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Gisele+Bundchen+Victoria+Secret+Fashion+Show+yYb3XCYAgCdx.jpg|width=100%]] || [[파일:frankfurt-motor-show-girls-01.jpg|width=100%]] || || '''패션 모델''' [[지젤 번천]] 런웨이 모습 || 자동차 박람회 '''전시 모델''' || || [[파일:racing model.jpg|width=100%]] || [[파일:fit-models-modeling-400x547.jpg|width=100%]] || || 자동차 경주 홍보를 위한 '''레이싱 모델''' || 디자이너가 '''피팅 모델'''로 의복을 맞추는 모습 || || [[파일:pam anderson.jpg|width=100%]] ||[[파일:art nudee model.jpg|width=100%]] || || 유명한 '''글래머 모델''' [[파멜라 앤더슨]] || 누드 회화를 위한 '''미술 모델'''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델'''(Model[* 영어에서 발음은 '모델'이 아니라 '마-들'(mɑːdl)이다.])은 예술, 홍보, 판촉을 목적으로 자세를 취하는 업종을 의미한다. 반드시 [[사람]]만이 모델이 되는 것은 아니며 [[동물]], [[식물]], [[무생물]]도 모델이 될 수가 있다. 대중적으로 '''모델'''이라고 하면 '''패션 모델'''로만 잘 알려져 있다. 그렇게 된 원인은 [[패션]]의 성격이 대중적이라서 패션을 담당하는 모델이 대중적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자본주의]] 시대에 따라서 고수익을 내는 패션 모델은 [[슈퍼모델]]이 되며 이들은 [[연예인]]급으로 인기를 얻게 된다. 이는 다른 분야의 모델들이 음지에서 활동하다가 음지에서 끝나는 것과 차이가 있는 것이다. == 역할별 분류 == === [[패션 모델]] === 패션을 홍보하는 역할을 하는 모델을 의미한다. 패션 디자이너의 미학을 홍보하거나 특정 패션을 대중들에게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 [[하이패션]] 모델 * [[패션 모델]][* 이 문서는 하이패션과 커머셜패션(매스패션)이 통합되어 있다.] === 피팅 모델 === 의상 디자인을 연구하거나 점검하기 위한 모델을 의미한다. * [[피팅 모델]] === 글래머 모델 === 대중들에게 [[성욕]]을 자극하거나 만족시키는 목적이 있는 모델을 의미한다. * [[핀업걸]] * [[그라비아 아이돌#s-2|그라비아 모델]] * [[글래머 모델]] === 판촉 모델 === 특정 상품을 판촉하거나 관람객의 시선을 이끌기 위한 모델을 의미한다. * [[레이싱 모델]] === 미술 모델 === 예술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모델이다. * [[누드모델]] === SNS 모델 === 21세기에 들어서 생겨나는 신종 모델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해 사용자 자신을 홍보하기 위한 모델을 의미한다. * [[인스타그램 모델]] == 체형별 분류 == === 플러스사이즈 모델 === [[BMI#s-1|체질량지수]]가 25 이상(과체중~비만)인 모델을 의미한다. === 노멀사이즈 모델 === [[BMI#s-1|체질량지수]]가 19~24(정상)인 모델을 의미한다. == 비공식적 분류 == * [[금수저 모델]] * [[속옷 모델]] - 속옷 화보를 주로 촬영하는 모델 * [[히잡 모델]] == [[성적 보수주의]]와 모델 간의 갈등 == === 대(大)중동에서는 모델이 적은 원인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패션 모델, version=795, paragraph=6.1)] 경제 사정이 열악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과 [[동남아시아]]에서도 모델이 생겨나고 있으나, 이슬람권 기준으로는 [[터키]], [[레바논]], [[튀니지]], [[아제르바이잔]] 같은 세속국가를 제외한 곳에서는 모델이 별로 없는 실정이다. 일단 모델의 경우 직업 상 노출이 심한 촬영을 할 때가 많은데, [[이슬람주의]]자들이 이런 일에 참여하는 모델들을 만만한 조리돌림 대상으로 삼을 확률도 높고, 커머셜 모델에 대한 수요가 동유럽계, 남미계 외국인을 중심으로 채워지니 중동 현지 출신 [[하이패션]] 모델들이 성장하기도 힘들다. 중동 출신으로 모델을 시도하는 경우 아예 가명으로 과거를 감추고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 기준으로는 [[카리모바 엘리나]]와 같이 활동하는 [[인스타그램 모델]] [[최미란다]], [[하은(모델)|하은]]가 있다.][* 종교가 무슬림인 중에서 [[야스민 가우리]], [[샤니나 샤이크]], [[알리사흐 알리]], [[이만 하맘]], [[탈리다 타메르]]같은 커머셜 모델이 있지만 이들은 대개 유럽인 부모가 있는 경우이고 중동 현지가 아닌 서양에서 모델이 된 것이 현실이다.] 이슬람권에서 오히려 걸프 아랍 왕정 국가같은 와하브파 국가들이 산유국으로서 온건파 국가들보다 부유하기 때문에 이슬람권에서 와하브파 같은 보수파들의 발언권이 세진 것도 있기 때문에 이슬람권에서는 현대 들어서 오히려 여성의 노출에 대해 점점 더 보수적으로 바뀌고 있다.[* 이집트인들의 증언에 따르면 80년대만 해도 콥트 기독교인 여성들이 히잡 안 쓰고 미니스커트를 입고 다녀도 별 문제가 없었으나, 시대가 지나면서 여성의 복장에 엄숙주의가 강화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중동 무슬림이 아닌 중동 기독교인 여성들도 과거부터 여성 노출을 혐오하는 분위기가 있기 때문에 다른 중동 무슬림 여성들만큼은 아니더라도 유럽에 비해 보수적인 편이다.[* 고대 그리스인들의 기록을 봐도 이런 문화적 차이가 언급되는데,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따르면 아나톨리아의 [[리디아 왕국]]에 대해 언급하면서 아시아인들은 당시 그리스인이나 이집트인 및 그리스 서쪽이나 북쪽의 다른 민족들과 다르게 나체 노출을 매우 부끄럽게 여겼다는 기록이 나와있다. 유대교가 생겨나기 전인 신[[아시리아]] 제국에서도 전 여성들에게 베일을 씌우던 문화와도 어느정도 연계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기독교 이전 시절 이집트는 벽화를 보면 알테고 그리스와 로마, 켈트 문화권 모두 남성의 경우 나체 노출의 기준이 오늘날보다 훨씬 더 관대한 수준이었고, 중세 초만 해도 습한 유럽 기후와 당시 목조 건축 가옥의 한계 때문에 집 안에서는 남녀노소 다 옷을 벗고 지내는 경우가 많았다.][* 19세기 캅카스에서 터키와 중동으로 대거 이주한 “무슬림” 민족인 [[체르케스인]]들은 레즈긴카라는 남녀가 함께 추는 춤 문화가 있었는데, 중동의 아랍 무슬림들은 체르케스인 난민들의 레즈긴카 춤을 보고 이들이 무슬림인데도 어떻게 여자들이 남자랑 같이 공개적으로 손을 잡고 춤을 추냐며 상당히 괴이하게 여겼다 한다. 즉 종교적 차이 외에도 지역 문화와 정서 상의 차이도 무시할 수 없다.] 스웨덴이나 호주 등에서도 [[히잡]], [[부르키니]]를 내세운 무슬림 모델이 있고 이란에서도 부르키니 등을 입힌 여성들을 모아 미인대회를 주최하고는 있다만 아직 이런 모델들은 일부 PC 성향 사람들이 잠시 주목하다가 잊혀지는게 현실이고, 실질적으로는 무슬림과 비무슬림 모두에게 외면받는 편이다. [[히잡]]착용에 대해서도 존중이 되지 않다보니 소말리계 미국인 모델이었던 [[할리마 아덴]]은 2020년 11월 26일에 런웨이 모델을 그만둔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209569|#]][* 해당 기사는 할리마 아덴이 마치 모델 자체를 그만둔다는 식으로 서술되어있지만 런웨이 활동을 그만둔다는 이야기일뿐이고 인스타그램에서는 현재까지도 활동중이다.] === 페미니스트들이 모델을 비판하는 원인 === 모델이라는 직업이 현실적으로 [[여초]]이고 수동적인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수동성을 [[여성혐오]]로 생각하는 페미니스트들에겐 비판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리버럴 페미니즘, 립스틱 페미니즘은 모델은 자유라고 하면서 긍정하고 있다. 다만 성긍정 페미니즘은 래디컬 페미니즘의 갈래이기 때문에 수동성을 반대하기에 같은 성상품화라도 동적인 직업인 포로노 배우를 긍정해도 모델은 그러지 않고 있다.] 20세기 초까지 리버럴 페미니즘은 여성에게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요구했기 때문에 모델을 일종의 사회생활로 생각하고 지원했지만 1960년대부터 [[래디컬 페미니즘]]이 모델이 여성에게 굴욕을 주는 직업이라고 생각하면서 이를 비판한 것이 갈등의 시작이다. 2000년대 초부터 [[패션 모델]], [[피팅 모델]], [[글래머 모델]]이 여성에게 획일적인 외모를 강조한다는 이유로 비판받고 있고 [[레이싱 모델]]같은 판촉 모델이 여성 스스로를 물건처럼 보이도록 만들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에 [[대안우파]] 성향의 [[안티페미니즘]]은 [[페미니스트]]의 시기심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페미니즘과 연관없는 사람이 시기한 것을 페미니즘으로 곡해한 것이다.] [[성 상품화#s-5.3.1.1|2018년 초에 F1 포뮬러가 레이싱 모델을 폐지]]했는데 이에 대해 [[안티포르노 페미니즘]]은 여성해방이라고 환호했을 정도이다. 이는 주류페미니즘이 [[성적 보수주의]]로 가고 있는 것이고 여성이 하는 성상품화만 묵인하고 있어 이는 전근대의 남성의 [[성적 보수주의]]가 범하는 위선과 다를 바가 없게 되고 있다. == 개념 구분 == * [[라운드걸]], [[치어리더]] - 관람객의 시선을 이끄는 역할을 하지만 자세보다 활동을 중시하기에 모델로 정의되지 않는다. * [[스트리퍼#s-2|스트리퍼]], [[포르노 배우]] - 대중의 성욕을 자극하거나 만족시키지만 정적인 자세가 아닌 동적인 행태라서 모델로 정의되지 않는다. * [[배우]] - 배우가 종종 연기가 요구되는 광고 모델에 출연하지만 주요 업무는 동적이다. == 나무위키에 등재된 모델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패션 모델/국내)]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패션 모델/해외)]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인스타그램 모델/국내)]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인스타그램 모델/해외)] [[분류: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