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2952, #142e6c, #172d6c, #e6f3fa, #649fbb, #5f9ab6, #b3bab8, #1d2e61, #1f2c64, #2a2a59, #41296c, #512b6c, #613468)" {{{#ffffff '''''{{{+2 ^^{{{#!html 명탐정}}}^^}}}{{{+5 {{{#!html 코난}}}}}}'' {{{+2 {{{#fff {{{#!html :}}}}}}}}} {{{+2 {{{#!html 100}}}}}}{{{#!html 만 달러의}}} {{{+2 {{{#!html 펜타그램}}}}}}''' {{{#!html (2024)}}}[br]''{{{#!html Detective Conan: The Million-dollar Pentagram}}}''[br]'''{{{#!wiki style="text-shadow: 0 0 6px #000; color: #fff" 名探偵コナン: 100万ドルの[ruby(五稜星, ruby=みちしるべ)]}}}'''}}}}}} || ||<-5>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오릉성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5>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ffffff 명탐정 코난 애니메이션 시리즈 극장판}}}]]''' || ||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 || → ||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 → || [[명탐정 코난 극장판 28기|명탐정 코난 극장판 28기(가제)]] || ||<-5> || || '''장르''' ||<-4>[[애니메이션]], [[추리물|추리]], [[미스터리]], [[서스펜스]], [[모험물|모험]], [[액션]] || || '''원작''' ||<-4>[[아오야마 고쇼]] || || '''감독''' ||<-4>[[나가오카 치카]] || || '''각본''' ||<-4>오쿠라 타카히로(大倉崇裕) || || '''콘티''' ||<-4>[[나가오카 치카]][br][[테라오카 이와오]][br]카나이 지로(金井次朗)[br][[니시자와 스스무]][br]요코야마 카즈키(横山和基) || || '''음악''' ||<-4>[[칸노 유고]]|| || '''주제가''' ||<-4>[[aiko]] - 상사상애 || || '''주연''' ||<-4>[[타카야마 미나미]], [[야마구치 캇페이]], [[야마자키 와카나]], [[M·A·O]], [[코야마 리키야]], [[호리카와 료]], [[미야무라 유코]], [[유키노 사츠키]], [[오노 다이스케]], [[유사 코지]] || || '''캐릭터 디자인''' ||<|2><-4>[[스도 마사토모]] || || '''총작화감독''' || || '''작화감독''' ||<-4>[[테라오카 이와오]], 카나이 지로 등 || || '''이펙트 작화감독''' ||<-4>[[요시야마 유우]] || || '''원화''' ||<-4>카나이 지로, [[테라오카 이와오]], [[호리우치 히로유키]], 카와구치 타카시(川口 隆), [[모리 히사시]], [[나카타니 세이이치]], [[나베시마 오사무]], 토미나가 마리(とみながまり), [[모리타 타케시]], [[시게츠구 소타]], [[요시야마 유우]], [[야마다 유케이]], [[사토 유조]], [[시게하라 카츠야]], [[야노 아츠시]], 아라카와 마사츠구(荒川真嗣), [[사토 토시유키]], 무라나카 히로미(村中博美), 타카이 코이치(高井浩一), [[유우겐 RB]], [[오다시(애니메이터)|오다시]], [[아오야마 고쇼]] 등 || || '''미술 감독''' ||<-4>후쿠시마 코키(福島孝喜)[br]카시무라 아스카(柏村明香) || || '''색채 설계''' ||<-4>니시 카요코(西香代子)[* [[명탐정 코난: 칠흑의 추적자]] 이래로 15년 만에 극장판 색채 설계 직책으로 복귀한다.] || || '''촬영 감독''' ||<-4>니시야마 진(西山仁) || || '''CG 감독''' ||<-4>타카오 슌(高尾 駿)[br]후쿠다 타카히로(福田貴大) || || '''편집''' ||<-4>오카타 테루미츠(岡田輝満) || || '''음향 감독''' ||<-4>우라카미 야스유키(浦上靖之)[br]우라카미 케이코(浦上慶子) || || '''음향 효과''' ||<-4>이시노 타카히사(石野貴久)[br]사토 리오(佐藤理緒) || || '''프로듀서''' ||<-4>콘도 슈호(近藤秀峰)[br]시오구치 타케시(汐口武史)[br]오카타 유헤이(岡田悠平) || || '''애니메이션 제작''' ||<-4>[[TMS 엔터테인먼트]] || || '''제작''' ||<-4>명탐정 코난 [[제작위원회]][br]{{{-3 ([[쇼가쿠칸]], [[요미우리 테레비]], [[닛폰 테레비]], [[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ShoPro]], [[도호]], [[TMS 엔터테인먼트]])}}} || || '''수입사'''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 ENM]] || || '''배급사''' ||<-4>[[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 ENM]] || || '''개봉일''' ||<-4>[[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4년]] [[4월 12일]][* 5년전 개봉했던 괴도키드가 나온 감청의 권과 같은 날짜. 괴도키드의 상징번호인 '1412'번호에 맞춘것으로 추정된다.][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2024년]] [[6월 19일]][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2024년]] [[6월 28일]][br][[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0]] [[2024년]] [[7월]][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4년]] [[7월]] || || '''상영 타입''' ||<-4>[[2차원|2D]] | [[IMAX]] | [[4DX]] | [[MX4D]] | [[Dolby Cinema]] || || '''상영 시간''' ||<-4>111분 (1시간 51분) || || '''월드 박스오피스''' ||<-4>'''$82,660,880''' ^^([[2024년]] [[5월 17일]] 기준)^^ || || '''일본 박스오피스''' ||<-4>'''135.2억 엔''' ^^([[2024년]] [[5월 20일]] 기준)^^[* 코난 극장판 두 번째 100억 엔 돌파, 역대 코난 극장판 일본 흥행 2위.]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4>'''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45b271 상영등급}}}]]''' ||<-4>[[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전체 관람가|[[파일:영륜 G 로고.svg|height=3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 '''관련 사이트''' ||<-4>[[https://www.conan-movie.jp/2024/|[[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onan_movie, 크기=25)] || || '''엠블럼''' ||<-4>[[파일:100만 달러의 오릉성 엠블럼.png|width=60]]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오릉성 일본 Logo.png|width=80%]] || || こういう[ruby(謎解, ruby=かけひ)]きは、得意だろ?[br]'''이런 수수께끼 풀이는, 특기잖아...?''' ついに明かされる、キッドの真実──[br]'''마침내 밝혀지는, 키드의 진실──''' ---- {{{-2 ''캐치프레이즈''}}} ||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명탐정 코난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27번째 극장판. 주요 인물은 [[괴도 키드]]와 [[핫토리 헤이지]], [[토야마 카즈하]]이다. 3기, 10기, 14기에 이어 네 번째로 키드와 헤이지가 동시에 등장하는 극장판이자 처음으로 대면하는 극장판이다.[* [[명탐정 코난: 탐정들의 진혼가]]에서 만나긴 했지만, 당시 키드가 [[하쿠바 사구루]]로 변장 중이었으므로 키드 쪽에서만 일방적으로 헤이지를 만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역대 코난 극장판처럼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의 부분이 존재하는데, '오릉성'의 부분의 발음이 '미치시루베(みちしるべ, 이정표)'이다. 보통 후리가나 부분에는 영단어가 위치했던 것을 생각하면 이례적. 당초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오릉성으로 예상되었던 한국어 제목은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으로 변경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s-10.1|한국 개봉 전 정보]] 문단 참조.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명탐정 코난 100달러의 오릉성 원화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오릉성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 '''원화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2><^|1>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8px -10px -5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 || '''원화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오릉성.jpg|width=100%]]}}} || || '''스페셜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만 달러의 오릉성 4DX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만 달러의 오릉성 IMAX 포스터.jpg|width=100%]]}}} || || '''MX4D 4DX 포스터''' || '''IMAX 포스터''' || ||<-2><^|1>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8px -10px -5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 || '''MX4D 4DX 포스터''' || '''IMAX 포스터''' ||}}}}}}}}}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C6ua9gmShE)]}}} || || {{{#45b271 '''초특보 예고편'''}}}[* 해당 영상은 바로 직전 극장판인 흑철의 어영 일본 9월 상영분부터 쿠키로 삽입되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SI8Dw01_h0)]}}} || || {{{#45b271 '''특보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k8-c9Qvrwk)]}}} || || {{{#45b271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VxqeOQz8Xg)]}}} || || {{{#45b271 '''특별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w1v5_z58Uw)]}}} || || {{{#45b271 '''30초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VzIBHlH7Ec)]}}} || || {{{#45b271 '''메인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wm8v1U2NIg)]}}} || || {{{#45b271 '''공개 직전 예고편'''}}} || ===# 기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p12Xt0VkbA)]}}} || || {{{#45b271 '''TVCM : 티저 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yWGxJj3hYM)]}}} || || {{{#45b271 '''TVCM : 순애 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3PiFRcwhL4)]}}} || || {{{#45b271 '''TVCM : 진실 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TRZVW8HDwg)]}}} || || {{{#45b271 '''WEBCM : 사랑의 예감 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RDPZhCD2ZQ)]}}} || || {{{#45b271 '''WEBCM : 쟁탈 배틀 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1U4_hJ4SF8)]}}} || || {{{#45b271 '''1412 계획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XuzDSmrbpA)]}}} || || {{{#45b271 '''TVCM : 결전 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inbn6mQXLg)]}}} || || {{{#45b271 '''특별 영상 : 교에에에~!! 편'''}}} || == 시놉시스 == {{{#!wiki style="width: 100%; max-width: 800px; margin: 5px -5px 0px 0px; padding: 0px; border: 2px #003360 dashed; border-left: 5px solid #003360" ||{{{#!wiki style="margin: 10px" [[홋카이도]]의 [[하코다테시|하코다테]]에 있는 도검 재벌의 깊은 창고에 괴도 키드로부터의 예고장이 도착한다. 이번에 키드가 노리는 것은, [[막말|막부 말기]]를 살았던 [[신센구미|신선조]] 부장 [[히지카타 토시조]]에 얽힌 일본도라고 한다.[* 일본의 주도권을 두고 [[에도 막부]]와 [[삿쵸 동맹]]의 신정부군이 벌인 [[보신 전쟁]]에서 막부가 신정부군에 항복한 후 히지카타 토시조는 구 막부 잔당들이 홋카이도로 도피해 세운 [[에조 공화국]]에 합류했으나 구 막부 잔당 토벌을 위해 홋카이도까지 추격해 온 [[하코다테 전쟁|신정부군과의 교전]] 끝에 하코다테에서 전사했다.] 빅 쥬얼을 좇는 키드가 어째서 칼을 노리는 걸까...? 한편, 서쪽의 명탐정 핫토리 헤이지와 코난 일행도 하코다테에서 개최되는 검도 대회를 위해 현지를 방문하고 있었으며, 범행 예고 당일, 헤이지가 키드의 변장을 멋지게 알아채고 몰아붙이는데...?! 같은 시각, 가슴에 열십(十)자의 베인 상처가 난 시신이 하코다테 창고 거리에 발견된다. 수사 선상에 떠오른 것은 "죽음의 상인"이라 불리며 아시아 일대에서 무기 상인으로 활동하는 일본계 미국인 남자. 그는 [[제2차 세계 대전|전시]] 군수산업에 깊이 관여했던 오노에 집안 초대 당주가 하코다테 어딘가 숨겼다고 알려진 보물을 찾고 있었다. 그것은 당시 일본의 패색이 짙었던 전황을 뒤집을 정도의 강력한 무기라는 소문도... 그리고 그 보물과 키드가 노리는 칼은 아무래도 관계가 있는 듯하여, 칼을 노리는 키드에게 수수께끼의 "검사"의 그림자가 다가오는데...}}} ---- 시놉시스||}}} == 등장인물 == === 레귤러 등장인물 === 주연이나 비중 있는 인물은 '''볼드체''' 처리. * '''[[에도가와 코난]]''' 役 - [[타카야마 미나미]] / [[김선혜]] * [[쿠도 신이치]] 役 - [[야마구치 캇페이]] /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모리 란]] 役 - [[야마자키 와카나]] / [[이현진(성우)|이현진]] * [[모리 코고로]] 役 - [[코야마 리키야]] / [[이정구]] * '''[[괴도 키드]]''' / '''[[쿠로바 카이토]]''' 役 - [[야마구치 캇페이]] / [[신용우]] * '''[[핫토리 헤이지]]''' 役 - [[호리카와 료]] / [[최재호(성우)|최재호]] * '''[[토야마 카즈하]]''' 役 - [[미야무라 유코]] / [[한신정]] * [[오오카 모미지]] 役 - [[유키노 사츠키]] / [[김새해]] * [[이오리 무가]] 役 - [[오노 다이스케]] / [[김신우]] * [[오키타 소시]] 役 - [[유사 코지]] / [[강성우(성우)|강성우]] * [[나카모리 긴조]] 役 - [[이시이 코지]] / [[설영범]] * [[스즈키 소노코]] 役 - [[마츠이 나오코]] / [[이용신]] * [[아가사 히로시]] 役 - [[오가타 켄이치]] / [[유해무]][* [[황원]] 성우가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흑철의 어영]] 상영 도중인 [[2023년]] [[8월 12일]]에 별세했기 때문에 사실상 이 극장판이 [[아가사 히로시]]를 대역이 아닌 정식으로 맡은 첫 극장판이 될 예정이다.] * [[하이바라 아이]] 役 - [[하야시바라 메구미]] / [[우정신]] * [[코지마 겐타]] 役 - [[타카기 와타루]] / ?[* [[김도희(성우)|김도희]] 성우는 고정이 아닌 [[한인숙]] 성우의 대타다.] * [[츠부라야 미츠히코]] 役 - [[오오타니 이쿠에]] / [[정선혜(성우)|정선혜]] * [[요시다 아유미]] 役 - [[이와이 유키코]] / [[여민정]] * [[명탐정 코난/등장인물#니시무라|니시무라 쿄헤이]] 役 - [[하나다 히카루]] / ? * [[나카모리 아오코]]^^스페셜 게스트^^ 役 - [[M·A·O]][* 2014년판 매직 카이토 1412의 아오코 담당성우로 유지되었다.] / [[여민정]] * [[오니마루 타케시]][* [[YAIBA]] 출신 인물으로 코난에서는 TVA 18기 13~14화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공교롭게도 본작 개봉 얼마 후 [[YAIBA(애니메이션)|YAIBA 리메이크 애니메이션]]의 제작이 발표되었다.]^^스페셜 게스트^^ 役 - [[츠다 켄지로]][* YAIBA 애니메이션에서는 코난에서 핫토리 헤이지를 맡고 있는 [[호리카와 료]]가 담당했었는데, 코난 본편의 검도 대회 에피소드에서 등장했을 당시의 성우가 유지되었다. 본작에서는 히자카타 토시조 역으로도 녹음했다.] / [[이상범(성우)|이상범]] * [[스즈키 시로]][*A 목소리 없이 등장] * [[스즈키 토모코]][*A] * {{{#!folding [ 스포일러 ] * [[쿠도 유사쿠]] 役 - [[타나카 히데유키]] / [[정승욱]] * [[쿠도 유키코]] 役 - [[시마모토 스미]] / [[여민정]] * [[괴도 코르보]] / [[쿠로바 도이치]] 役 - [[이케다 슈이치]] / [[민응식]]}}} === 오리지널 등장인물 === * '''홋카이도 도경''' [[파일:카와조에 요시히사 설정화1.jpg|width=400]] * 카와조에 요시히사 (川添 善久) - CV: [[오오이즈미 요]][* 실제로 홋카이도 출신이다.] {{{-2 (게스트)}}} / ? 홋카이도 도경에 소속된 [[명탐정 코난/등장인물#니시무라|니시무라 쿄헤이]] 경부의 부하 형사. 사건 현장에 지각하거나 경찰차 운전 실수를 하는 등 허당끼 있는 인물. 그러나 하코다테의 전설이나 보물을 노리는 용의자의 속사정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꿰뚫고 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탐정 코난/등장인물, 앵커=카와조에 요시히사)] * '''후쿠시로 일가''' [[파일:후쿠시로 료에이.png|width=100]] * 후쿠시로 료에 (福城 良衛) - CV: [[스고 타카유키]] / ? 고등학교 교사 출신으로, 병을 앓고 은퇴하여 조용히 살고 있다. 몸이 약해 가문 대대로 이어지는 거합의 사범 자리도 히지리에게 맡겼다. 히지카타가 사용했던 검 두 자루를 보유하고 있다. [[파일:후쿠시로 히지리.png|width=100]] * 후쿠시로 히지리 (福城 聖) - CV: [[마츠오카 요시츠구]][* 홋카이도 출신 성우로, 첫 명탐정 코난 시리즈 출연이다.] / ? 후쿠시로 료에의 아들. [[거합도]]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거둔 바 있는 의대생이다. 몸이 약한 아버지를 대신해 사범 자리를 받게 된다. * '''오노에 재벌''' [[파일:오노에 케자부로.png|width=100]] * 오노에 케이자부로 (斧江 圭三郎)[*A] 오노에 가문의 초대 당주로, 타쿠죠의 할아버지. 홋카이도에서 막대한 재산을 쌓다 죽을 때가 되어 보물을 숨겼다고 한다. 작중 이미 사망한 상태. * 오노에 타다유키 (斧江 忠之)[*A] 오노에 가문의 2대 당주로, 케이자부로의 아들이자 타쿠죠의 아버지. 작중 시점 1년 전에 병으로 사망했다. [[파일:오노에 타쿠죠.png|width=100]] * 오노에 타쿠죠 (斧江 拓三) - CV: [[나카 히로시]] / ? 오노에 가문의 3대째이자 현재 당주로, 사업 실패로 선대 당주 케이자부로의 수집품들을 스즈키 재벌에 팔고 있다. * 히사가키 스미토 (久垣 澄人)[*A] 오노에 재벌의 고문 변호사. 예고편에서 가슴이 열십(十)자로 베인 채 살해당한 모습으로 등장한 인물. * '''카도쿠라 주변 인물''' [[파일:브라이언 D. 카도쿠라.png|width=100]] * 브라이언 D. 카도쿠라 (ブライアン・D・カドクラ/Brian D. Kadokura) - CV: [[긴가 반조]][* 아내 [[타카시마 가라]]는 본편에서 [[키사키 에리]]를 맡고 있다.], [[https://www.imdb.com/name/nm10527370/|줄리안 맥팔렌]] {{{-2 (영어 대사)}}} / ? 자선 사업가인 일본계 미국인. 하지만 실체는 아시아에서 암암리에 활동 중인, '죽음의 상인'이라고 불리는 무기 상인이다. 케이자부로가 숨긴 보물을 노리고 있다는 의혹을 받으며, 살인사건의 용의자로서 수사선상에 오른다. * 나쵸 베르가 (ナチョ・ベルガ/Nacho Verga) - CV: [[타케다 코지]] / ? 카도쿠라의 부하. * 아프로 (アフロ/Afro) - CV: [[미야모토 타카히로]] / ? 카도쿠라의 부하. * '''토우쇼우궁''' [[파일:요시나가 미코.png|width=100]] * 요시나가 미코 (吉永 神子) - CV: [[코우노 마리카]] / ? 신사를 지키는 무녀이다. 히지카타 토시조의 검이었던 성룡도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다. 여담으로, 이름인 미코는 무녀의 일본식 발음과도 같다. * '''에도 막부 말기''' [[파일:히지카타 토시조 코난.png|width=100]] * [[히지카타 토시조]] (土方 歳三) - CV: [[츠다 켄지로]][* 본편 에피소드인 [[사랑과 추리의 검도 대회]] 편에서 [[오니마루 타케시]]로 게스트 출연한 적이 있다. [[YAIBA]]에서 오니마루를 맡았던 [[호리카와 료]]가 레귤러 등장인물인 [[핫토리 헤이지]]를 맡은 것은 물론 해당 에피소드에서도 등장했는데도 불구하고 성우가 변경된 것에 작가 [[아오야마 고쇼]]가 언짢음을 표하기도 했지만, 인터뷰를 통해 츠다 켄지로 성우에게 직접 본작에서 히지카타 역을 맡을 것을 부탁했다고 밝혔다.][* 가상의 신선조를 다룬 작품인 [[박앵귀]]에서, 츠다 켄지로는 공교롭게도 이 히지카타 토시조를 연적으로 여기는 오니 [[카자마 치카게]]를 연기한 적이 있었다.] / ? [[신센구미]]의 부장. 1869년 하코다테의 고료가쿠 성을 지키다 전사했다고 전해진다. * 마치다 쇼토쿠 (町田 正徳) - CV: [[카네미츠 노부아키]] / ? 히지카타에게 성룡도를 헌상한 장본인. * 히가시쿠보 에이타츠 (東窪 榮龍)[*A] 막부 말의 대장장이. 케이자부로의 보물과 연관이 있는 칼을 만들었다. ===# 쿠키 등장인물 #=== 다음 극장판의 주연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볼드체''' 처리. * '''[[야마토 칸스케]]''' 役 - [[타카다 유지]] / [[현경수]] * [[모리 코고로]] 役 - [[코야마 리키야]] / [[이정구]] * '''[[모로후시 타카아키]]''' 役 - [[하야미 쇼]] / [[김기흥]] == 줄거리 == == 음악 == === 주제가 === [include(틀: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주제가)] ||<-5>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fff 명탐정 코난 애니메이션 시리즈 극장판}}}]]의 역대 엔딩''' || || 26.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주제가|美しい鰭]][br]{{{-2 아름다운 지느러미}}} || → || 27. ''' [[相思相愛#相思相愛|相思相愛]]'''[br]{{{-2 상사상애}}} || → || 미정 || ||<-2>
'''{{{#45b271 {{{-1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주제가}}}[br]相思相愛[br]상사상애}}}''' || ||<-2> [youtube(VmSNNOTB_FE, width=100%)] || ||<-2> '''{{{#45b271 MV ver.}}}''' || ||<-2> [youtube(xVgcjD4HyHs, width=100%)] || ||<-2> '''{{{#45b271 Full ver.}}}''' || ||<-2> [youtube(qxoxR5KnqUk, width=100%)] || ||<-2> '''{{{#45b271 Special Movie ver.}}}''' || || '''노래''' || [[aiko]] || || '''작사''' ||<|2> AIKO || || '''작곡''' || || '''편곡''' || トオミヨウ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あたしはあなたにはなれない なれない 나는 당신이 될 수 없어, 될 수 없어 ずっと遠くから見てる 見てるだけで 줄곧 멀리서 바라봤어, 바라보는 것만으론 どこかにある地球の 어딘가에 있는 지구의 違う場所で息をして 또 다른 장소에서 숨을 쉬고 どこかにある宇宙で 어딘가에 있는 우주에서 キスをして泣いている 키스하며 울고 있어 楽しい事をあなたと沢山した 즐거운 일을 당신과 수많이 했지 苦しい胸も幸せだったけど 쓰리는 가슴마저 행복이었지만 もう何もかも海の中 이젠 남김없이 바다 속으로 粉々になった言葉も指も全部 산산이 부서진 말도 손가락도 전부 あたしはあなたにはなれない なれない 나는 당신이 될 수 없어, 될 수 없어 ずっと遠くから見てる 見てるだけで 줄곧 멀리서 바라봤어, 바라보는 것만으론 月と目が合って笑う 달과 눈이 마주쳐 웃었어 本当は無い世界に 사실은 없는 세상에 思い切り手を伸ばして 제멋대로 손을 뻗고서 本当は無い暗闇 사실은 없는 어둠에 目を瞑り怯えてる 눈을 감고 겁에 질렸어 次に逢える約束の日だけでいい 다음에 만날 약속의 날만이라도 좋으니 あなたの隣で素直に笑いたい 당신의 곁에서 순수하게 웃고 싶어 二人の夢は秘密だと言える事だけで 우리 둘의 꿈이 비밀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만으로 あたしは生きて来たの 나는 살아왔어 あたしはあなたにはなれない なれない 나는 당신이 될 수 없어, 될 수 없어 心を突き放す想いに暮れるだけで 마음을 밀쳐내는 생각에 잠기는 것만으론 こんな恋をした今を 이런 사랑을 했던 지금을 あたしはあなたにはなれない なれない 나는 당신이 될 수 없어, 될 수 없어 ずっと遠くから見てる 見てるだけで 줄곧 멀리서 바라봤어, 바라보는 것만으론 ||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相思相愛, 문단=2.1)] === 삽입곡 === ||<-2>
'''{{{#45b271 名探偵コナンメインテーマ (100万ドルの五稜星)[br]명탐정 코난 메인 테마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버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apxxMbK8Y8, width=100%)]}}} || ||<-2> '''{{{#45b271 Full ver.}}}''' || || '''작곡''' || 오노 카츠오(大野克夫) || || '''편곡''' || [[칸노 유고]] || ||<-2>
'''{{{#45b271 보너스 트랙[br][[キミがいれば|{{{#45b271 キミがいれば}}}]] (100万ドルの五稜星ヴァージョン)[br]그대가 있다면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버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8lBqJ6_G_L8, width=100%)]}}} || ||<-2> '''{{{#45b271 Full ver.}}}''' || || '''노래''' || 하세가와 다이스케 || || '''작사''' || 타카야나기 렌 || || '''작곡''' || 오노 카츠오 || || '''편곡''' || [[칸노 유고]] || * 그대가 있다면의 경우엔 본편에서는 해당 곡이 나오지 않는다. 본편의 흐름을 생각해 삽입하지 않은 듯. 사운드트랙을 통해 들을 수 있다. == 평가 == 전반적으로 호불호가 심하게 나타난다. 근년 개봉했던 전작들이 호평을 받았었던 바 있으나, 스토리의 방향성이나 작화 스타일이 그와는 상이해진 탓에 같은 느낌을 기대하고 관람한 관객들로부터는 아쉬운 평가를 받았다. 본작과 같이 [[나가오카 치카]] 감독 작품인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에서 보여졌던 단점들이 그대로 이어졌지만, 주제의 일관성이나 캐릭터 비중 분배 면에서 감청의 권에 비해서는 발전한 지점도 있다. 감독의 전작부터 이어진 미형의 남자 캐릭터들만 부각하는 연출[* 히로인 포지션의 [[토야마 카즈하]]는 유의미한 활약 없이 [[핫토리 헤이지]]와 오리지널 캐릭터 후쿠시로 히지리의 대립을 위한 도구로 소모되었다.]이나 현실성을 무시한 액션[* 특히 코난이 케이블카 줄 위에서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장면과, 비행 중인 세스나 위에서 핫토리와 히지리가 결투를 벌이는 장면은 비판점으로 자주 거론된다.]에 대해서는 비판이 있으면서도, 특유의 빠른 페이스로 진행되는 전개는 호평받기도 했다. 때문인지 엉망이어도 희한하게 재미는 있다는, 킬링 타임으로 가볍게 보기에는 좋은 영화라는 평가도 있다. 보물을 찾는 과정을 중심으로 추리 요소가 등장해 근래의 작품들 중에서는 추리의 비중이 높은 편에 속한다. 감청의 권보다는 [[명탐정 코난: 미궁의 십자로]]에 가까운 작품이었다는 평도 있다. 여전히 아쉬운 비중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메인 플롯에서 추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한 것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작화 면에서는 일관적으로 비판이 많다. 본작은 이펙트 작화감독을 담당한 [[요시야마 유우]]의 인맥으로[* 이전까지 코난의 이펙트 작화감독을 하던 [[하시모토 타카시(애니메이터)|하시모토 타카시]]는 암과 정신질환을 이유로 은퇴하였다.] [[카나다 요시노리|카나다계 애니메이터]], [[WEB계 애니메이터]]처럼 기존에 코난을 담당하지 않았던, 특이한 작화를 전문으로 하는 액션 애니메이터를 다수 기용했다. 이 때문에 뭉개진 그림이 많아서 작화가 이게 뭐냐고 반응하는 관객들도 있을 정도. 다만 뭉개진 작화와 별개로 역동적인 액션만큼은 뛰어난 WEB계의 특성상, 액션 연출의 완성도는 발전한 편이다. 한편으로 눈에 띄게 그 수가 증가한 [[아오야마 고쇼]]의 원화 장면들은 볼거리를 제공한다. [[오오카 모미지]]가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 이후 7년 만에 극장판에 출연하고,[* 하지만 비중은 홋카이도 명소 홍보 용도 이상으로 할애되지 못했다.] 키드의 소꿉친구인 [[나카모리 아오코]]가 오랜만에 모습을 비춤과 더불어 극장판에는 처음으로 등장하는 등, 원작 팬이라면 반가울만한 얼굴들이 다수 등장하는 부분은 호평을 받았다. [[YAIBA]] 출신 캐릭터들인 [[오키타 소시]]와 [[오니마루 타케시]]도 본작을 통해 처음으로 스크린에 올랐다. 일본 실관람객들의 평가도 별점이 1점과 5점 양쪽으로 쏠리는 등, 호불호가 갈리는 양상을 보인다. 아직 본작이 국내에서 개봉하지 않은 만큼 구체적인 평가는 국내 개봉 후를 지켜보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작의 쿠키 영상을 통해 공개된 설정에 관한 내용이 길어져, 작품 자체에 대한 평가와 별도의 문단으로 분리하였다. '''중대 스포일러가 포함되어있으니 열람에 주의할 것.''' ===# 쿠키 영상 반전 관련 #=== 팬들을 분노하게 만든 문제의 설정은 여러 가지로 혹평이 우세하다. '''[[쿠도 유사쿠]]와 [[쿠로바 도이치]]는 쌍둥이 형제였다.''' 도이치 쪽이 형, 유사쿠 쪽이 동생. 원래는 유사쿠의 성도 쿠로바였지만, 두 형제의 부모가 이혼하게 되며 부친 쪽이 도이치를, 모친 쪽이 유사쿠를 양육하게 되어 어머니의 결혼 전 성을 따르게 된 유사쿠는 쿠도라는 성을 얻게 된 것이다. 두 형제가 헤어진 것은 매우 어릴 적의 일로, 유사쿠와 도이치는 20년 이상 만나지 않았지만 현재까지도 문자를 주고받으며 연락 중이다. 즉, '''유사쿠는 도이치가 죽지 않은 것을 알고 있다.''' 둘의 연락은 문자로만 그치지 않고, 도이치가 괴도로서 훔친 도검을 유사쿠에게 선물로 주기도 했다. 절도품이라는 것을 아는지 모르는지 유사쿠는 도이치의 선물을 집에 장식하는 모습도 보인다. 8년 전 마술 공연 중 사고사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사실은 죽은 척을 하며 살고 있었다는 전말을 아는 것으로 보건대, 유사쿠는 자신의 쌍둥이 형이 8년 전 모습을 감추었던 1대 [[괴도 키드]]였다는 사실까지도 알고 있다고 보는 편이 타당하다. 더불어 [[괴도 코르보]]가 도이치라는 추측도 사실로 드러났다. 이러한 전개로, 도이치는 경찰에 인맥도 많고, 지능도 높은 동생을 두어 아들 [[쿠로바 카이토]]를 올바른 길로 이끌 여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생존을 속이고 아들이 범죄자가 될 때까지 방임한 것이 되어버렸다. 유사쿠 또한 조카가 2대 키드를 자처했다는 것을 모른다고 보기 어려움에도 카이토가 범죄자가 되는 것을 방관하고 '누명을 벗겨준 것에 감사하다면 제 소설을 구매해주시길'이라며 아무렇지 않다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었다. [[쿠로바 치카게]]는 미드나이트 크로우 에피소드에서 또 한 명의 괴도 코르보로 변장했었다고 추정되는데, 이 경우 남편의 생존을 알고도 아들에게 숨기며 범죄자가 되는 것을 부추긴 것은 물론, 아버지가 죽은 줄로만 알고 심란한 카이토를 두고 진상을 알고 있는 본인은 훌쩍 라스베이거스로 떠나 나카모리 부녀에게 사실상 카이토를 떠맡긴 것이다. 도이치는 본작에서도 처음부터 [[명탐정 코난/등장인물#카와조에 요시히사|카와조에 요시히사]]로 변장하여 잠입해서 [[에도가와 코난]]과 [[핫토리 헤이지]]에게 사건 해결을 위한 떡밥을 흘려준다. 그런데 애초에 도이치는 케이자부로의 보물이 무엇인지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진범에게 밝혔다면 보물을 노리는 다른 이들에 의한 난동은 있었을지언정 살인을 포함한 작중 대부분의 사건이 일어나지도 않았다. 카이토와 헤이지는 그 진범이 일으키는 사건에 휘말려서 서로 타이밍 좋게 한 번씩 구해주지 않았다면 칼 맞거나 추락사했을 것이고, [[나카모리 긴조]]는 두 번이나 저격당하는 중상을 입기까지 했으며 그 모습을 본 카이토는 아버지 죽음에 대한 트라우마가 상기된 것인지 한참을 상심하여 있었다.[* 그나마 코난만 한 번 구해줬다.] 유사쿠는 오랫동안 도이치와 직접 만나지 않았다지만 괴도 키드가 자신의 쌍둥이 형임을 눈치채고도 모르는 척 경찰에 알리지 않고서 현장에서 대결하기를 즐겨왔다. 친족끼리는 범인은닉죄 처벌을 받지 않지만, 그 도이치가 보낸 절도품을 그대로 집에 장식하는 행각에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이 정도면 유사쿠도 공범자가 아니냐'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 결혼 생활 20년이 다 되어가도록 자신에게 쌍둥이 형이 있다는 사실도, 신이치에게 사촌이 있다는 사실도 일절 함구해오는가 하면, 아내가 그 형에게 변장을 배우고 있다는 것을 알고도 10년이나 지나서야 '말 안 했던가?'하며 그것이 자신의 쌍둥이 형이었다는 것을 밝히는 등 앞뒤가 맞지 않는 행각을 보인다. 속사정을 몰랐다지만 경찰의 총을 낚아채 사촌 동생을 향해 실탄을 발포하고, 자세한 내막도 가르쳐주지 않은 채 어련히 알아서 잘 빠져나갈 것이라는 생각으로 사촌 동생을 범죄 조직의 앞에 미끼로 던져놓기까지 한 [[쿠도 신이치]]의 행동도 우스갯소리지만 패륜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짧은 쿠키 영상의 내용만으로 쿠로바 부부는 아동 학대 가해자가 되었고, 유사쿠는 범죄자를 잡는 시늉만 하며 뒤로는 그 범죄자가 보내온 장물을 챙기고 있었던 위선자가 되었다. 카이토는 반쯤 농담이던 아동 학대 피해자라는 소리가 진짜가 되어버린 셈. 물론 신이치와 카이토가 친척일 것이라는 추측은 이전부터 있어왔다. 하지만 도이치와 유사쿠의 대결 구도상 모계 쪽 친척일 것이라는 의견도 많았고, 친척이더라도 사촌 정도나 되는 가까운 친척일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한 사람이 많았다. 더군다나 하필 사촌인 것은, 주요 인물들을 가족 관계로 엮는 과정에서 애절한 러브 라인으로 기억되던 [[아카이 슈이치]]와 [[미야노 아케미]] 커플을 사촌 근친 관계로 만들어버렸던 사례를 상기시키기도 한다.[* 공교롭게도 도이치가 죽음을 위장하고도 자신의 생존 사실을 알고 있는 남동생 유사쿠와는 연락을 이어온 것처럼, 현재 아카이도 죽음을 위장하고 자신의 생존 사실을 알고 있는 남동생 [[하네다 슈키치]]에게만 연락하고 있는 상황이다.] 등장하는 대부분의 커플이 소꿉친구 출신이라는 러브 라인 패턴 일관화에 독자들이 지친 상황에서, 이미 한 번 많은 비판을 받았던 바 있는 주요 인물 둘을 사촌으로 엮는 서사 처리 방식을 되풀이한 것에 부정적인 평가가 주류가 된 것으로 보여진다. 뿐만 아니라 유사쿠가 도이치가 키드라는 것과 생존한 상태라는 것을 알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는 본격적으로 대두된다. [[하쿠바 사구루]]는 카이토가 아니라 키드로서 체포하겠다는 신념이라도 있었고, 현실적으로도 증거 부족으로 카이토 상태에서 체포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당장 카이토의 체포를 주장하지 않는 것을 납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전 세대의 라이벌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던 유사쿠와 1대 키드의 대결은 진심으로 잡으려는 행위보다는 유희에 가까운 것처럼 보이게 되었고, 나아가 높은 지적 능력만큼이나 절대 선에 가까운 인물로 받아들여졌던 주인공의 아버지가 범죄자 방관에, 나아가 절도품을 집에 장식하는 행적마저 보임으로서 유사쿠의 캐릭터성도 상당히 훼손되게 되었다.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31474158/|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24년]] [[4월 12일]] || '''$82,660,880''' || '''[[2024년]] [[5월 17일]]'''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캐나다, 출력=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2024년]] [[4월 12일]] || $82,660,880 || [[2024년]] [[5월 17일]] || === 대한민국 === === 일본 === [include(틀:역대 일본 극장판 애니메이션 흥행 순위)] ||<-5>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2024년 14주차 ||<|2> → || '''2024년 15주차~20주차''' ||<|2> → || 2024년 19주차 || || [[이상한 집(영화)|이상한 집]] || {{{#bc002d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 미정 || ||<-5> [[http://www.kogyotsushin.com/archives/weekend/|흥행통신]] [[https://www.boxofficemojo.com/weekend/by-year/?area=JP|박스오피스 모조]]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WeekendForeignBoxOfficeList.do|KOBIS]] || 개봉한 지 2주 만에 70억엔, 그리고 3주 만에 무려 '''100억 엔을 돌파'''하는 대흥행을 보여주고 있다. 나아가 올해 일본 박스오피스 흥행 1위를 차지할 가능성도 다분히 커 보이는 상황. 항간에는 역대 일본 박스오피스 TOP 10에 진입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시리즈 흥행 수익 1위를 차지한 바 있는 전작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에 비해서도 높은 초반 흥행 성적을 보인다. 더불어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의 영향으로 관객이 분산되었던 작년에 비해 올해는 유의미한 경쟁작의 부재로 후반 주차의 기대 성적도 더 높은 상황이다.[* [[극장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은 100억 엔 돌파 이후 본 영화로 관객 증가 폭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그 이상의 대기록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folding[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024년 15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첫 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folding[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2024년 16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2주차에 박스오피스 1위를 지켰으며, 70억엔을 돌파했다. ||{{{#!folding[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2024년 17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 개봉 3주차에도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였으며, 100억 엔을 돌파하며 기존 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리즈 수익 2위였던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의 최종 흥행 성적을 앞질렀다. ||{{{#!folding[ 개봉 4주차 순위 ] [[파일:2024년 18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4주차에도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였다. ||{{{#!folding[ 개봉 5주차 순위 ] [[파일:2024년 19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5주차에도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였으며, 흥행 수익이 130억 엔대에 돌입하여 기존 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리즈 수익 1위였던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의 성적 추월을 목전에 두게 되었다. ||{{{#!folding[ 개봉 6주차 순위 ] [[파일:2024년 20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6주차에도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였다. == 한국 개봉 == === 개봉 전 === * CJ ENM 2024 커머스사업 IP 쇼케이스에서 수입 사실을 알렸다. 2024년 중 개봉 예정이다. [[https://blog.naver.com/ilovecharacterblog/223282303673|#]] * 더빙판으로 개봉할 경우 [[여민정]] 성우는 [[요시다 아유미|한아름]], [[나카모리 아오코|임청아]], [[쿠도 유키코|이하연]]을 모두 담당하여 1인 3역을 하게 된다. * [[투니버스]]의 [[명탐정 코난 vs. 괴도 키드]] 광고 방송을 통해 2024년 7월 개봉으로 확정되었으며, 한국어 제목은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오릉성에서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으로 변경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 기존 제목인 명탐정 코난: 업화의 해바라기에서 '업화'가 비직관적인 불교 용어임을 이유로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로 변경되었다.]에 이어 두 번째로 제목이 변경된 케이스.[* 전작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은 별도의 제목 변경 없이 수입했는데, 작품에 참여한 성우들조차 제목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가 하면, 언론 보도에서도 '명탐정 코난: 흑철의 [[여왕]]'이라고 잘못 내보내는 해프닝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오릉성이 한국에서 익숙치 않은 단어이니만큼 이와 같은 제목 변경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동일한 의미를 가진 한자 단어인 [[오각성]] 등으로 번역하는 편이 나았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토로하는 의견도 있다.] === 개봉 후 === === 특전 및 프로모션 === == 기타 == === 개봉 전 === ''' 개봉 전 시점 작성된 문단으로, 개봉 이후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된 내용들이 있으니 열람 시 주의할 것.''' *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부터 홀수 번째 작품의 각본을 담당하는 오쿠라 타카히로가 각본을,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부터 음악 감독을 이어받은 칸노 유고가 음악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 26기도 개봉하지 않은 상황에서 2023 말하기 DAY에서 극장판 27기의 등장인물에 관한 답변이 나왔다. 해당 답변은 회장 한정으로 외부에 공개하지 못 하는 답변이지만, 등장인물이 공개되자 환호성이 나왔다는 [[https://m.dcinside.com/board/conanps1/119097|공식 언급]]이 있다. 때문에 인기 캐릭터의 이름이 호명되었을 확률이 높아 [[괴도 키드]], [[아무로 토오루]], [[아카이 슈이치]], [[핫토리 헤이지]] 등이 점쳐졌으며, 이 중 다음 작품인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에서 등장이 확정된 아무로와 아카이보다는 키드와 헤이지의 등장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 2023 말하기 DAY 종료 후 본작과 관련된 질답으로 보이는 정보가 유출되었다. 괴도 키드와 함께 의외의 인물[* 나가노 현경의 형사들로 보는 시각도 있다.]이 등장하며,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에서 등장한 인물[* 할로윈의 신부 등장인물은 형인 [[모로후시 타카아키]]가 나가노 현경의 형사인 [[모로후시 히로미츠]]나 이들과 어느 정도 인연도 있으면서 최근 극장판에 자주 등장하는 [[후루야 레이]]로 추측된다.]한 등장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후 추가로 알려진 말하기 DAY 내용에 따르면 차후 극장판은 나가노현에서 일어나는 일이며, 키워드는 '목장'과 '곤충'이라고 한다. [[https://m.dcinside.com/board/conanps1/119301?recommend=1|관련 정보글1]] [[https://m.dcinside.com/board/conanps1/124191?page=1|관련 정보글2]] * 지난 극장판의 쿠키 영상에 나왔던 헤이지의 '키스'라는 단어와 함께, 본작에 나가노 현경이 등장한다는 정보가 사실이라면 [[괴도 키드 vs 공명, 표적이 된 입술]] 에피소드의 후속 내용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는 추측도 다수이다.[* 본 에피소드에서 핫토리가 [[토야마 카즈하]]로 변장한 키드에게 키스할 뻔했다. 또, 도쿄에 온 나가노 현경의 [[모로후시 타카아키]]가 우연히 키드 사건에 관여하게 되어 대비책으로 여러 전략을 고안하기도 했다.] 이 경우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 이후 두 번째로 원작 에피소드의 후속 격 극장판이 되는 것이다. * 유출은 아니지만 2023년 3월 말에 출시된 경찰동기조 피규어에 이들과 별다른 접점도 없는 괴도 키드의 예고장이 뜬금없이 있어서 공식에서 극장판 메인 캐릭터에 대한 정보를 고의로 흘린 게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https://twitter.com/xxxxary/status/1640895784030969856?s=20|예고장 보기]] * 코난 공식 트위터 계정에 '''의지를 잇는 자가 있다- in theater #1412'''[*원문 意志を継ぐ者がいる in theater #1412]라는 문구가 올라왔다. [[https://twitter.com/conan_movie/status/1697089325316645137?t=slWnrsuBOZOE4nS_Rwyq5w&s=19|게시글 보기]] 이로 인해 [[쿠로바 도이치]]가 괴도 키드의 회상으로 극장판에 등장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돌고 있다.[* 제 1대 괴도 키드를 계승해 활동하는 현재의 2대 괴도 키드가 [[쿠로바 카이토]]이기 때문.] 만약 사실이라면 첫 코난 극장판 출연이다. 또한 의지를 잇는 자는 만화판 1081화 제목과 같다. [[https://m.dcinside.com/board/conanps1/174034|참고]]. *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 일본 9월 상영분부터 본작의 [[https://www.youtube.com/watch?v=4C6ua9gmShE|초특보 예고편]]이 쿠키 영상 종료 후 송출된다. [[쿠로바 도이치]]를 보는 [[매직 카이토: KID THE PHANTOM THIEF|키드 스페셜]] 장면이 칼에 비치고, [[하코다테시|하코다테]]에 있는 고료카쿠(五稜郭) 문양을 보여주며 끝난다.[* [[명탐정 코난: 미궁의 십자로]],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처럼 헤이지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극장판들은 대부분 일본색이 강한 경우가 많은데, 공개된 시놉시스에 따르면 이번 극장판에서도 [[막말]], [[신선조]] 등 일본 역사 및 문화와 관련된 요소가 많다. 특히 이번 극장판의 배경이 될 것으로 보이는 하코다테의 경우 [[무진전쟁]] 이후 [[에도 막부]]가 멸망하자 막부의 잔당 일부가 하코다테로 도망쳐 [[에조 공화국]]을 세운 적도 잠깐 있다. 물론 에조 공화국은 [[삼일천하]]로 끝났지만, 사실상 막부 세력이 메이지 신정부군을 상대하는 최후의 전투가 이 하코다테의 고료카쿠에서 벌어졌다.] * 작가의 동물의 숲을 통해 부제가 『◯ャ◯◯ン◯◯の◯◯◯◯べ』임이 밝혀졌다. 첫 단어는 하코다테의 야경을 부르는 별명인 백만 달러(ヒャクマンドル)로, 마지막 단어는 이정표를 뜻하는 미치시루베(みちしるべ)로 추정하는 팬들이 많았고, '''정확히 들어맞았다.''' 이렇게 제목 추측이 맞아떨어진 건 진홍의 연가 이래로 두 번째. * 공개된 원화 포스터에 [[괴도 키드]]와 [[핫토리 헤이지]]가 나오면서 출연이 확정되었다. 괴도 키드는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이후로 5년 만에 등장하며, 핫토리 헤이지는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 이후로 7년 만에 등장한다.[* 지금까지 괴도 키드와 핫토리 헤이지가 함께 출연했던 극장판은 3편이나 되지만, [[명탐정 코난: 세기말의 마술사]]에서는 핫토리가 키드를 쫓다 부상으로 리타이어하는 바람에 직접 대면하지는 못했고, [[명탐정 코난: 탐정들의 진혼가]]에서는 키드가 [[하쿠바 사구루]]로 변장해 있던 탓에 키드만 일방적으로 핫토리를 만난 경우에 가까우며, [[명탐정 코난: 천공의 난파선]]에서는 키드는 비행선에, 핫토리는 오사카에 있어서 아예 접점이 없었다. 때문에 키드와 핫토리가 대면하는 모습은 본작을 통해 드디어 극장에서 볼 수 있게 될 전망이라, 이에 반갑다는 반응도 적지 않다.] [[오오카 모미지]]와 [[이오리 무가]]도 포스터에 모습을 비춰 진홍의 연가 이후 7년 만의 극장판 출연을 알렸으며, [[오키타 소시]]는 스크린 데뷔가 확정되었다.[* 정황상 [[마리아를 찾아라!]] 편의 이야기가 언급될 듯하다.] * 원화 포스터에서 키드가 들고 있는 장갑은 카이토 본인의 것이 아니다. 키드의 장갑은 손등 부분에 3개의 줄이 없으며, 이는 오히려 [[쿠로바 도이치]]와 [[괴도 코르보]][* MAGIC KAITO의 등장인물이며, 쿠로바 도이치와 동일인물이라는 의혹이 있다.]가 사용하는 장갑에 가까운 모습이다. 이후 공개된 원화 포스터 콘티에 '[[쿠로바 도이치|아버지]]의 장갑'이라는 글귀가 적혀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2024 말하기 DAY에서 작가 [[아오야마 고쇼]]가 원화 포스터의 장갑이 키드 본인의 것이 아님을 재차 강조했다. * 예고에 나오는 배경은 [[하코다테시|하코다테]]로, 하코다테가 속해있는 [[홋카이도]]가 중심 장소가 될 듯 보인다. 하코다테는 [[명탐정 코난: 은빛 날개의 마술사]]에서, 당초 [[신치토세 공항]]으로 가려던 코난 일행이 탄 [[보잉 747]]기가 [[하코다테 공항]]에 착륙을 실패한 뒤 항만에 불시착했던 사건 이후 20년 만에 극장판에 등장한다. * 예고 영상을 통해 코난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오랜만에 [[눈 뜬 채로 죽음|눈 뜬 사체]]가 등장함이 보여졌다. 어두워진 색감도 더해져 그로테스크하게 느껴진다는 반응도 있다. * 특보 예고편에서 경찰차들로 포위되는 보라색 스파이더 방식 슈퍼카의 기종은 [[아우디 R8]] 2세대 스파이더 모델이다. * 작가인 [[아오야마 고쇼]]의 동물의 숲에서 이번 영화의 스페셜 게스트 2인의 실루엣을 공개했다. [[https://twitter.com/dcMissa/status/1738900090910372084?s=19|스페셜 게스트 목록]] 쿠키 영상에 나온 카드가 '''파란''' 백의 하트 A[* MAGIC KAITO 선 헤일로 에피소드에서 아오코가 카이토의 카드 마술에서 하트 A 카드를 뽑은 바 있다. 아오코의 이니셜도 A이니만큼, 하트 A가 작중 히로인 포지션인 아오코를 상징하는 장치일 가능성도 존재한다.]였던 점, 카이토와 아오코가 메인인 블루 버스데이 에피소드 속 장면도 동물의 숲에 [[https://twitter.com/ecoute_voir/status/1738934317425004634?s=19|구현]]해 놓은 점을 근거로 들어 [[나카모리 아오코]]가 본작에 등장할 것이라는 추측이 존재했다. 한편 두 실루엣 중 하나는 유독 둥근 외형을 가졌는데, 마찬가지로 [[YAIBA]] 출신 등장인물인 오키타의 등장이 확정된 시점이라 실루엣의 주인공이 [[오니마루 타케시]]로 점쳐지기도 했다. 이후 작가의 동물의 숲에서 실루엣 처리되지 않은 아오코와 오니마루의 도트가 발견되며 등장이 기정사실화되었다. * 본작의 개봉을 기념해 2024년 1월 5일 총집편인 [[명탐정 코난 vs. 괴도 키드]]가 일본에서 개봉된다. 쿠키 영상에서는 하코다테로 향하는 키드의 모습이 그려졌다. * 개봉 이틀 전인 4월 10일부터 [[MAGIC KAITO]]가 7년 만에 연재 재개된다. 이후 공개된 에피소드 제목은 '그린 드래곤의 권'. * 성우들은 극장판 녹음 당시 대본을 먼저 받아 봤다고 하는데, 본작의 마지막에 나오는 [[스포일러]]가 워낙 큰 반전이었기에 앞서서 대본을 본 코난의 성우인 [[타카야마 미나미]]는 앞의 내용을 전부 잊을 정도의 충격이었다고 말했고, 신이치와 카이토의 성우를 동시에 담당하는 [[야마구치 캇페이]]도 스포일러를 알고 소리를 질렀을 정도로 놀랐다고 언급했다. * 시놉시스에서 전쟁이 언급되었던 것에 이어 예고편을 통해 2차 세계대전 당시의 일본군 군복을 입은 인물이 모습을 비추자, 일부 국내 팬덤에서는 17기 극장판인 [[명탐정 코난: 절해의 탐정]]처럼 국내 미개봉 수순을 밟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생기고 있다. 그런 한편, 군복을 착용한 인물이 악역으로 등장하거나 단순히 역사 속 장면으로만 다뤄질 수도 있는데 예고편에서 1초 가량 스쳐간 것만으로 너무 섣불리 판단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그러나 [[X(SNS)|X]](구 트위터)를 중심으로 '등장만으로도 민감하게 느낄 수 있는 요소를 굳이 넣었다'는 회의적인 여론이 빠르게 확산되었다. [[https://twitter.com/CoRShin_/status/1739487882384171309?t=edgSyEI5tMu7AIt2oiwrrg&s=19|#]][* 여담으로 19기 극장판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의 경우 태평양 전쟁이 회상되고 당시의 일본이 긍정적으로 묘사되는 장면이 나와 비판을 받았지만 군복이나 군기가 삽입되지 않아 큰 반향을 일으키지는 않았다.] * 이후 공개된 메인 예고편에서 군복을 입은 인물이 [[핫토리 헤이지]]와 대치하는 모습이 나와 과거 회상으로만 등장하는 인물은 아니었다는 점이 드러나면서도, 해당 인물이 악역이라는 것이 기정사실화되어 미화 용도라고 보기는 어려워졌다. 또한 비판을 수용한 것인지 의상도 일본 철도 제복과 유사한 색 배합으로 수정되었다.[* 당초 의상이 여러 벌일 가능성도 제기되었지만, 개봉 후 모든 장면에서 의상이 수정되었음이 드러났다.] 다만 같은 예고편을 통해 공개된 장면 중 [[원자폭탄]]이 터지는 듯한 장면이 있어 본 극장판이 [[제2차 세계대전]]을 어떤 방향으로 다루고 있을지도 귀추가 주목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괴도 키드, version=1112, this=문단, paragraph=7.2)] === 개봉 후 === * 쿠도 부부가 [[명탐정 코난: 베이커가의 망령]] 이후 '''22년 만에''' 쿠키 영상을 통해 잠시나마 극장판에 등장했다. 해당 작품에 등장했던 [[쿠도 유키코]]는 본인이 아니라 본인을 본뜬 게임 캐릭터였기 때문에 유키코가 쿠키 영상으로나마 첫 등장한 극장판이라고도 볼 수 있다. * 스즈키 부부가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 이후 3년 만에 극장판에 출연했다. 다만 2022년 [[마츠오카 후미오]]의 사망 이후 [[스즈키 시로]]의 후임 성우가 결정되지 않은 탓인지 스즈키 부부는 목소리 없이 등장한다. * 키드가 등장하는 에피소드며 극장판이 그래왔듯 [[나카모리 긴조]]도 자연스럽게 등장. 감청의 권 때랑은 다르게 어느 정도 비중이 늘었다.[* 당연한 것이 감청의 권이 싱가폴을 주요 배경으로 해서 긴조의 등장 분량은 에필로그 뿐이었다.] * 앞서 언급이 되었지만 카이토의 소꿉친구 [[나카모리 아오코]]의 코난 극장판 첫 데뷔작이다. 비록 카메오 정도의 적은 분량이지만 그래도 [[MAGIC KAITO]] 시리즈의 팬들에게는 반가운 팬 서비스라는 반응이 있다. * [[명탐정 코난: 천공의 난파선]]과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에 이어 괴도 키드가 본모습 [[쿠로바 카이토]]로서도 등장한 세 번째 영화가 되었다. 또한 본작에서는 [[명탐정 코난: 탐정들의 진혼가]] 이후 최초로 키드가 [[쿠도 신이치]]로 변장하지 않았다. * 2023 말하기 DAY에서 본작과 [[명탐정 코난 극장판 28기]]에 대한 정보가 동시에 나왔던 탓에, 다음 작품에 대한 정보인 나가노 3인방의 출연과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에 등장했던 인물의 출연, 키워드인 목장과 곤충이 본작에 대한 정보인 것으로 오인되는 해프닝이 있었다. [[아오야마 고쇼]]의 동물의 숲을 근거로 [[아무로 토오루]]가 등장할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지만 결국 빗나갔다.[* 2024년 5월에 아무로의 성우가 큰 논란에 휩싸였다는 걸 생각하면 이번 극장판 입장에서는 나오지 않은게 천만다행이였다. 나왔더라면 성우의 논란에 이번 극장판도 휘말려 조롱거리가 되었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었기 때문이다.] *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와 비슷한 수준으로 [[스즈키 소노코]]의 비중이 적다. 이 사례가 이례적인 것이, 괴도 키드가 나오는 극장판에서는 스즈키 재벌의 보석이나 재산이 키드의 표적이 되어 덩달아 출연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작의 배경이 되는 홋카이도에 소노코가 동행하지 않은 탓에 그리 많은 비중이 할애되지 못했다. 이전에 괴도 키드가 등장한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에서 히로인 비중급으로 나왔던 것도 한몫한 듯.[* 대신 감청의 권에서의 쿄고쿠와 소노코의 포지션은 헤이지와 카즈하가 이어받게 된다.] * [[쿠도 신이치]], [[괴도 키드]]의 성우 [[야마구치 캇페이]]의 '''실제 자녀'''인 [[야마구치 류노스케]]와 [[야마구치 아카네]]가 이 극장판에 단역으로 출연했음이 밝혀졌다. 류노스케는 운전수와 경찰 1 같은 단역을, 아카네는 접수원 역 등 다양한 단역을 맡았다고. * 개봉 후, 예고편에서 [[원자폭탄]]을 묘사한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던 장면은 별개의 폭탄을 묘사하는 장면인 것이 드러났다. 작품 내에서는 예고편에서 보여졌던 군복도 완전히 수정되어 나왔으며, 시놉시스에서 언급된 '일본의 패색이 짙었던 전황을 뒤집을 정도의 무기' 역시 우려하던 것과는 다른 형태로 등장했다. 아울러 작중 인물들을 통해 전쟁과 병기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바, 전쟁 미화 의혹과 국내 미개봉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는 기우였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래도 여전히 걱정된다면 한국 개봉 후 직접 관람하는 편이 가장 확실할 것이다. *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과 더불어 경시청 강력반 수사 1과 측 형사가 한 명도 등장하지 않는다.[* 감청의 권은 [[싱가포르]]을 주요 배경으로 해서 당연히 출연할 여지가 없었지만, 일본을 무대로 한 극장판에서 수사 1과 측 형사가 등장하지 않은 건 본작이 두 번째.] 덧붙여 [[타카기 와타루]]는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에 이어 2연속으로 등장하지 못했다. *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에서 [[괴도 키드]]는 목숨이 몇 번이나 노려지며 육체적으로 크게 몰렸었는데, 이번 극장판에서는 목숨이 노려지는 것에 심리적으로 몰리는 모습까지 더해진다.[* 사실상 아버지같은 관계인 나카모리 경부가 총에 맞아 목숨이 위험해졌을 때 크게 상심하며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좋아하는 소꿉친구인 아오코가 아버지로 인해 힘들어하고 있을 때 달래주지도 못하고 뒤에서 지켜보기만 했어야 했다.] == [[명탐정 코난 vs. 괴도 키드|TVA 총집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탐정 코난 vs. 괴도 키드)] == 관련 문서 == *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 [각주][[분류: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4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괴도 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