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clude(틀:식물분류,이름=모감주나무,영명=,이명=염주나무 ,학명=Koelreuteria paniculata Laxm.. ,명명자=.,명명연도=,문=현화식물문(Anthophyta),강=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목= 무환자나무목(Sapindales),과=무환자나무과(Sapindaceae),속=모감주나무속(Koelreuteria),종=모감주나무)] [[파일:external/f6615e246a9e9cfb0fc215a9829c5d31340febec49deae427a2063c99823cf09.jpg|width=500]] == 개요 == 중국, 대한민국, 일본 등에 서식하는 나무이다. 대한민국에는 황해도 및 강원 이남 등에 서식한다. 본래 중국 원산인데 황해로 씨앗이 떠내려와 군락을 이룬 것이라고 생각되었으나, 대구 등 내륙에서도 발견되어 한국도 서식지임이 드러났다. == 생태 환경 == 바닷가에서 군락을 이루어 살고, 꽃은 7월에 핀다. 국내에는 자생 군락지가 몇군데 있는데 그중 세 곳이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에 지정됐다. * 태안 안면도 군락지(천연기념물 제138호) * 포항 발산리 군락지(천연기념물 제371호) * 완도 대문리 군락지(천연기념물 제428호) == 불교와의 인연 == 모감주나무는 불교랑 인연이 있는데 가을에 잘 익은 까만 열매로 염주를 만들때 사용된다. 그래서 염주나무라고도 불린다. 모감주나무로 만든 염주는 최상급이라 아주 가격이 비싸다. 모꾸겐지(木槵子, 목환자)라 하면서 사찰에 많이 심었다. [[분류:나무]][[분류:무환자나무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