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함정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砂塵の大嵐.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모래 먼지의 태풍, 일어판 명칭=砂塵(さじん)大嵐(おおあらし), 영어판 명칭=Heavy Storm Duster, 효과외1=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 없다., 효과1=①: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2장까지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더스트 토네이도]]의 변형판으로, 이름은 더스트 토네이도의 일어판 명칭인 "모래 먼지의 큰 회오리 바람(砂塵の大竜巻)"에서 "큰 회오리 바람(大竜巻)" 부분만 [[태풍(유희왕)|태풍(大嵐)]]으로 바꾼 것이다. 말장난을 살리면 '더스트 태풍'쯤 된다. 일러스트도 더스트 토네이도와 태풍을 합친 것이다. [[더블 싸이크론(유희왕)|더블 싸이크론]]이나 [[트윈트위스터]]처럼 더스트 토네이도를 2개로 늘린 카드로, 노 코스트로 1:2 교환을 해준다. 대신 함정 카드라 자신 턴엔 바로 못 쓰고, 배틀 페이즈 실행 불가 디메리트 때문에 상대 턴에 쓰는 게 좋다. 물론 1:2 교환임을 감안하면 이 정도는 가벼운 디메리트로, 기존의 [[트윈트위스터]] 쓰듯이 자신 턴에 세트하고 상대 턴에 마법 / 함정이나 펜듈럼 존의 카드를 파괴해 전개를 방해하거나 상대 엔드 페이즈에 발동해 그 턴 상대가 세트한 카드를 파괴해 다음 자신 턴을 안전하게 시작할 수도 있다. [[트윈트위스터]]와는 상호 호환 관계로, 트윈트위스터는 패 코스트가 필요한 대신 속공 마법이라 자신 턴에도 바로 쓸 수 있고 디메리트도 없는 반면, 이 카드는 함정 카드라 일단 한번 세트하고 써야 하고 발동 턴엔 배틀 페이즈 실행 불가인 대신 코스트가 없다는 점에서 차별화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 || COTD-KR076 || [[레어(유희왕)|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레전드 컬렉션]] || LEC1-KR096 || [[시크릿 레어]][br][[슈퍼 레어|슈퍼]] [[패러렐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동옥의 빙결계]]- || SD40-KR039 || [[노멀]] || 한국 ||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TD-JP076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 || 20TH-JPC96 || [[시크릿 레어]][br][[슈퍼 레어|슈퍼]] [[패러렐 레어]]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동옥의 빙결계|凍獄の氷結界]]- || SD40-JP039 || [[노멀]] || 일본 || ||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 COTD-EN076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8 Mega-Tin Mega Pack || MP18-EN086 || [[슈퍼 레어]] || 미국 || || || Duel Devastator || DUDE-EN050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동옥의 빙결계|Freezing Chains]] || SDFC-EN039 || [[노멀]] || 미국 || || == 관련 카드 == === [[더스트 토네이도]] === === [[태풍(유희왕)|태풍]] === === [[트윈트위스터]] === === [[모래 먼지의 빅 허리케인]]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더스트 토네이도, version=51)]