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랑구의 로)] ||<-2> {{{#fff {{{+2 '''면목천로'''}}}}}} || ||<-2><#007348> '''{{{#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 Myeonmokcheon-ro || || 한자 ||<|2> 面牧川路 || || 간체자 || || 가타카나 || ミョンモクチョン路 || ||<-2><#007348> '''{{{#fff 기점}}}''' || ||<-2>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면목교 || ||<-2><#007348> '''{{{#fff 종점}}}''' || ||<-2>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면목육거리 || ||<-2><#007348> '''{{{#fff 연장}}}''' || ||<-2> 2.56km || ||<-2><#007348> '''{{{#fff 개통}}}''' || ||<-2> 1992년 7월 21일 || ||<-2><#007348> '''{{{#fff 관리}}}''' || ||<-2> [[서울시설공단]] || ||<-2><#007348> '''{{{#fff 왕복 차로 수}}}''' || ||<-2> 6차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면목교에서 [[동일로]]와 분기하여 면목동 면목육거리까지 이어지는 지선 도로. 이 도로 아래로 면목천이라는 하천이 흐르고 있으며, 심한 악취로 민원이 계속 제기되어 83년부터 하천 복개 계획이 세워졌다. 1992년 7월 21일에 도로를 개통하고, 이듬해인 93년 7월 23일에는 면목천길로 명명되었다. [[서울 버스 2016]]이 전구간을 완주하며 이 중 면목두산1차아파트서 상봉시장까지는 이 노선 단독[* 면목두산아파트의 다른 단지 및 홈플러스면목점 후문은 [[서울 버스 262|262번]]도 경유한다.]이다. == 면목천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하천)] [include(틀:중랑천의 지류)] ||<-2> {{{#fff '''{{{-1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height=17]] 서울특별시 지방하천}}}[br]{{{+2 면목천}}}'''[br][[面|{{{#fff 面}}}]][[牧|{{{#fff 牧}}}]][[川|{{{#fff 川}}}]] | Myeonmokcheon Riv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면목천.jpg|width=100%]]}}} || || '''위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br]└[[서울특별시]] || || '''수계''' ||[[한강/수계|한강수계]] * 중랑천 종속수계 || || '''발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망우역사문화공원|망우산]] || || '''합수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면목교 || || '''유출''' ||[[중랑천]] || || '''길이''' ||1.9km || || '''유역면적''' ||6.76km² || || '''유량''' || || || '''하천코드''' ||1025260 ||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망우산]]에서 발원하여 [[면목동]] 면목교에서 [[중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이 도로의 명칭은 예전에 [[망우동]]에서 발원하여 면목동 홈플러스 자리에서 [[중랑천]]과 합류하던 면목천에서 따왔다. 지도를 보면 면목천로의 방향이 매우 이상한데, 면목동의 다른 도로들은 모두 남북, 또는 동서 방향으로 나 있는데 면목천로만 동북 방향에서 남서 방향으로 나 있다. 그 이유는 이 도로가 면목천을 복개해서 만든 도로기 때문이다. === 역사 === 옛 면목천은 청계천 판자촌과 마찬가지로 물길을 따라 수많은 무허가 판자촌이 난립하던 곳이었는데, 이와 맞물려 면목동 곳곳에서 흘러드는 생활폐수와 공장폐수 때문에 심각하게 오염되어 악취가 났기 때문에 면목동의 고질적인 문제가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면목동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83년부터 면목천에 자리잡은 무허가 건물을 헐고 복개공사를 시작하였다. 92년 복개공사가 완료되어 93년에는 도로가 개통되었고, 그 주변으로 택지를 조성하여 현재 면목천로를 따라 아파트가 들어서게 되었다. === 유로 === 망우산에서 내려온 면목천의 물줄기는 망우로87길을 따라 흐르다가 [[송곡고등학교]] 운동장 지하를 지나 [[중앙선]] 선로 아래 난 송림길을 따라 흐른다. 이후 망우로60길을 지나고, [[상봉터미널]] 지하를 지난 다음, 봉우재로33길 아래로 흐르다 면목천로 아래로 흐른다. 면목천의 하구는 면목교 아래에서 볼 수 있다. 지금은 물이 말라버렸는지 그냥 거대한 던전이 되어버렸다. 겨울에는 꽁꽁 얼은 빙판이되어 안으로들어가면 기다란 통로가 보인다. 2002년 복개구조물 보수공사를 한 표식도 있으며 흙에 비둘기 발자국과 사람 발자국도 많이 찍혀 있고, 외진 곳이라 그런지 소리를 내지 않으면 옆에 지나가는 사람들조차 누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 가끔씩 급한 볼 일을 해결하려는 사람들도 종종 보인다. 면목동 주민들 중에서도 40년 이상 살지 않은 주민들은 면목천이라는 하천이 있었는지조차 모른다. 다만 면목천로라는 도로명으로만 알 수 있을 뿐이다. 면목천로가 끝나는 지점인 면목육거리보다 발원지가 훨씬 북쪽에 있어서 면목동 북부, 망우동 동부 주택가 지하도 흐르지만 아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 기타 === 2011년에 잠시 복원계획이 나오기는 했지만 현재는 일단 감감무소식인 상태다. 상봉재정비촉진지구 안에 면목천 자리를 공원 부지로 지정한 것을 보면 일단 장기계획으로 미뤄놓은 상태인 듯. [[분류:중랑구의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