패, 청렴정책 최우수 교육장 표창 || || [[2011년]] [[3월 1일]] ||교육현장 우수사례 홍보 최우수 교육장 표창 || || [[2012년]] [[3월 5일]] ||학교장 경영평가 최우수학교선정 || || [[2013년]] [[7월 20일]] ||흡연예방교육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 [[2013년]] [[7월 28일]] ||평생교육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 [[2013년]] [[3월 1일]] ||에너지수호천사단 우수학교선정 서울특별시장 || || [[2013년]] [[10월 18일]] ||학교홍보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 [[2013년]] [[12월 17일]] ||보건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13년]] [[3월 1일]] ||환경교육 최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14년]] [[7월 28일]] ||제31회 졸업식(337명, 전체졸업생 19,173명) || || [[2014년]] [[3월 1일]] ||2014학년도 신입생 입학식(9학급 274명) || || [[2014년]] [[10월 18일]] ||제11대 이은숙 교장 취임 || || [[2014년]] [[12월 17일]] ||교육감배 학교 스포츠 클럽대회 서울특별시교육감상 수상 || || [[2014년]] [[3월 1일]] ||진로교육실천사례발표회 진로 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14년]] [[3월 5일]] ||초중고학생 자치 법정 우수사례 경연대회 법무부 은상 표창 || || [[2014년]] [[7월 20일]] ||서울시 교육청지정 인성교육 선도학교 운영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장표창 || || [[2014년]] [[7월 28일]] ||초중고 학생자치 법정 우수사례 경연대회 서울검찰청 최우수상표창 || || [[2015년]] [[3월 1일]] ||제32회 졸업식(340명, 전체졸업생 19,514명) || || [[2015년]] [[10월 18일]] ||2015학년도 신입생 입학식(7학급 208명) || || [[2015년]] [[12월 17일]]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15년]] [[3월 1일]] ||제33회 졸업식(318명, 전체졸업생 19,832명) || || [[2016년]] [[3월 5일]] ||2016학년도 신입생 입학식(9학급 236명) || || [[2016년]] [[7월 20일]] ||서울독서교육대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16년]] [[7월 28일]] ||기초학력향상사업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17년]] [[3월 1일]] ||제34회 졸업식(241명, 전체졸업생 20,073명) || || [[2017년]] [[10월 18일]] ||제12대 이미자 교장 취임 || || [[2018년]] [[1월 9일]] ||제35회 졸업식(204명, 전체졸업생 20,277명) || || [[2019년]] [[1월 9일]] ||제36회 졸업식(233명, 전체졸업생 20,510명) || || [[2019년]] [[9월 1일]] ||제13대 강현구 교장 취임 || || [[2020년]] [[9월 1일]] ||제14대 박진석 교장 취임 || || [[2023년]] [[3월 2일]] ||제43회 신입생 입학식(6학급) || == 교훈 및 상징 == === 교가 === [[파일:MMS_Gyoga.png]] === 캐릭터 === [[파일:MyeoniMoki.png|width=500]] ▲학교 캐릭터인 면이와 목이 == 학교 특징 == 학교가 꽤 높은 언덕에 있기에 더 높이 있는 면중초등학교 출신 학생이 아닌 경우는 당황하게 되며, 등교길에 등산을 같이 할 수 있다. 산자락에 위치한 특성 때문인지 별관 쪽에서는 산이 가까운 데에 가끔씩 노루나 토끼, 고양이, 개 같은 동물들이 출현하고 노린재, 벌 같은 곤충들이 들어오는 건 일상이다. 3~4월 달에는 개나리꽃이 피기 때문에 경치가 매우 아름다워진다. 봄에 교내 통행로에 벚꽃이 피어 포토존을 연출해내는데, 이때 사진 찍으려는 학생들로 붐빈다. 양궁부가 존재한다. 양궁부 학생들이 훈련하는 곳이며, 대회에서 메달을 곧잘 따오기에 면목중학교의 자랑거리이기도 하며, 이 영향인지 1학년 체육 수업과정에서 경험하기 쉽지 않은 스포츠인 양궁을 할 수 있다. 또한 급식시간에는 가요를 틀어주는데 방송반에서 신청을 받기에 신곡이나 유행하는 곡들을 틀어준다. 또한 급식실뿐만 아니라 학급 내에 있는 스피커로도 틀어주기에 학생들의 텐션이 높은 날에는 교실, 복도가 노래방이 되기도 한다. 일상인지라 가장 큰 교무실인 1교무실 근처만 아니면 다른 교무실 선생님들도 거의 제재를 안 하시고 수업 들어와서 "00아 노래 잘 부르드라?"라고 칭찬도 해주신다.[* 그렇다고 교무실 안이나 바로 앞에서 외람된 행동은 되도록 하지 말자. 선생님들도 사람이다.] --그러나 요즘은 틀어주지도 않는다.-- 등교 시간에도 가요를 틀어주며[* 등교길 음악 신청이 가능하다.] 시작 멘트와 함께[* 몇 번 듣다보면 어느새 시작 멘트를 따라하고 있다.][* 2022년 이후로 시작 멘트가 없어졌다.] 가요가 나오는데 1달 정도 듣다 보면 항상 같은 곡 여러 개가 순서만 바꿔서 나온다. 학생들은 학교 올라오는데 기운 빠진다고 싫어하기도 한다. --코로나의 여파로 2020년 이후부턴 시행하지 않았으나 2022년 이후로 다시 시행하고있다.-- 정규 수업시간에 SC 시간이 있는데 스포츠클럽 시간으로 학년 초 원하는 곳을 선택하여 주에 한 번 활동한다. 종목은 축구, 농구, 양궁, 탁구, 배드민턴이 있으며 양궁를 제외하고는[* 학교에서 양궁부를 운영하고 양궁 선수들을 배출하기에 없어지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종목이 없어지는 경우도 있고 새로 생기는 경우가 있다. 실내화 착용이 원칙이며 없을 시에는 벌점이 부과되나, 제1 교무실을 제외한 각 학년 교무실에서 실내화를 500원를 내고 하루 동안 대여할 수 있다. 급식 지도의 대부분을 선생님이 아닌 학생회가 하는데, 위에 올라가 "00반 들어가! "라고 하며 다른 반 학생들은 안 들리는 뒤쪽까지 친절하게 "야 00반 "이라고 전해주기까지 하는 나름 훈훈한 장면이 연출된다. 주말에도 운동장을 개방한다. == 학교 시설 == 본관, 별관, 급식실, 다울관, 정보센터, 강당으로 나뉘어 있다. 본관은 1~4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별관의 구조가 특이한데, 학교가 산 중턱에 있다 보니 본관 3층과 별관 1층이 같은 층에 있다. 별관은 4층까지 있다. 본관 1층은 보건소, 학부모회의실, 인쇄실, 수위실과 면목중에서 가장 큰 교무실인 제1교무실이 존재한다. 2층은 3학년이 사용하고 4층은 2학년이 사용하며 3층은 2개 학년이 같이 사용하고 각 학년의 교무실이 존재한다. 별관 1층은 진로교육실, 진로실, 상담복지부, 조리실이 존재하고 양궁부실도 같이 있다. 2층부터 4층까지 1학년이 사용하며 각 층의 맨 끝에는 음악실, 기술실[* 목공실이며 기술 수업 실습과정에서 사용한다.], 오케스트라실, 1학년 교무실이 존재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가장 영향력이 큰 교무실인 생활지원부가 별관에 있다. 급식실은 1층은 조리실, 영양사실이고 1학년 1, 2, 3반과 3학년이 쓰는 3층, 1학년 4반부터 2학년이 쓰는 4층으로 나뉘어 있다. 4층 급식실은 출구가 똑같이 4층인 데 비해, 3층 급식실은 2층 3학년 교실 쪽으로 이어져 있다. 급식 순서는 1주일마다 순서대로 바뀌며, 1학년은 윗학년 순서가 모두 끝나야 들어갈 수 있다. 다울관은 2019년 면목중학교가 체육관이 설립되기 이전까지 강당으로 사용하던 곳이었다. 1개 학년이 들어가면 꽉 차는 정도의 크기이며, 체육 수업이나 방과후가 진행된다. 급식실과 같은 건물이며 2층이다. 정보센터는 정문으로 들어와 오른쪽에 보이는 노란색 건물이며 컴퓨터실, 과학정보부, 소강당, 도서관, 무용실, 강의실, 교복실[* 키가 크거나 교복이 찢어져 입지 못하는 경우, 새로 사야 하는 경우등 교복, 체육복을 중고로 싸게 살 수 있는 곳이다. 가격은 2,000원~3,000원이며, 평시에는 잠겨 있으나 별관 생활지원부에 계시는 학교 지킴이 선생님께 말씀드려 구매할 수 있다. 이 또한 [[코로나 19]]로 인해 잠정 폐쇄되었다.] 2019년 2월 20일 한울관이 개공되었다. 안에는 체육부실이 같이 있다. 체육관은 2019학년도 졸업생에게는 애증의 존재라 불리는데, 이유는 이러하다. 학교에서 완공 시기를 2018년 10월로 잡았고 공사는 2018년 5월에 시작되었다. 하지만 일정이 늦어지며 아래 서술된 학교 축제마저 옆 학교인 면목고등학교 체육관을 빌려서 진행했고,[* 이전부터 면목중은 체육관이 전교생을 수용할 체육관이 없었기에 [[면목고등학교]] 체육관을 빌리고 축제 중 오후 일정인 장기자랑을 진행하였다.] 11월 달에는 완공됐다는 소식이 들려 왔으나 안전 검사, 내부 작업이 남아있었고, 많은 학생들은 체육관에서 졸업식을 하길 바랬으나 결국에는 2016학년도 입학생이자 2019학년도 졸업 예정 학생들은 1월 9일 각 학급에서 졸업식을 진행하게 된다. 이후 2월 20일 날 최종적으로 개관하며 19학년도 졸업생들은 한 번도 쓰지 못한 게 되었다.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9월 달에 체육대회가 열리고 10월달에는 학교 축제인 면목 예술제가 열린다. 오전은 각 학급에 있는 부스나 동아리 부스,중고시장,먹거리등을 둘러볼 수 있고, 점심을 먹고[* 이날에는 반별로 안 먹어도 상관없으나 실내화를 신거나 맨발이어야 급식실에 들어갈 수 있다.] 오후에는 체육관에서 다른 학생들이 준비한 공연을 관람한다. [* 2018년도 축제까지는 오후 일정을 면목고 강당을 빌려 사용하였다.] 허나 2020년 이후 [[코로나19]]로 인해 잠정 중단 및 축소되었다. 21년 기준 예술제 당일에 녹화된 영상을 상영시켜준다. == 출신 인물 == * [[강찬용]] * [[김지혜(코미디언)]] * [[오성식(강사)]] * [[이성진(프로게이머)]]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서울 버스 271]]: 용마문화복지센터 * [[서울 버스 320]]: 중화중학교, 면중초등학교 * [[서울 버스 1213]]: 용마문화복지센터 * [[서울 버스 2012]] 중화중학교, 면중초등학교 * [[서울 버스 2013]]: 용마문화복지센터 * [[서울 버스 2212]]: 중화중학교, 면중초등학교 * [[서울 버스 2230]]: 중화중학교, 면중초등학교 * [[서울 버스 중랑02]]: 용마문화복지센터, 중화중학교삼거리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면목고등학교, version=64, paragraph=5.1)] === 철도 === * [[서울 지하철 7호선]] [[사가정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