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고려 왕후)] [include(틀:역대 고려 왕태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고려 숙종의 왕후[br]{{{+1 명의왕후 | 明懿太后}}}'''}}}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고려 예종의 모후[br]{{{+1 명의왕태후 | 明懿王太后}}}'''}}} || ||<|2> '''출생''' ||연대 미상 || ||[[고려]] [[개성시|개경 개성부]] 정주[br](現 [[경기도]] [[개풍군]]) || ||<|2> '''사망''' ||[[1112년]] [[8월 8일]] || ||[[고려]] [[개성시|개경 개성부]] 신박사[br](現 [[경기도]] [[개성시]]) || || '''능묘''' ||[[숭릉]](崇陵) || ||<|4> '''재위기간''' ||'''{{{#670000 고려 왕후}}}''' || ||[[1099년]] [[3월 26일]] ~ [[1105년]] [[11월 10일]] || ||'''{{{#670000 고려 왕태후}}}''' || ||[[1105년]] [[11월 10일]] ~ [[1112년]] [[8월 8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류(성씨)|정주 류씨]] || || '''부모''' ||부친 [[류홍(고려)|광숙공 류홍]] (匡肅公 柳洪)[br]모친 낙랑국대부인 [[경주 김씨]][* [[김원황]]의 장녀] (樂浪國大夫人 慶州 金氏) || || '''형제자매''' ||{{{#!folding 1남 4녀 중 장녀 [ 펼치기 · 접기 ] [[류인저]](流仁著) [[명의왕후]] 하원군군(河源郡君)[* [[파평 윤씨]] [[윤관]]의 3남 윤언식(尹彦植)의 부인 ] 정주 류씨[* [[강릉 김씨]] [[김상기(고려)|김상기]]의 차남 김고(金沽)의 부인] 정주 류씨}}} || || '''배우자''' ||[[숙종(고려)|숙종]] || || '''자녀''' ||{{{#!folding 7남 4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예종(고려)|예종]] 차남 - [[상당후|상당후 왕필]](王佖) 3남 - [[징엄|원명국사 징엄]](澄儼) 4남 - [[왕보(대방공)|대방공 왕보]](王俌) 5남 - [[대원공]] 왕여 → 왕효(王侾) 6남 - [[왕서(제안공)|제안공 왕서]](王偦) 7남 - [[통의후|통의후 왕교]](王僑) 장녀 - [[대령궁주]](大寧宮主) 차녀 - [[흥수궁주]](興壽宮主) 3녀 - [[안수궁주]](安壽宮主) 4녀 - [[복녕궁주]](福寧宮主)}}} || || '''종교''' ||[[불교]] || || '''관저''' ||명복궁(明福宮)[br]→ 천화전(天和殿) 숭명부(崇明府) || || '''작호''' ||명복궁주(明福宮主)[br]→ 연덕궁주(延德宮主) || || '''시호''' ||광혜유가'''명의왕태후'''[br](光惠柔嘉'''明懿王太后''') || || '''절일''' ||지원절(至元節) ||}}}}}}}}} || [목차] [clearfix] == 개요 == [[숙종(고려)|숙종]]의 왕후이자 [[예종(고려)|예종 문효대왕]]의 어머니. [[시호]]는 숙종 明효대왕과 明 자 돌림이다. 고려 정주(貞州)[* 현 대한민국 경기도 개풍군] 출신이며 할아버지는 [[류소]], 아버진 [[문하시중]] [[류홍(고려)|류홍]], 남동생은 [[류인저]]이다. 어머니는 [[경주 김씨]]로 [[김원황]]의 딸이다.[* [[http://portal.nrich.go.kr/kor/ksmUsrView.do?menuIdx=584&ksm_idx=3183|최계방 묘지명]]] 남편과 금슬도 매우 좋아[* 참고로 고려 숙종은 후궁이 없다. 어린 나이에 죽은 왕들을 빼면 고려사에서 '''유일하다'''.] 아들 7명에 딸 4명을 가졌다. == 영광의 태후 == 명의왕후가 궁주였을 때 유명하고 오래된 궁궐을 하사받았는데 [[명복궁]]은 고려 초부터 존재해온 유서 깊은 궁전이고 연덕궁은 [[남궁]]이라고도 불린 유명한 별궁이었다. 이후 숙종 4년인 1099년 3월 2일 왕비(王妃)로 책봉되어 숙종의 왕후로 인정된다. 이후 숙종이 붕어하고 맏아들인 예종이 등극하자 [[황태후]] 존호를 받고 [[만월대|본궐]] 내에 관저 천화전(天和殿)과 산하기관 숭명부(崇明府), [[절일]][* 생일]을 지원절(至元節)로 정하게 된다.[* 동시에 명의왕후의 출신지인 개경 개성부 정주는 개경 승천부(承天府, 昇天府)로 행정단위가 수직 상승한다. 개성부에 예속된 경기 상태에서 부(府)로 따로 분리 된 것이다.] 이후 예종 재위 6년에 사망한다. 시호는 명의왕태후(明懿王太后)이며 손자 [[인종(고려)|인종]]이 유가(柔嘉), 4대손 [[고종(고려)|고종]]이 광혜(光惠)의 시호를 추가로 올렸다. 원찰은 [[천수사]]이다. 명의왕후의 장례에 [[요나라]]에서도 사신을 보내 애도했다. 그런데 당시 고려 조정의 반응이 "임금님, 이웃나라[* 인국(隣國)]가 태후께서 돌아가셨는데 조문하려 와 제사를 지낸 것이 이번이 처음 아닌가요? ''''인국(隣國)''''[* 《고려사》 후비열전 명의태후 원문 기록]이 이런 예(禮)를 보여줬으니 모든 백료(百僚)[* 모든 벼슬아치]들이 축하해야 마땅합니다."라며 은근슬쩍 요나라를 상국(上國)이 아닌 인국(隣國)으로 낮췄다. 명의왕후에 대한 기록은 '최계방의 묘지명'에도 등장하는데, 여기에선 명의대후(明懿大后)로 기록되어 있다. 최계방(崔繼芳)은 [[최사위]]의 증손자로 모친인 낙랑군대부인(樂浪郡大夫人) 김씨와 명의왕후의 어머니인 낙랑국대부인(樂浪國大夫人) 김씨는 자매지간이다. 즉 최계방은 명의왕후와 이종사촌 지간이다. [[분류:고려의 왕비]][[분류:왕대비]][[분류:정주 류씨]][[분류:111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