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박씨]] [목차] == 개요 == [[면성 박씨]](綿城 朴氏)는 [[전라남도]] [[무안군]](옛이름 면성)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무안 박씨]](務安 朴氏)라고도 한다. 면성(綿城) 박씨는 본관 면성 박씨(綿城 朴氏)와 본관 [[무안 박씨]](務安 朴氏)의 족보를 통칭하여 [[무안 박씨]](務安 朴氏)로 불리며, 가족관계부상에서는 면성(綿城) 박씨와 무안(務安) 박씨가 구분되어 있다. [[무안 박씨]]는 8박[* 밀양, 반남, 함양, 순천, 무안, 죽산, 고령, 충주의 박씨 8본] 중 5번째 자리를 차지한다. == 중시조 == 면성(무안) 박씨(綿城 朴氏)의 시조인 박진승(朴進昇)은 [[박혁거세]](朴赫居世)의 34세손으로, 신라 제54대 [[경명왕]]의 여섯째 아들인 완산대군(完山大君) 박언화(朴彦華)의 5세손이다. 박진승(朴進昇)은 고려조(高麗朝)에서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국자좨주(國子祭酒)를 지냈으며 국속을 기자8조로 교화한 공(功)을 세워 무안(務安)을 식읍(食邑)으로 하사(下賜)받았다. 박진승의 아들 [[박섬]](朴暹)이 남행(南行)하는 현종(顯宗)을 호종(扈從)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으로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올랐으며, 1052년(문종 6) 공신각상에 도형(圖形)되었다. 박문오(朴文晤)는 박섬의 5대손으로 충렬왕 때 정승(政丞)이었으며, 홍건적을 토평한 공으로 면성(지금의 무안)부원군(綿城府院君)에 봉해져, 그 자손을 [[면성 박씨]](綿城 朴氏)라 하였다. 자손이 한산·장단·지평·함양·개부·노성·무안·군수공·경파·우후공·첨사공·적성·해남·진도·영암·음죽·영해·양주·공주파이다. 박문오(朴文晤)의 아우, 호부상서 박문정(朴文正)은 팔만대장경 창제 공신으로 자손은 홍산·당진파이며, 박문오(朴文晤)의 형 박문연(朴文衍)의 자손은 개성파이다. [[면성 박씨]](綿城 朴氏)는 본관 [[면성 박씨]](綿城 朴氏)와 본관 [[무안 박씨]](務安 朴氏)의 족보를 통칭하여 [[무안 박씨]](務安 朴氏)로 불리며, 조선시대 25명의 문과급제자, 63명의 무과급제자, 사마시(진사)급제자 58명을 배출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C%B4%EC%95%88_%EB%B0%95%EC%94%A8|출처]] == 인구 == [[통계청]] "2015 인구주택총조사"의 우리나라 성씨본관별 인구 현황에 따르면, [[면성 박씨]](綿城 朴氏)는 7,666명이고, [[무안 박씨]](務安 朴氏)는 90,785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