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수록곡, rd1=冥天・ヘメロカリス)] [include(틀:함경북도의 시군)] {{{+1 明川郡 / Myŏngchŏn County}}} ||<-2> {{{+2 명천군}}} [br] 明川郡 / Myŏngchŏn County || || 국가 || [[북한]] || || 광복 당시 면적 || 2,080㎢ || || 광역시도 || [[함경북도]] || || 광복 당시 행정구역 || 10면 || || 시간대 || UTC+9 || ||<-3><:> [include(틀:지도, 장소=북한 명천군)] || [목차] == 개요 == ||[youtube(lBwSJjby2lo)]|| || 2017년 12월 [[비무장지대|DMZ]]를 통해 탈북한 노철민 씨의 증언 || [[함경북도]]의 군. 면적 600㎢. 함북 [[금강산|금강]]이라는 [[칠보산]]이 있다. == 역사 == === 북한 치하 이전 === 명천이라는 지명은 1469년부터 내려온다. [[이시애의 난]]으로 길주가 길성현으로 강등되면서 명천현이 신설된 것. [[명태]]의 유래가 바로 ‘명’천의 [[태(성씨)|‘태’씨]] [[어부]]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어부가 처음 그 물고기를 잡았는데 무슨 물고기인지 알 수 없어서 사또한테 이름을 물었다. 그러나 그 사또도 처음 본 물고기라 물고기가 잡힌 곳이 명천이고 그 물고기를 처음 잡은 사람의 성이 태 씨이므로 명천의 명과 어부의 태 씨 성을 따서 명태가 된 것이다. 여담으로 [[태영호]] 의원의 아버지의 고향이 바로 함경북도 [[명천군]]이고, [[태영호]]도 유아기를 [[명천군]]에서 보낸 적이 있다. 다만 [[태영호]]는 명천 태씨가 아닌 협계 태씨이다. 두 씨족 모두 [[대조영]]의 후손이긴 하지만. 방랑시인으로 유명한 [[김삿갓]]이 명천에 들른 적이 있다. 하지만 명태의 명성에도 불구하고 생선을 구하지 못하자, 디스성 시를 한수 지어버렸다. 지역명이 [[닉값|이름 값]] 하지 못한다고 조롱해버린 것. 참고로, [[길주군]]도 불길주라는 오명을 들어야했다(...) 항목 참조. > 明川明川不明川 명천명천불명천 > 漁佃漁佃食無魚 어전어전식무어 > 명천 명천 하지만 사람은 밝지 못하고 > 어전[* 아간면에 있는 동(洞)으로 북한 치하 명천군 소재지] 어전 하지만 어느 집 밥상에도 생선은 없구나. 본래 명천군은 지금의 [[명간군]], 명천군, [[화대군]] 일대를 아우르는 큰 군이었다. 광복 직후의 명천군의 넓이가 2,080㎢로 상당히 넓었는데, 이게 어느 정도냐면 현 [[대한민국]]에서 가장 넓은 [[홍천군]]이 1817.96㎢이니 엄청나게 넓은 것[* 그런데도 함경북도 내에서는 [[무산군]], [[경성군]]에 밀려 면적 3위였다(!)]. === 북한 치하 === 광복 당시까지는 명천읍이나 명천면이 없었다. 정확히는 실질적으로 명천읍 역할을 하던 곳은 명천동과 명천읍성이 있던 하우면으로, 조선시대부터 1937년까지 군청은 하우면 명천동 지역에 있었다가 이후 [[룡반역|철도역]]이 있는 상우북면 용반동으로 옮겨 갔다. 그런데 군청이 있던 하우면이나 상우북면 지역은 지금은 모두 명간군으로 넘어가버리고, 광복 당시의 10개 면 중에서 북한 행정구역상의 명천군은 2~3개 면에 해당되는 지역(아간면, 상고면. 그리고 상가면 일부)밖에 안 남았다(...) 참고로 북한 행정구역상의 명천읍은 아간면 지역에 있다. 그런데 북한은 이걸 곤충이 머리 가슴 배 가르듯 머리를 [[명간군]]에 떼어주고~~머리가 가장 큰 건 옵션이다~~ 다리를 [[화대군]]에 떼어주면서 가운데 부분만 남게 된 것. 이하에서 설명하겠지만, 명천군은 [[화대군]]과 함께 '''저주받은 교통편'''으로 악명이 높다. 그게 북한 기준이건, [[대한민국]]의 기준이건간에. 길주-명천 지구대를 통과하는 [[철도]] [[평라선]]과 [[도로]] [[7번 국도]]가 '''잘라먹어버리듯이''' 군 서북쪽 끝을 지나가고, 그걸로 땡! 나머지는 모조리 지방도이다. 현 명천읍에는 국도가 통과하지 않으며, 철도도 [[신명천역]]으로 지선 철도이다. [* 군 내에 철도도 국도도 지나지 않는 군은 함북 [[화대군]], 황북 [[연탄군]], 황북 [[린산군]], 평북 [[동창군]]뿐이다.] 이런 지역에 맞먹는 안타까운(...) 교통편을 자랑한다. 그나마 군 동쪽에 [[칠보산]]과 황진온천이 있어서 북한 치하에서도 [[고려투어]] 등의 여행 상품에 외국인 대상 관광지로 포함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청진]], [[회령]] 같은 다른 함경북도의 지역보다 훨씬 외부와 단절된 곳이다. 그래서 한류도 잘 안퍼지고, 이에 따라 사람들이 세뇌도 잘 된 편인 모양이다. 같은 도 출신으로 인플루엔서로 활동하는 청진 출신 [[강나라]] 씨는 북한에서 2010년대 초중반에 염색을 하려다가 걸렸고, USB로 남한 영상물을 보았으며, 부유층이었는지 남한에서 살이 빠졌다고 한다. 2008년에 탈북한 회령 출신 박유성 씨도 남한 영상물로 남한을 배웠다고 한다. 그런데 저 위의 노철민 씨는 2017년 탈북을 했지만 2014~15년경 입대 전까지 남한 영상물을 접해보지 못했다고 한다. 강나라 씨와 같은 도 출신인데도 탈북 직후에는 염색을 한 사람들의 모습을 보고선 우리 민족의 문화가 변질되는 건가하는 오해를 했다고 한다. 부모도 괴뢰군을 무찔러야 한다는 발언을 주로 했다고 한다. == 인근 행정구역 == ||<|3><:><#ffffe0> [[길주군|길]][br][br][[길주군|주]][br][br][[길주군|군]] ||<:><#ffffe0> [[명간군]] ||<|3><:> [[동해|동 해]] || ||<#EEEE99><:> '''명천군''' || ||<#ffffe0><:> [[화대군]] || {{{#f6f6d8 ■}}} [[함경북도]] 소속  == 교통편 == ||<|2><:> 철도 || [[평라선]] || [[명천역]] || || [[고참탄광선]] || [[명천역]]{{{#ffffff }}} [[신명천역]] || ||<:> 도로 || [[7번 국도]] || [[온성군]] - [[명간군]] - 고참리 - [[길주군]] - [[부산광역시]] || 이 지역의 주된 교통은 길주-명천 지구대를 통해 이루어진다. 해변을 통한 교통로는 전혀 발달하지 못했는데, 해변 마을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칠보산의 영향으로 해안지역은 깎아지른 절벽이 많으며, 높은 곳은 수백 m에 달한다. 구글 어스로 이 지역의 해안을 보면 토나올 정도로 길이 굽이굽이 꺾여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터널]]? 바랄 걸 바래야~~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함경북도의 하위행정구역)] ||<-4> '''[[파일: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 휘장.svg|height=15]] [[함경북도|{{{#000000,#dddddd 함경북도}}}]]의 [[|{{{#000000,#dddddd 미수복 행정구역}}}]]'''[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명천군 상징.pn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명천군}}}'''[br]明川郡[br]{{{-1 Myŏngchŏn-gun}}}}}}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함경북도 명천, 너비=100%, 높이=100%)]}}} || ||<-2> '''군청 소재지''' ||<-2> 상우북면 용반동 || ||<-2> '''상위 행정구역''' ||<-2> [[함경북도]] || ||<-2> '''하위 행정구역''' ||<-2> 10[[면]] || ||<-2> '''면적''' ||<-2> 2,080km² || ||<-2> '''인구''' ||<-2> 121,805명[* 1944년 인구총조사] || ||<-2> '''인구밀도''' ||<-2> 58.56/㎢ || [[파일:명천군기.png|width=50%]] [[파일:명천군.jpg]] === 구 명천군 지역 === * '''상우북면'''(上雩北面) * 관할 동 : __용반(龍蟠)__, 부화(富禾), 상아(象牙), 세이(洗耳), 신흥(新興), 웅점(雄店), 웅평(雄坪), 이평(梨坪), 장포(長浦), 중향(中鄕), 하장(下場) * 면사무소와 군청이 용반동에 있었다. 명천군에는 명천면이 없는 대신 상우북면이 중심지 역할을 한다. 원래 상우면(上雩面)이었으나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상우남면과 상우북면으로 분할되었다. 명천군의 서북부 산악지대에자 길주명천지구대의 북쪽 끄트머리에 해당한다. 면소재지가 있는 남동쪽 끄트머리에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룡반역]]이 있다. 사실 면소재지를 제외한 면적의 대부분이 산악지역인데 그곳에는 [[명간 제16호 관리소]]가 있다. * '''상가면'''(上加面) * 관할 동 : __양촌(陽村)__, 낙동(洛東), 북간(北間), 석현(石峴), 수(水), 연덕(淵德), 와현(瓦峴), 용소(龍沼), 자가(自佳), 장덕(長德), 조당(潮塘), 철현(鐵峴), 초장(草長), 판령(板嶺) * '''상고면'''(上古面) * 관할 동 : __중평(仲坪)__, 개심(開心), 내산(內山), 목진(木津), 보촌(寶村), 포상(浦上), 포중(浦中), 포하(浦下), 황진(黃津) * 명천군의 중부 해안지역으로 [[칠보산]]과 [[개심사]]가 있다. 해안 지역이나 칠보산의 산지 지형(해칠보) 때문에 평야가 거의 없어 타 지역과의 교통이 불편한데 해안에 있는 면소재지인 중평동으로 가려면 배를 타고 가든가, [[구절양장|굽이굽이 돌아가는 도로]]를 타고 가든가 해야 한다. 황진동에는 온수평온천이 있다. * '''상우남면'''(上雩南面) * 관할 동 : __고성(高城)__, 규(葵), 내포(內浦), 마전(麻田), 부암(富巖), 상장(上場), 신설(新設), 웅주(雄州), 청룡(靑龍), 측삼(測三) * 명천군의 서부 산악지대이자 길주명천지구대의 북쪽 부분. 기운봉(1168m) 동쪽의 내포동과 웅주동은 상우북면 쪽으로 파고들어가 있는 땅거스러미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면소재지 부근에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내포역]]이 있다. * '''아간면'''(阿間面) * 관할 동 : __황곡(黃谷)__, 거문(巨門), 고참(古站), 노송(老松), 다호(茶湖), 답기(畓機), 독포(讀浦), 만호(萬戶), 배령(背嶺), 사(沙), 신계(新溪), 양정(楊亭), 어전(漁佃), 용암(龍巖), 용호(龍湖), 허의(許儀), 황덕(黃德) * 명천군의 서부 산악지대이자 길주명천지구대의 명천군측 아랫부분. 면의 서쪽에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면소재지와 가까운 고참동에 [[명천역]](구 고참역)이 있다. 명천역에서 지선철도인 [[고참탄광선]]이 분기하며 [[신명천역]]이 있다. 북한 행정구역상 명천군 소재지(어전동). * 바로 서쪽이 [[길주군]] 길주읍이다. * '''하가면'''(下加面) * 관할 동 : __화대(花臺)__, 남산(南山), 둔전(屯田), 둔지(屯地), 사포(泗浦), 성구(聖邱), 양상(梁上), 용포(龍浦), 지명(池明), 천(泉), 평촌(坪村), 포항(浦項) * 명천군의 남부 해안지역이지만 면적이 가장 작다(36.98㎢). 아간면 신대동에서 발원한 화대천이 상가면을 거쳐 이곳에서 동해로 흐른다. 북한 행정구역상 [[화대군]] 소재지. 먼바다에는 작은 섬인 [[양도#s-3|강후이도, 명천양도]]가 있다. * '''하고면'''(下古面) * 관할 동 : __하평(荷坪)__, 교항(橋項), 귀락(貴洛), 대포(大浦), 동호(東湖), 마유(馬乳), 수룡(水龍), 암방(巖坊), 이배(梨培), 정문(旌門), 주의(周儀), 증산(甑山), 창전(倉前), 토원(土垣), 황암(黃巖) * 명천군의 남부 해안지역. [[대포동 미사일|대포동(大浦洞) 미사일]]의 그 대포동이 이곳에 있다. 미사일 발사장으로 알려져 있는 [[무수단]]리 또한 이곳에 있는데, 1958년 동호리와 창전리가 합병되어 신설되었다. 현재는 화대군 소속. * '''하우면'''(下雩面) * 관할 동 : __명천(明川)__, 근(芹), 노(蘆), 명간(明澗), 상월(上月), 석우(石隅), 용전(龍田), 하월(下月), 하평(下坪), 함진(咸鎭) * '명천'이란 이름대로, 명천군의 역사적인 중심지. 명천읍성과 갈마산성이 있다. 상우남면, 상우북면과 같이 길주명천지구대의 북쪽 부분에 해당한다. [[평라선]] 철도가 면의 북서쪽 경계를 스쳐지나가며 관내에 [[상룡전역]]이 있다. [[로동 미사일]]([[화성-7]])의 그 로동(蘆洞)이 이곳에 있다. === 구 경성군 지역 ===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까지 경성군 소속이었다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명천군으로 편입된 지역이다. * '''동면'''(東面) * 관할 동 : __호남(湖南)__, 광암(廣巖), 극(極), 다진(多津), 발하(發河), 삼포(三浦), 수암(壽巖), 양견(良見), 양천(楊川), 용암(龍巖), 장교(長橋), 학암(鶴巖) * 명천군의 북부 해안지역……이지만 칠보산의 북쪽 능선에 막혀 있는 실질월경지다. [[평라선]] 철도가 면의 서부를 지나가며 관내에 [[극동역]], [[조막산역]]이 있다. * '''서면'''(西面) * 관할 동 : __입석(立石)__, 고성(古城), 명남(明南), 백록(白鹿), 산성(山城), 삼청(三淸), 삼향(三鄕), 서삼(西三), 신창(新昌), 양화(良化), 용(龍), 용산(龍山), 우동(雩東), 지경(地境), 평기(坪岐), 호산(虎山) * 명천군의 북부 해안지역……이긴 하지만 이쪽도 마찬가지로 칠보산의 북쪽 능선에 막혀 있는 실질월경지다. [[평라선]] 철도가 면의 북부를 지나며 관내에 [[룡동역]], [[삼향역]](구 영안역)이 있다. 삼향동에는 [[일제강점기]] 때 '나가야스(永安, 영안)'라는 [[일본인]]이 세운 [[질소]][[비료]]공장인 '영안공장'이 있었으며, 이에 이 지역이 아예 '영안'이라 불리기도 했다.[* [[황해도]]([[황해북도]]) [[송림시]]의 옛 이름 겸이포 등과 비슷한 사례다.] 북한 행정구역상 [[명간군]](옛 영안군, 화성군) 소재지. === 행정 구역의 변화 === 기록 순서는 구 시/군 - 구 읍/면 - 현재의 읍/동/리/로동자구 순서. 현 읍/동/리/로동자구의 중심 위치가 어딘지에 따라서 서술하였다. * 구 명천군 지역 * 아간면 * 명천읍 * 독포로동자구 * 용암로동자구 * 고참리 * 다호리 * 마산리 * 만호리 * 사리 * 양정리 * 황곡리 * 상가면 * 낙동리 * 연덕리 * 상고면 * 보촌리 * 포중리 * 포하리 * 황진리 * 명천군에서 타 지역으로 이관된 지역 * 동면 (→ [[명간군]]) * 상가면 (→ [[화대군]]) * 상고면 (→ [[화대군]]) * 서면 (→ [[명간군]]) * 상우남면 (→ [[명간군]]) * 상우북면 (→ [[명간군]]) * 하가면 (→ [[화대군]]) * 하고면 (→ [[화대군]]) * 하우면 (→ [[명간군]]) == 북한 기준 행정구역 == 1읍 2구 13리로 이루어져 있다. ||||<:> 명천군의 행정구역 || ||<:> 읍 || 명천읍 || ||<:> 로동자구 || 독포구{{{#ffffff }}} 룡암구  || ||<:> 리 || 고참리{{{#ffffff }}} 다호리{{{#ffffff }}} 락동리{{{#ffffff }}} 마산리{{{#ffffff }}} 만호리{{{#ffffff }}} 보촌리{{{#ffffff }}} 사리 {{{#ffffff }}} 양정리{{{#ffffff }}}[br] 연덕리{{{#ffffff }}} 포중리{{{#ffffff }}} 포하리{{{#ffffff }}} 황곡리{{{#ffffff }}} 황진리{{{#ffffff }}} || == 관광 == 북한의 명산 중 하나인 [[칠보산]]이 명천군에 있다. == 출신 인물 == * [[리명수]] * [[김창선(북한)]] * [[김백일]][* 정확히는 [[연길]]이 고향이지만, 선조의 고향이 명천군이다.] * [[최홍희]] * [[김연준]] * [[박진홍(독립운동가)|박진홍]] [[분류:함경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