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명주달팽이}}}[br] korean round Snai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명주달팽이.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Acusta despecta'' '''[br]sowerby, 1839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연체동물문]](Mollusc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복족강]](Gastropoda) || || [[생물 분류 단계#아강|{{{#000 '''아강'''}}}]] ||유폐아강(Pulmonata) || || [[생물 분류 단계#아목|{{{#000 '''목'''}}}]] ||병안목(Stylommatopho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달팽이과(Camaenidae)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속'''}}}]] ||달팽이속(''Acust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종'''}}}]] ||'''명주달팽이(''A. despecta'')'''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반도와 일본 열도에 분포하는 [[달팽이]]의 일종. == 특징 == 한반도 전 지역에 널리 분포하여 서식하는 가장 흔한 [[달팽이]]로 대부분 달팽이를 칭할 때에는 이 종을 가리킨다. 평균 2~3cm정도밖에 안되는 작은 크기를 지닌 달팽이로 비가 오는 날에 밖에 나가서 건물 벽이나 풀잎 등을 유심히 살피다 보면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직접 나가서 만나는 것 외에도 상추나 배추 등을 살 때 종종 이녀석이 딸려들어오기도 한다. 껍데기는 화려하지 않지만 적당히 작은 체구와 어디서나 흔하게 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한국에서 [[아프리카왕달팽이]](식용달팽이)와 더불어 [[반려동물]]로서 가장 많이 키워지는 달팽이이다. 식성이 까다롭지 않고 적응력도 강하여 사육은 어렵지 않다. 먹이는 상추나 오이, 애호박, 당근 등 야채를 주면 잘 먹으며 간간히 패각 건강을 위해 계란껍질가루 등 칼슘식을 제공해주면 된다. [[달팽이/사육]] 참조. 수명은 크게 길지는 않아서 1~2년 정도인데, 환경이 좋으면 3년 정도까지 사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죽으면 비릿한 냄새가 나므로 단순 수면과 구별된다. [[분류:복족강]][[분류:애완동물/연체동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